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8121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812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81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812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진로교육법 제5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에 의거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 이주배경청소년,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소외계층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 진로요구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 현황과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한 후,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을 제시하면, 우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약 70%는 지적장애 학생이며 이들 중 약 54%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다. 이주배경청소년은 다문화가족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 탈북청소년, 외국인근로자자녀 등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구성된다. 학교부적응 유형 역시 수업 및 학업부적응, 정서적 부적응, 인간관계 부적응, 규칙 위반형 부적응, 공격성 부적응, 획일적 학교제도 거부형으로 구분되는 등 다양하며,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경험 사건 분류를 통해 학업, 직업, 무업, 비행형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들 집단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및 소극적 태도, 기초학력 부족, 자기이해 부족,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의 특성을 보이며, 낮은 진로의식 수준, 진로정보 부족과 높은 진로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진로교육 목표 및 방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 교수방법, 진로교육 전달체계 및 여건개선을 기준으로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다.
상술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4대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4개 추진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용어의 정의 4
3. 연구 내용 6
4. 연구방법 7
1) 문헌연구 7
2) 전문가 포럼 및 자문조사 7
5. 연구보고서의 구성 9
Ⅱ.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 특성 및 진로요구 11
1. 세부 유형 및 현황 13
1) 특수교육대상학생 13
2) 이주배경청소년 18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23
2. 특성 및 진로요구 27
1) 특수교육대상학생 27
2) 이주배경청소년 31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35
3. 요약 40
Ⅲ. 소외계층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 한계점 및 개선방안 43
1.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 45
1) 특수교육대상학생 45
2) 이주배경청소년 49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53
2.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관련 한계점 및 개선 방안 58
1) 특수교육대상학생 58
2) 이주배경청소년 63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68
3. 요약 73
Ⅳ.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77
1.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 79
2.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세부 과제 84
참고문헌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