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86집

다문화가정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결혼 이주자를 중심으로

발행사항
파주: 집문당, 2015
형태사항
200 p: 삽도, 24cm
총서명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86집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77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57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에 대한 미디어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대중 매체 이용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 구성원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고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 정책적 제안뿐만 아니라 미디어를 활용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과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거주하는 이주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50명 참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35부가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조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국 다문화 지원 센터의 협조를 얻어 다문화 구성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문적으로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미디어 소비 형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주민들의 미디어 수요 조사를 시도한 점과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미디어 소비 실태 분석과, 프로그램 및 콘텐츠 수요 조사 및 미디어 이용 동기 파악은 프로그램 제작 업체 및 미디어에 관련된 종사자들이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제작, 기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및 인력 구축 수립 시 실무자들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미디어 이용 동기와 사회 자본 형성과의 관계 분석의 결과는 이들의 한국 사회에 적응 과정에 대한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수요 조사 및 미디어 이용 동기 그리고 사회 자본 형성의 프레임을 적용한 연구로서 독창적 가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다문화 현상 및 동향 2. 연구의 필요성 3. 본 연구의 독창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Ⅱ. 이론적 배경 제1절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다문화주의 등장 배경 2. 다문화주의 개념 3. 동화주의 개념 제2절 국내 다문화 정책 현황 1. 국내 다문화 정책의 현주소 2. 국내 다문화 정책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3. 국내 거주 외국인 통계 현황 제3절 세계 다문화주의 현황 1. 미국 다문화주의 2. 프랑스 다문화주의 3. 독일 다문화주의 4. 일본 다문화주의 5. 호주 다문화주의 제4절 자본 개념의 변화 1. 자본의 개념 2. 사회적 자본 형성 3. 사회적 자본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제5절 미디어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1. 이용­충족의 이론 2. 고전적 미디어 3. 뉴미디어 4. 미디어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Ⅲ. 연구 방법론 제1절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흐름도 2. 사회적 자본 및 미디어 이용 동기 하위 요소 도출 과정 3. 연구 문제 도출 4. 설문 항목 도출 Ⅳ. 연구 결과 분석 제1절 인구통계학적 분석 1. 연구 분석 방법 2. 수집된 표본의 특성 제2절 사회적 자본 및 미디어 이용 동기 요인분석 1. 사회적 자본 예비 항목 추출 2. 사회적 자본 탐색적 요인분석 3. 미디어 이용 동기에 대한 예비 항목 추출 4. 미디어 이용 동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5. 인터넷 이용 동기에 대한 예비 항목 추출 6. 인터넷 이용 동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제3절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소와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2. 매스미디어 이용량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3. 인터넷 이용 패턴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4. 텔레비전 이용 패턴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5. 장르별 이용 패턴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6. 신뢰 및 네트워크와 사회정치 참여와의 관계 Ⅴ. 결론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제2절 연구 결과의 함의 제3절 연구 결과의 전략적 시사점 및 활용 방안 1. 연구 결과의 시사점 2. 정책 활용 가능성 3. 경제 및 사회적 기여도 4.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5. 관련 분야 예상 파급효과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