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2017년 BEST 30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Ⅲ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형태사항
437 p: 삽도, 27cm
일반주기
연구보고 15-R17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975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97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59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59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이후의 삶과 경험 실태 및 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패널조사를 통해 이들의 학업 중단 이후의 실태와 이행경로를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자료를 통해 학업중단 현황 및 국내 ·외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협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질적 효율성을 제고 하였다. 또한 3개년에 걸친 패널조사를 분석하고 관련 전문가 및 정책 담당자들의 자문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3개년 변화 추이를 보면, 중·고등학교 중단 상태 267명(54.0%), 중·고등학교 재학 중 68명(13.8%), 중·고등학교 졸업 상태 19명(3.8%), 대학진학 135명(27.3%)이었다. 3년간 복교율은 34.4%, 재중단율은 20.0%로 나타났다. 검정고시 공부 경험 및 직업기술 훈련 경험은 점차 낮아졌으며, 하루 8시간 이상 일한 경험률은 점차 늘었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중단 후 이행경로와 경로별 특성을 살펴보면, 학업중단 후 3년째에 학업형이 50.4%, 직업형이 32.4%, 무업형이 11.1%, 비행형이 6.0%로 추정되었다. 자아존중감, 학업중단사유, 학업중단 시 제공받은 정보, 중단 후 성인 멘토를 만나는 기관, 청소년의 교육기대수준 등이 중단 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과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교결과 충동성은 일반청소년이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보호관찰 청소년은 2차년도에 약간 감소하였다가 다시 높아져 일반청소년보다 높아졌다. 사회적 낙인감은 보호관찰 청소년이 느끼는 사회적 낙인감이 일반청소년보다 높았으나 3차년도에는 일반청소년과 비슷해졌다. 양 집단 모두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학대가 3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친구 비행 성향 역시 양 집단 모두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식습관은 3차년도에는 양 집단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급격히 나빠지는 양상을 보였고, 비행관련경험은 중비행의 경우 양 집단 모두 감소하였다. 이 중 중비행 감소의 경우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현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향후 진로결정 여부에 대해서는 일반청소년의 진로결정 비율이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여섯 개의 영역에서 모두 16개의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여섯 개의 영역은 첫째, 대상자 발굴 및 연계 강화 영역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이행경로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영역 셋째, 더 많은 청소년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제 구축 영역 넷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교육 및 생활지도 영역 다섯째, 학업중단 예방 영역 여섯째, 정책기반 강화 영역 등이며, 각 영역별 세부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방법 8 Ⅱ. 학업중단 및 관련 정책 현황 분석 11 1. 학업중단 현황 및 학업중단 청소년의 규모, 통계적 소재 및 이행경로 추정 13 2. 관련 정책 현황 분석 37 Ⅲ. 패널조사 방법 49 1. 패널구축 및 조사설계 51 2. 조사내용 및 설문지 구성 53 3. 조사과정 61 4. 패널실사 74 5. 자료검증 및 처리 83 6. 패널유지 현황 및 이탈패널 분석 89 Ⅳ.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결과 93 1. 응답자 특성 95 2.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결과 97 3. 소결 171 Ⅴ. 학업중단 청소년 심층 분석 175 1.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의 중단 후 이행경로와 관련변인 177 2.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과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의 변화 양상 비교 250 Ⅵ. 결론 및 정책제언 313 1. 결 론 315 2. 정책제언 323 참고문헌 335 부 록 341 Abstract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