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2017년 BEST 30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연구 I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377 p: 삽도, 27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 비통제주제어
- 학교밖청소년, 학교밖청소년이행경로, 이행경로별맞춤형지원정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6654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665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66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665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이후의 이행경로별 특성, 이행경로의 변화, 변화요인을 파악하여 이행경로별 맞춤형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 연계하여 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패널 및 면접조사를 활용하여 이행경로별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국내외 정책을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패널을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에 연계하여 향후 1년간 사례관리를 하도록 하였고 초기 사례관리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행경로별 특성을 보면 학업형은 진로탐색이 활발하며 다른 유형에 비해 심리·정서적으로 가장 좋은 상태다. 직업형은 사회적응능력이 높지만 우울하고 사회적 낙인감이 높고, 수면시간과 식습관이 불규칙한 편이다. 무업형은 진로정보가 부족하고 미래의 계획 결정 정도가 낮았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정서가 강했다. 필요한 도움에 대해서는 학업형과 직업형은 진로상담을, 무업형은 심리 상담과 취업지원을 원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이행경로 변화를 보면 68%가 중단 후 3년차까지의 유형을 4차 년도에도 유지했으며, 그 중 긍정적인 유지는 58.3%, 부정적 유지는 9.2%였다. 전환 유형 중 긍정적 전환은 7.3%, 부정적 전환은 8.8%였으며, 학업과 직업 간 전환은 16.5%였다. 셋째, 심층면접 결과 학업형은 긍정적 경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주변의 도움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무업형은 부정적 경로 유지가능성, 직업형은 경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이용실태를 보면 검정고시 등 학업 관련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서비스는 요청이 많았지만 제공률이 낮았다. 외부기관 연계에서도 취업관련 기관 연계는 적은 편이었다.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 이유로는 청소년과 서비스 제공시간이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는 7~18세 학령기 42만 명, 19~24세 25만 명으로 추정되었다. 여섯째, 국외와 비교하였을 때 국내에는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연령별 맞춤형 학업지원 지도, 복교 및 학업지원을 위한 정부 및 교육청의 역할,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정책 지원 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영역에서 모두 24개의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다섯 개의 영역은 첫째, 학업지원 대책, 둘째,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대책, 셋째, 은둔 무업형 청소년 지원 대책, 넷째, 전달체계: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강화이며, 다섯째, 다각적인 학교 밖 청소년 발굴체계 구축이며 각 영역별 세부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6
3.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방법 10
Ⅱ. 학교 밖 청소년 패널조사 결과 15
1. 조사개요 17
2. 이행경로별 기초분석 40
3. 학교 밖 청소년의 이행경로 변화유형별 특성 145
Ⅲ.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실태 179
1. 조사개요 181
2.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현황 192
3. 요약 및 논의 213
Ⅳ.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 및 국내외 정책사례 분석 219
1.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 221
2.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와 지원정책 현황 236
3. 국외정책 및 프로그램 사례 261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81
1. 요약 및 시사점 283
2. 정책제언 299
참고문헌 315
부 록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