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 20-R12-1

202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형태사항
115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001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00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300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300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주요한 영향변인인 양육태도를 보다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청소년의 양육태도 인식’에의 영향변인을 탐색하고 시사점 및 정책함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제2차년도 조사 자료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추출하는 동시에 자료의 구조와 양육태도 변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석모형을 활용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9년 조사 자료는 보호자와 원패널 청소년, 형제·자매 1인 이상 등 3명 이상의 응답자가 한 가구로 묶이는 자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응답자는 패널 청소년이거나 그의 형제·자매이다. 이때, 청소년 응답자를 개별 연구사례로 두고 분석하면 연구변인에 대하여 가구 내 형제·자매 간 높은 상관을 가져 불안정한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연구변인인 ‘양육태도 인식’은 가정 즉, 부모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동시에 한 가구 내에서도 개별 청소년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는 특성이다. 즉, 가구 내 분산이 존재하는 동시에 가구 간 분산이 공존하는 변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절편 위계선형모형(random-intercept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자료와 변인의 특성에 부합하는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 모형은 가구라는 상위 집단 속에 개별 청소년이 속한 구조를 가정하고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계수를 추정하는 모형이다. 분석자료는 KCYPS 2018 중1 코호트 2차년도의 청소년 1,745명, 845가구(보호자) 자료이며, 영향변인을 투입하지 않은 기초모형으로부터 가구수준 분산 비율과 유의성을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부모 및 가구 관련 특성을 투입하며 설명된 분산의 양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태도 인식에 부계변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버지는 자신의 개인특성(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양육방식을 달리하였고 투입한 모계변인 가운데서는 유의한 변인이 없었다. 또한 아침식사 제공과 부모와의 주말대화가 양육태도 인식에 가장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자녀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의 만족감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양육태도 인식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출생순서(막내일수록 긍정적)와 자녀 연령(낮을수록 부정적)도 양육태도 인식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와 국내·외 정책사례 비교, 문헌연구 등을 통하여 정책 및 가정의 실천사항에 대하여 제언하였는데, 먼저 아버지교육 내실화 및 참여율 제고와 관련하여 내용 체계를 보강한 다회기 프로그램의 확대, 양육주체로서의 참여를 독려하는 교육 방법의 도입(자조모임 등), 수요자의 참여 편의를 고려한 강좌 개설 등을 제안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육아지원 정책에 대하여서는 고용보험으로 한정된 재원을 별도기금 또는 일반조세 등으로 재원의 변화 또는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에서는 상호작용과지지 기능의 강화를 위한 실천전략으로 식사와 대화 등 함께하는 활동과 시간을 늘릴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null) 자료와 연구변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모형을 적용하여 가구 간 차이로 인한 분산 비율을 추정하였고, 형제·자매의 응답 결과라는 대규모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형제·자매의 순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양육태도 인식에 대한 아버지의 중요성을 연구 결과로 확인, 관련한 정책 개선안을 제시한 점 등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양육태도 개념 정의와 관련 변인 9 2. 형제/자매 관계가 청소년 성장, 발달에 미치는 영향 14 3. 부모의 양육태도 인식과 형제자매 유형과의 관련성 19 Ⅲ.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25 2. 측정 변인 25 3. 분석 방법 33 Ⅳ. 연구결과 1. 따스함 41 2. 거부 45 3. 자율지지 49 4. 강요 53 5. 구조제공 57 6. 비일관성 61 Ⅴ. 논의 1. 결과 요약 67 2. 제언 71 3. 결론 91 참고문헌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