자료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후기청소년(19-24세)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미디어 정책에 대한 인식 연구

후기청소년(19-24세)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미디어 정책에 대한 인식 연구

공공누리 마크

NYPI 이(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3

2. 연구흐름 및 연구방법 5

3. 연구추진체계 8


. 후기청소년의 개념과 미디어 이용현황

1. 후기청소년의 개념과 미디어 관련 연구 경향 13

2. 외국의 후기청소년 미디어 이용현황 및 특징 24

3. 국내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적
접근 사례 및 쟁점 34

4. 요약 및 시사점 40


. 국내외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 사례 및 특징

1. 미국의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 사례 및 특징 45

2. 독일 및 유럽의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 사례 및 특징 61

3. 국내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 사례 및 특징 68

4. 요약 및 시사점 84


.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89

2. 연구방법 91


. 면접조사 분석결과

1. 연구문제 1의 결과 99

2. 연구문제 2의 결과 118

3. 연구문제 3의 결과 146

4. 요약 및 시사점 164


.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요약 및 연구의의 171

2. 정책제언 177


참고문헌 191


부록

1. 공통: 연구소개서, 연구 참여 동의서 207

2. 후기청소년(19-24) 그룹: 인터뷰 질문지 210

3. 전문가 그룹: 인터뷰 질문지 213


국문초록 217




Abstract 219

더보기

초록

 이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미디어 정책에 대한 인식 연구로서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적 쟁점과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후기청소년 및 미디어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을 통해 후기청소년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미디어 정책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FGI(Focus group Interview) 및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외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현황과 관련 정책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청소년은 청소년과 성인시기가 중첩하는 19~24세 연령대의 청소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를 주로 이용한다.

 둘째, 국내외 후기청소년 정책 사례 및 특징으로 미국과 독일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담당하는 여러 정책 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관이 연계와 협력을 하고 있었다. 한편 국내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은 일자리, 교육, 안전·보호, 문화·창작, 참여·권리5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관련 활동 계기와 긍정적, 부정적 미디어 이용실태는 다음과 같다.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관련 활동은 주로 대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전공 수업, 소모임과 동아리, 대학 언론사가 있으며 활동의 이유는 소통과 친목 도모, 자기계발, 정보탐색 등에 있었다. 여기에서 후기청소년의 활발한 미디어 활동은 긍정적이지만, 편향된 소비, 허위정보 생산 및 무비판적 수용 등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한다.

 넷째, 후기청소년들은 미디어 교육의 한계로 미디어 교육환경, 이론 중심적이고 일방향적인 대학의 미디어 교육을 지적하였다. 성과로는 대학 수업과 함께 주로 대학 언론사 활동, 스터디 활동, 실무활동 등을 이야기하였다.

 다섯째, 후기청소년의 주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지식, 비평, 의사 소통, 접근·활용, 구성·제작, 참여가 있으며, 이들 역량은 단독으로 작용하지 않고, 함께 상호작용하며 발전한다.

 마지막으로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을 위한 정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법 제정 및 중앙 차원의 정책 마련,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기관과 조직의 신설, 대학의 역할 증대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후기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법 제정이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법제화는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 정책 마련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통합적인 미디어 교육법을 제정하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다각도의 세부적 법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음은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 기구 신설이다. 현재 많은 기관과 단체 등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유사한 사업을 운영하여 비효율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통합적 정책기구를 신설하여 역할을 조율하고 종합적이고 세부적인 정책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에 대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의 미디어 교육 보강, 다방면의 학생 미디어 활동 장려, 행정적 지원, 대학과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후기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본 연구는 5가지 방향의 후기청소년 미디어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세부적으로 일자리, 교육, 안전·보호, 문화·창작, 참여·권리의 측면을 통해 후기청소년을 위한 포괄적 미디어 정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능동적이고 책임감 있는 디지털 시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는 윤리의식의 함께해야 하며, 각각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들이 상호작용하여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연계적·종합적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