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개인저자
김미루, 김은하
수록페이지
133~155 p.
발행일자
2023.09.30
출판사
한국청소년학회
기사 요약
본 논문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자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출간된 8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5.4%, 고등학생 22.9%, 중고등학생 21.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상관분석(35.7%)과 회귀분석(33.5%)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의 하위변인인 부모, 교사, 또래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각 변인 모두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그중 부모 변인이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율성 지지, 부모 애착, 양육태도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모두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교사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 지지, 교사 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모두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또래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 지지, 또래 관계, 또래 애착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모두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각 하위변인에서 자율성 지지, 교사 지지, 또래 지지가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여, 공통적으로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