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연구보고 20-R08-2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데이터 분석 보고서 2: 청소년 행복 결정요인에 대한 정형 빅데이터 연구
- 저자
- 홍성효 지음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93 p.: 삽도, 24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098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09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300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3009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통계청의 마이크로자료 제공 포털인 MDIS를 통해 제공되는 청소년 관련 자료를 이용해 청소년 행복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되 지역 내 청소년시설 접근성의 영향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행복을 주제로 하는 연구에 어떠한 마이크로자료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개별 자료의 한계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료 간 연계의 가능성을 예시적으로 제안한다.
분석자료로 통계청의 MDIS로 제공되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종합실태조사’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이용하였으며 t-test,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 순서형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을 구성하는 영역들 가운데 건강과 생활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다.
둘째, 이러한 삶의 영역에서의 만족도를 통제하고 난 이후에도 지역 내 청소년시설 가운데 수목원(수목림, 자연휴양림)에 대한 이용횟수로 측정된 접근성의 증가는 해당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하는 일에 대한 가치의 경우 삶의 영역별 만족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신에 수목원(수목림, 자연 휴양림)과 함께 청소년수련관(수련원), 문화의 집, 야영장에 대한 접근성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행복 결정요인에 관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2. 주요 연구내용 4
1) 청소년 행복 수준 4
2) 청소년 행복 결정요인 4
3. 연구방법 및 분석자료 5
1) 연구방법 5
2) 분석자료 5
Ⅱ. 청소년 행복 수준 9
1. 전반적인 행복 수준 11
2. 속성별 행복 수준 14
3. 지역 내 청소년 시설 이용 경험에 따른 행복 수준 17
1) 행복감 17
2) 근심/걱정 18
3) 우울감 19
4) 삶의 만족도 19
5)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부심 20
4. 삶을 구성하는 영역에 대한 만족과 행복 수준 21
1) 행복감 21
2) 걱정 22
3) 우울감 23
4) 삶의 만족도 23
5) 하는 일의 가치 24
Ⅲ. 청소년 행복 결정요인 27
1. 지역 내 청소년 시설 이용 경험과 행복 29
2. 자료의 제약으로 인한 분석의 한계 및 해결방안 41
1) 한계 41
2) 해결방안 42
Ⅳ. 결론 65
1. 연구의 요약 및 한계 67
2. 향후 과제 68
참고문헌 71
부록 75
Abstract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