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197p. ,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738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73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27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27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본 연구는 취약위기계층 청년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성인기 이행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고, 원활한 성인기 이행을 위한 사회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또한 이 연구는 취약위기계층의 부모세대는 성인기로의 이행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자신의 자녀가 성인기로 이행하고자 할 때 어떤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지 등 부모로서 자녀의 성인기로의 이행에 관한 기대와 태도 등을 살펴보고 청년세대의 성인기 이행의 특징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청년들은 과거와 달리 탈표준화된 성인기 이행을 경험하고 있다. 여기에는 후기자본주의사회의 신자유주의적 경제질서의 확대와 이로 인한 노동시장의 유연화, 경기침체의 장기화, 청년실업 증가, 개인화된 문화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오늘날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청년들이 순조롭게 성인기 이행을 수행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이 같은 일반적인 흐름과 달리 빈곤계층의 청년들은 이들이 처해 있는 경제적·문화적·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중·상층의 청년들과 상이한 성인기 이행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취약위기계층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을 도울 수 있는 좀 더 면밀하고 현실에 적합한 사회정책이 진지하게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만19세에서 만29세에 이르는 미혼청년 25명과 40∼50대의 부모세대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들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주관적 삶의 의미와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살펴보기 위해 생애사 면접을 기본적인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취약위기계층 청년들의 가족적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가정환경이 이들의 성인기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청년들은 부모의 제한된 자원과 지지로 인해 일찍부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성인기 경험을 쌓고 있었으며, 가정 내에서도 성인 수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반강제적인 요구를 받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청년들은 일찍이 부모로부터 정서적·경제적 독립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는 이른 성경험, 동거, 취업 또는 결혼과 가족구성에 대한 열망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청년들의 교육경험과 성인기 이행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릴 적부터 부모의 지지를 받지 못한 이들은 부모보다는 또래집단과 어울리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거나 학교공부는 거의 포기하고 일찌감치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기도 한다. 면접대상자들 중 상당수의 청년들은 정규적인 교과과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학교 밖에서 또래들과의 친분관계나 사회경험(아르바이트 등)을 통해 성인기 이행에 필요한 자원들을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청년들의 노동경험과 성인기 이행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들 취약위기계층 청년이 노동시장에 이른 시기에 진입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 요인이다.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겪는 어려움은 저임금, 나이차별 등도 있지만 학교생활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성인기 이행은 평탄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한적인 사회적 자본과 기회 그리고 불안정한 노동 조건 등으로 인하여 이들의 삶은 불안한 홀로서기일 수 밖에 없으며, 이들의 성인기 이행도 여전히 불안하기만 하다. 네 번째로 청년들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인식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들은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를 경험하면서 자아정체성을 형성해왔다. 주거지역, 학교, 노동영역 등에서 경험하는 차별은 이들이 부정적인 사회인식을 갖게 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다. 끝으로 취약위기계층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특징들을 토대로 가족, 교육 그리고 노동 영역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적합한 사회정책을 제시하였다.
목차
목 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내용 4. 연구방법 제2장 가정환경과 성인기 이행 1. 가족적 맥락의 이해 2. 가족 내에서의 성인기 경험과 가족 관계 형성 3.가족 경험과 미래 가족관과 결혼관 형성: 없는 것에 대한 갈망 제3장 교육과정과 성인기 이행 1. 교육기회의 제약 2. 일과 중첩된 학업 3. 제도적 배제와 교육제도의 이중성 4. 복지(관)와 삶의 전략 제4장 노동경험과 성인기 이행 1. 울퉁불퉁한 성인기 2. 제한적인 사회적 자본과 기회 3. 경제적 독립과 노동경험 제5장 자아정체성과 사회인식 1. 자아정체성 형성 경험과 인정 2. 제한적인 성인기 이행 3. 사회적 배제와 차별 4. 성인기 이행과 사회적 지원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요약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청년대상 질문지 2. 부모대상 질문지 3. 생애사 면접표 4. 면접 참여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