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472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47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소셜미디어의 확산
2. 위험소통 연구의 이론적 공백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내용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위험
1. 위험의 개념
2. 위험과 유사한 개념
제2절 위험인식과 위험소통
1. 위험인식
2. 위험소통
제3절 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 신뢰
1. 사회적 증폭이론
2. 침묵의 나선 이론
3. 제 3자 효과와 제 1자 효과
4. 추정된 미디어 영향에 관한 모델
제4절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1. 소셜미디어 활용의 필요성과 문제점
2.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3.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관련 선행연구
제5절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제6절 연구설계와 방법
제3장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정보 확산 사례연구
제1절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개요
제2절 SNA 사례 분석 1
1. Buzz 분석
2. 네트워크 분석
제3절 SNA 사례 분석 2
1. 불산
2. 자살
3. 성폭행
4. 북한 핵실험
제4절 공공기관 트위터 분석
1. 기상청 트위터 활용 수준
2. 경찰청 트위터 활용 수준
제5절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정책적 함의
1. 중립적이고 객관적 정보 제공
2. 재난안전 정부기관의 위세중심성 확보
3. 소셜미디어를 통한 재난안전 정보 상시모니터링
4. 정부기관 사칭 계정 단속
5. 재난현장과 연계된 재난정보 제공
6. 재난정보 허브를 활용한 효과적인 정보전달
7.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들 간의 네트워킹
8. 재난정보 제공 기관 설립
제4장 위험경로와 채널에 관한 설문조사
제1절 설문 설계
1. 조사 목적
2. 조사 설계
3. 조사 내용
4. 응답자 특성
제2절 설문결과
1.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
2. 재난 및 긴급 상황 시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3. 재난 및 긴급 상황 시 소셜미디어 효과
4. 재난 및 긴급 상황 시 소셜미디어 정보의 신뢰
제3절 설문조사에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
1. 일상적 소통 수단으로 소셜미디어 급부상
2. 기존 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연계 및 루머컨트롤 필요
3. 소셜미디어의 ''편향효과'' 교정 메커니즘 마련
4. 소셜미디어 정보의 신뢰 확보 시급
5. 미디어와 위험인식 ''정''의 상관관계: 미디어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방안 마련 시급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정부 재난안전관리에서 소셜미디어 활용의 현황과 문제
제2절 위험인식을 위한 소셜미디어 활용전략
제3절 정부-민간 위험소통 정책과 전략
참고문헌
부 록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소셜미디어 이용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