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394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39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1990년대 들어 장단기 이주 노동, 국제 결혼을 통한 외국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상당수 한국사회로 유입되면서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물론 과거에도 외국인과의 교류는 있었지만 지난 10여 년의 경험은 훨씬 범위가 넓고 더 충격적이었다. 현재의 다문화 상황은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 저소득층 남성의 결혼난, 혼인 감소와 저출산 등의 한국사회 내부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상당 기간 다른 사회, 다른 체제에서 생활했던 새터민(탈북자)과 중국 조선족으로 대표되는 디아스포라 한인(韓人)의 유입 역시, 법률적·형식적 ‘국민’ 범주와 혈연에 따른 ‘민족’ 범주 사이의 혼란을 낳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가리켜 ‘다문화’, ‘다문화 사회’ 또는 ‘다문화주의’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있지만, 과연 그 말의 내용이 무엇인지, 또 그것이 현재의 문제적 상황을 가리키는 단순한 술어(述語)인지 아니면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지시하는 말인지도 분명치 않다. 이 책은 현재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통합이라는 명제에서 출발하였다. 왜냐하면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갈등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책은 현재 한국의 다문화 상황을 이해하고, 한국사람들이 갖는 사회적 의식과 태도에 주목하면서 앞으로 한국사회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기술하고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연구개관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기존 연구의 검토
3 조사의 개요
제2장 용인과 배제
1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한국인의 일반적 태도
2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제3장 정체성과 시민권
1 한국인의 정체성 특성 분석: 자아, 민족, 국민
2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이주자의 시민권
제4장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정책에 대한 의식
1 한국인의 다문화 의식: 인구학적 속성 및 가치관의 영향을 중심으로
2 다문화 정책에 대한 의식
제5장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예비조사와의 연속성과 변화
3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