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706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706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고려인들의 강인하고 슬기로운 생존력 문화
한민족 해외동포사의 견지에서 볼 때 중앙아시아는 특수한 지역이라고 보고 있다. 중앙아시아는 1937년 구소련의 스탈린 독재정권에 의해 극동지역으로부터 19만 여명의 한인들이 집단 정착지로 강제 이주된 곳으로써 한민족의 울분이 담긴 장소이자 과거에 대한 악몽을 더듬어보게 하는 새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고려인들이 강제 이주를 당한 지 어느 새 75여 년이 흘렀다. 강제 이주 후 75여 년간 고려인들이 어떻게 살아왔으며 배달민족의 문화유산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켜왔는가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려인들이 이방인이 된 처지의 실태를 밝혀야 하며 소련 극동지방으로부터 강제 이주를 당하게 되는 범죄행위의 실제원인을 도출해내어야 하는 과제는 여전히 현실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문명과 문화는 인간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발전되어왔다는 것이 보편적 진리인 것처럼,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역시 그 지역에 정착한 고려인들에 의해 보존 발전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대상은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들이 이룩한 물적 혹은 정신적 가치소산이자 그 테두리 안에서의 한국문화가 되었다.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는 한인 관련 구소련 미공개 고문서들의 탐색, 이미 발표된 혹은 중앙아시아 한인들에 관한 문헌들과 관련자료의 연구, 사료추적(史料追跡)을 위한 현지답사와 관계분야 증인들과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자료들을 확보하며 체계적으로 정리, 배열하는 형태를 취해, 고려인들의 문화에 대한 학문적·실질적 해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민족 해외동포사의 견지에서 볼 때 중앙아시아는 특수한 지역이라고 보고 있다. 중앙아시아는 1937년 구소련의 스탈린 독재정권에 의해 극동지역으로부터 19만 여명의 한인들이 집단 정착지로 강제 이주된 곳으로써 한민족의 울분이 담긴 장소이자 과거에 대한 악몽을 더듬어보게 하는 새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고려인들이 강제 이주를 당한 지 어느 새 75여 년이 흘렀다. 강제 이주 후 75여 년간 고려인들이 어떻게 살아왔으며 배달민족의 문화유산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켜왔는가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려인들이 이방인이 된 처지의 실태를 밝혀야 하며 소련 극동지방으로부터 강제 이주를 당하게 되는 범죄행위의 실제원인을 도출해내어야 하는 과제는 여전히 현실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문명과 문화는 인간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발전되어왔다는 것이 보편적 진리인 것처럼,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역시 그 지역에 정착한 고려인들에 의해 보존 발전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대상은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들이 이룩한 물적 혹은 정신적 가치소산이자 그 테두리 안에서의 한국문화가 되었다.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는 한인 관련 구소련 미공개 고문서들의 탐색, 이미 발표된 혹은 중앙아시아 한인들에 관한 문헌들과 관련자료의 연구, 사료추적(史料追跡)을 위한 현지답사와 관계분야 증인들과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자료들을 확보하며 체계적으로 정리, 배열하는 형태를 취해, 고려인들의 문화에 대한 학문적·실질적 해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1.1. 아프라시압의 벽화
1.2. 한국인이 아프라시압에 나타나게 된 시대적 배경
1.3. 아프라시압의 벽화와 혜초의 중앙아시아 탐방이 현대 한인들에게 주는 메시지
제2장. 중앙아시아의 첫 한국인
2.1.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이민문화
2.2. 강제이주 전의 고려인들
2.3. 중앙아시아는 이슬람문화권
제3장. 중앙아시아 지역으로의 고려인 강제이주와 공포시대의 대두
3.1. 1937년의 극동 정세와 고려인들
3.2. 강제이주와 가치관
3.3. 불모지에서 소생한 고려인들, 중앙아시아에 정착
3.4. 고려인들의 교육문화
3.5 고려인들의 동화문화
제4장.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한국문화
4.1. 북한과 한국문화 영향권 속에서의 고려인들
4.2. 고려인들 속에서의 한국어
4.2.1. 타슈켄트 국립동방학대학교
4.2.2. 타슈켄트 국립니자미사범대학교
4.2.3.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어와 한국학
4.2.4. 세종한글학교
4.2.5. 타슈켄트 한국교육원
4.2.6. 한국어 교육의 일선에 서 있는(서 있어야 할) 교사들
4.3.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한 고려인들
4.3.1. 고려극장
4.3.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사회의 예술계
4.4.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매체
4.4.1. 한국어신문 《고려일보》
4.4.2. 고려인들의 TV와 라디오
제5장. 탈냉전기의 중앙아시아 고려인들
5.1. 88서울올림픽과 문화적 가치관의 갱신(更新)
5.2. 한국인들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고려인들
5.2.1. 한국 기업인들의 중앙아시아 경제개발에서 고려인들의 역할
5.3. 번영하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사회
5.4. 한국과 중앙아시아 나라들 간의 경제문화교류
제6장. 이슬람문화와 한국문화의 공생(共生)
6.1. 고려인들의 종교문화
6.2. 고려인들의 전통예식
6.3. 고려인들의 음식문화
제7장. 고려인들의 민간단체
7.1. 카자흐스탄 고려인협회
7.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화협회
맺는말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