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57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57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거버넌스』. 이 책은 사회적일자리사업의 단기적 성과에 매몰된 중앙부처의 칸막이와 자치단체장의 따로 놀기, 미궁에 빠진 시민사회단체 등 이해자 권력관계를 선명하게 그려낸 책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계층의 자립심 육성측면에서 시행하는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이 시장에서 왜 충돌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저자는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발전과 상생전략과 취약계층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지, 지역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한다. 더불어 지방자치, 자립증진, 지역 살리기를 위해 마을기업과 사회기업을 활용하는 방법과 정부, 기업, 시민이 함께 하는 거버넌스가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사회적일자리사업 필요성
1. 커뮤니티비즈니스와 소셜비즈니스의 메시지
2. 경제 위기와 암울한 사회현실
3. 경제 선진국 노동과 부패 후진국
4. 무상정책 논란과 사회적일자리사업 출현
5.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정책수단
6.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필요성
Ⅱ.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차이
1. 커뮤니티비즈니스와 소셜비즈니스의 구분
2. 커뮤니티비즈니스와 소셜비즈니스의 근원적 차이
3.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구분
4. 고용노동부와 행정안전부의 역할구분
Ⅲ. 정부의 사회적일자리사업 현황
1. 유사 시범사업 중단과 확대한계
2. 현실에 직면한 사회적기업
3.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모색방법
4. 사회적일자리 사업의 성장과정
5. 사전교육이 필요한 사회적일자리사업
6. 창업을 주도하는 마을기업
7. 마을기업의 성과와 한계
8.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불편한 진실
Ⅳ. 지방자치단체의 자생력
1. 지방자치단체의 홀로서기
2. 지방자치단체형 사회적기업 현실
3. 단체장의 생각, 따라잡기는 싫다
4. 정부 및 단체장의 의지
5. 공무원이 바라보는 사회적일자리사업
6. 사회적일자리사업을 바라보는 지역사회
7. 정부의 압박과 지자체의 사회적기업 통일화 요구
Ⅴ.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1. 시민사회단체의 새로운 방향전환
2. 시민사회단체와 지역주민과의 함수관계
3. 지역주민과의 공감대 형성이 탈출구
4. 봉사단체와 사회적기업가의 출현
5. NPO와 기업의 참여 필요성
Ⅵ.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방향
1. 지역공동체 복원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례
2. 지역에서 마을만들기
3. 성공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4.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5. 지속가능한 지역활성화를 위한 법률제정
6.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전략적 활용
Ⅶ. 사람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1.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2.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상생방안
3. 차세대 지역 사업가 양성방안
4. 협동조합 정착을 위한 조건
5.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창업 전제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