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2017년 BEST 30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357 p: 삽도, 27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6650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665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66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66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세대 간 갈등을 예방하고, 세대통합을 증진함으로써 사회통합 수준을 제고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영역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2차 자료 분석 및 국제 비교, 법령 및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론적 이해를 도모하고, 연구의 기본 관점을 설정하였다. 또한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세대문제에 대한 청소년, 중장년 및 노년 등 다양한 세대의 인식을 비교해서 살펴보고, 국제 비교를 통해 한국 사회의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의 현주소를 진단하였다. 다음으로, 세대통합 관련 법령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세대통합 관련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검토하고, 그간 추진된 세대통합 관련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였다. 아울러,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과 관련된 국내・외 프로그램 사례 중 대표적인 사례를 선별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영국, 미국과 국내 사례 및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실시되는 국제적인 세대통합 활동을 검토하였다. 한편, 청소년의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세대통합역량 수준을 점검하기 위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노화 및 노인에 관한 인식,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에 관한 인식, 세대통합역량 수준, 세대통합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연구내용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 정책협의회 등을 거쳐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수립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정책과제는 크게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 추진 기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 참여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세대통합 문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협력 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세대통합 프로그램 운영 인력 양성 및 이들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정책 결정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세대 간 균형 유지를 위해 미래세대의 정책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거버넌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1. 문제 제기와 연구 동기 3
1) 문제 제기 3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3) 연구 개관 7
2. 용어의 정의 8
3. 연구내용 9
1) 세대갈등, 세대통합 및 세대통합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9
2) 2차 자료 분석 및 국제비교 10
3) 세대통합 관련 법령 및 정책 분석 10
4) 청소년 대상 세대통합 교육프로그램 사례 분석 11
5) 청소년의 세대통합 인식 및 세대통합역량 설문조사 11
6)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및 제안 12
4. 연구방법 13
1) 문헌연구 13
2) 전문가 자문 13
3) 사례 분석 14
4) 양적 연구 14
5) 관계부처와의 협의 15
5. 연구추진체계 15
Ⅱ. 논의의 배경 17
1. 세대, 세대갈등, 세대통합에 대한 개념적 이해 19
1) 세대에 대한 개념적 이해 19
2) 세대갈등 21
3) 세대통합 24
2.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 영향요인 25
1) 세대갈등 영향요인 25
2) 세대통합 영향요인 30
3.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32
4. 세대통합에 관한 정책연구의 성과와 한계 34
5. 한국사회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의 현주소 37
1) 분석의 개요 37
2)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에 대한 인식 39
3) 세대 간 상호 이해 및 인식 비교 46
4)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 수준 국제 비교 56
6. 요약 및 시사점 61
Ⅲ. 세대통합 관련 법령 및 정책 분석 65
1. 분석의 개요 67
2. 세대통합 관련 법령 분석 68
1) 「청소년기본법」 및 「청소년활동진흥법」 68
2) 「인성교육진흥법」 70
3) 법령 분석의 시사점 75
3. 세대통합 관련 정책 분석 77
1) 범부처 종합계획 77
2) 청소년 대상 세대통합정책의 구체적 사례:「청소년정책 시행계획」 분석 102
4. 요약 및 시사점 115
Ⅳ.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사례 분석 117
1. 사례 분석의 개요 119
2. 영국 뉴캐슬언더라임 지역의 「세대 간 지역사회 실천(Intergenerational Community Action)」 프로그램 123
1) 배경 123
2) 주요 내용 124
3) 성과 및 시사점 127
3.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세대통합 프로그램 131
1) 배경 131
2) 주요 내용 132
3) 시사점 140
4. 동영상을 활용한 세대공감활동, 메모로(MEMORO) 프로그램 141
1) 배경 및 개요 141
2) 운영 방법: 기억동영상의 수집 과정 143
3) 메모로 프로그램의 특징 149
4) 국내 메모로 활동 사례 150
5) 성과 및 시사점 155
5. 커뮤니티 매핑을 통한 세대 공감 활동, 「동네한바퀴in종로구」 159
1) 배경 및 목적 159
2) 주요 내용 160
3) 성과 및 시사점 167
6. 요약 및 시사점 170
Ⅴ. 청소년의 세대통합 인식 및 세대통합역량 설문조사 177
1. 조사 개요 179
1) 조사 대상 179
2) 설문의 구성 및 문항 개발 179
3) 표본 설계 190
2. 분석 결과 193
1) 노화와 노인에 대한 인식 194
2) 한국사회 세대갈등에 대한 인식 207
3) 세대 간 소통 및 교류 경험 213
4) 세대통합교육 및 프로그램 참여 경험 221
5) 세대통합역량 실태 분석 237
6) 세대통합 방안에 대한 인식 255
7) 세대통합역량 영향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 257
8) 요약 및 시사점 270
Ⅵ.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279
1. 정책과제 도출의 기본 관점과 방향 281
1) 기본 관점 281
2) 기본 방향 282
2. 정책과제 287
1)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 추진 기반 구축 287
2) 세대통합 프로그램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학교교육 연계 292
3)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 구축 304
4) 세대통합 프로그램 운영 인력 양성 및 전문성 확보 지원 311
5)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결정 환경 조성 319
참고문헌 325
부록 339
1. 「청소년의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 실태조사」 조사안내문 및 동의서 341
2. 「청소년의 세대갈등 및 세대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