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 참여 연구사업 운영을 통한 청소년활동 활성화 및 역량 증진방안 연구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형태사항
238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364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36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93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936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청소년이 전인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정책 수혜자뿐만 아니라 정책 주체로서 청소년 중심의 참여형 정책연구 개발을 위한 현황파악과 및 청소년 주도 정책사업의 주제를 발굴하고 스스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년 주도 참여형 연구 사업을 실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정책 및 연구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보고 관련 연구 및 정책에 대한 청소년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정책개발 및 연구 수행 시 청소년의 실제적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청소년 참여기반 활동 활성화를 위한 요구도 파악 및 의견을 수렴하여 청소년의 니즈를 탐색하고 청소년 정책방향 설정 시 이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즉 청소년 참여관점에서 청소년 활동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의 의견수렴 및 이를 통한 정책제언을 제시하고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청소년 정책, 사업 및 프로그램 중 현장 운용상에서의 문제점이나 개선해야 할 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청소년 주도 연구사업(10대 연구소)의 운영지원을 통한 청소년 참여형 연구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통한 청소년의 자기 주도 역량 제고 및 참여형 연구 모형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청소년 활동의 새로운 프로그램 영역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즉 청소년 지도자 주도의 정형화된 사업 중심의 청소년 활동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사회 내 청소년들이 구체적인 목표와 목적의식을 갖고 문제해결 기반 프로젝트 형태의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 공동체 내에서의 다양한 시각을 공유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소통과 협력을 촉진함으로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10대 청소년이 주도하여 당사자 시각에서 청소년과 자신 주변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조사하고 인문사회적 지식을 근간으로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사업은 청소년 참여 중심 인문사회연구 사업으로 청소년 중심 정책 환경의 주체로서 청소년의 권한을 강화하고 청소년 주도자기 참여 활동의 대안을 마련해 보고, 협력적 의사 결정 및 팀워크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추진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자기주도성을 증진하는 등 다양한 미래역량기술을 함양하고 청소년의 삶의 구체적 맥락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권한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4 3. 연구방법 5 Ⅱ. 청소년 참여 관련 실태조사 1. 조사 개요 9 2. 조사결과 분석 12 3. 조사결과 요약 74 Ⅲ. 청소년 참여 10대 연구소 결과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85 2. 사업 내용 및 방법 88 3. 10대 연구소 실행 과정 및 운영의 실제 96 4. 운영 내용 및 실제 100 Ⅳ. 청소년 참여 연구결과 주제 1. 우리는 왜 학원을 계속 다닐까? 131 주제 2. 10대 페미니스트로 산다는 것은 148 주제 3. 청소년은 왜 우울하다고 말 못할까? 170 Ⅴ. 정책제언 청소년 참여 관련 실태조사 결과 207 1. 정책현황 및 문제점 207 2. 정책제언 208 3. 기대효과 214 10대 연구소 운영사업 결과 216 1. 정책현황 및 문제점 216 2. 정책제언 217 3. 기대효과 225 참고문헌 227 부 록 231 Abstract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