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코로나 이후의 세상: 트위터 팔로워 총 490만 명, 글로벌 인플루언서 9인 팬데믹 대담
- 발행사항
- 파주: 모던아카이브, 2021
- 형태사항
- 294 p., 21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38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3038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세계적인 지식·교양 이벤트 멍크 다이얼로그
2020년 8월 코로나가 한창일 때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해 눈길을 끈 회사가 있다. 바로 세계 2위 광산업체 배릭 골드. 이 회사의 창업자인 피터 멍크는 기업의 사회적인 역할에도 관심이 많았다. 2006년 아내 멜라니 멍크와 함께 자선 재단을 만든 그는 2008년부터 ‘멍크 디베이트’라는 국제적인 토론 이벤트를 시작했다. 멍크 디베이트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 각국 정상뿐 아니라 알랭 드 보통, 헨리 키신저, 폴 크루그먼, 조던 피터슨처럼 세계적인 작가와 학자들이 참여했다. 매년 봄과 가을 수천 명의 유료 관객을 끌어모을 정도로 관심이 뜨거웠던 ‘멍크 디베이트’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일대일 대담으로 진행 방식을 바꿔야 했고, 그게 바로 ‘멍크 다이얼로그’다.
말콤 글래드웰 등 글로벌 인플루언서 9인 참여
멍크 다이얼로그 첫 시즌은 2020년 4월 9일부터 6월 10일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되었다. 주제는 ’The World After Covid’ 즉, 코로나 이후의 세상. 대담은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었고 이후 녹화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되어 누적 100만 회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타인의 해석』 『티핑 포인트』 로 유명한 말콤 글래드웰을 시작으로, 하버드대 정치학 박사 출신의 CNN 방송 진행자 파리드 자카리아, 세계 최대 채권운용회사인 핌코의 CEO 출신으로 기업 경제 고문인 모하메드 엘 에리언, 오바마 정부 UN대사이자 바이든 정부 국제개발처 처장인 서맨사 파워, 옥스퍼드대 박사로 『금융의 지배』를 쓴 영국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 “실리콘밸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동시에 선호하는 저널리스트”인 카라 스위셔, 빌 게이츠 선정 ‘올해의 책’인 『인간의 품격』을 쓴 데이비드 브룩스, 정치 컨설팅 싱크탱크인 유라시아 그룹 회장 이안 브레머, 덩샤오핑의 통역사로 유명한 중국 문제 전문가 빅터 가오가 참여했다. 대담자들은 미국, 영국, 캐나다, 중국 등 4개국 출신으로, 정치·경제· 역사등 각 분야 전문가인 동시에 중국인 빅터 가오를 제외하면 트위터로 매우 활발히 대중과 소통하는 명사들이다. 특히 카라 스위셔는 143만 명, 파리드 자카리아 102만 명에 달하는 등 대담자 8명의 팔로워 수를 합하면 490만 명에 달한다.
코로나 시대는 축구다
코로나가 우리 정치, 사회, 문화에 준 충격과 그 의미를 묻는 질문에 말콤 글래드웰은 농구와 축구에 비유해 설명했다. 농구는 카와이 레너드 같은 스타플레이어의 기량에 따라 승패가 좌우되는 반면, 축구는 가장 뒤처진 선수, 즉 ‘구멍’의 기량으로 승패가 좌우되는 ‘약한 고리’ 스포츠이며, 코로나 상황이 전형적인 약한 고리 위기라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고급 의료 기술과 인력 양성에 집중하던 기존의 정책에서 벗어나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같은 기본 인력 충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사회적으로도 ‘약한 고리’에 해당하는 취약 계층에 예산을 투입하고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품격』의 저자 데이비드 브룩스는 “이미 갈라진 산골짜기에 이제 빗물이 뿌려지고 있다”라며 팬데믹이 빈부격차와 흑백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위기가 진행 중이던 미국에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남길 것으로 봤다. 그런 브룩스가 제시한 키워드는 ‘안전’이었다. “어떻게 하면 내가 안전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신자유주의 종주국인 미국에서도 정부가 사람들의 삶에 더 적극적으로 관여하길 원하는 분위기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팬데믹은 미국 중심에서 벗어난 세계로의 이행 재촉해
파리드 자카리아는 코로나가 재촉한 트렌드로 미국 중심에서 벗어난 세계로의 이행을 들었다. 팬데믹 초기 트럼프 정부는 미국인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을 뿐 아니라 G7, G20회의 등 국제적인 대응 협의를 주도하기는커녕 ‘우한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공동 서명에 서명하지 않는 등 오히려 훼방을 놓았다는 점에서 세계의 모범이 되는 초강대국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는 것이다. 이번 위기로 이득을 얻는 나라를 묻는 질문에는 이제 정부의 크기나 지향 이념보다는 정부의 능력과 자질이 중요하며 그 점에서 한국이 “거의 최고”라며 치켜세우기도 했다.
팬데믹이 재촉한 것은 국제 정치적 상황만이 아니었다. 구글,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이른바 5대 빅테크 기업의 위상도 마찬가지다. 실리콘 밸리에 관한한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인 카라 스위셔는 코로나 이후 5대 빅테크 기업의 힘이 더 세졌고, 규제 기관이 이들을 제어하려는 의지나 힘은 저하되었다고 역설했다. 코로나로 소득 불평등과 공룡기업들의 막강한 권한이 자리잡게 되는 추세를 공고히 하게 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다양한 시각을 가진 글로벌 인플루언서, 코로나 이후의 세상 진단
대담자별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진행된 이 대담에서는 재택근무와 일자리 문제 같은 개인의 삶과 관련된 문제부터 가짜 뉴스, 의료 시스템, 미중 관계, 기후 변화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가 다뤄졌다. 진행자 러디어드 그리피스는 대담 주요 내용을 정리해서 책으로 펴냈는데 그게 바로 이 책 『코로나 이후의 세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벌어진 후 국내에서도 거시적 시각에서 사태를 진단하고 미래를 내다본 전문가들의 의견을 정리한 사례가 종종 있었다. 이 책 역시 그런 움직임의 일환이지만, 대담에 참가한 사람들이 소셜미디어 영향력 면에서 압도적이고, 여성과 동성애자까지 포괄했으며, 주로 서양 지식인의 시각이지만 중국 전문가인 빅터 가오를 포함시켜 드물게 중국 측 시각을 들어 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책이 뿌리를 둔 멍크 다이얼로그는 유행에 편승한 단발성 기획이 아니라 10년 이상 전통을 가진 멍크 디베이트라는 글로벌 이벤트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도 다른 기획과는 확실히 차별화된다.
2020년 8월 코로나가 한창일 때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해 눈길을 끈 회사가 있다. 바로 세계 2위 광산업체 배릭 골드. 이 회사의 창업자인 피터 멍크는 기업의 사회적인 역할에도 관심이 많았다. 2006년 아내 멜라니 멍크와 함께 자선 재단을 만든 그는 2008년부터 ‘멍크 디베이트’라는 국제적인 토론 이벤트를 시작했다. 멍크 디베이트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 각국 정상뿐 아니라 알랭 드 보통, 헨리 키신저, 폴 크루그먼, 조던 피터슨처럼 세계적인 작가와 학자들이 참여했다. 매년 봄과 가을 수천 명의 유료 관객을 끌어모을 정도로 관심이 뜨거웠던 ‘멍크 디베이트’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일대일 대담으로 진행 방식을 바꿔야 했고, 그게 바로 ‘멍크 다이얼로그’다.
말콤 글래드웰 등 글로벌 인플루언서 9인 참여
멍크 다이얼로그 첫 시즌은 2020년 4월 9일부터 6월 10일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되었다. 주제는 ’The World After Covid’ 즉, 코로나 이후의 세상. 대담은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었고 이후 녹화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되어 누적 100만 회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타인의 해석』 『티핑 포인트』 로 유명한 말콤 글래드웰을 시작으로, 하버드대 정치학 박사 출신의 CNN 방송 진행자 파리드 자카리아, 세계 최대 채권운용회사인 핌코의 CEO 출신으로 기업 경제 고문인 모하메드 엘 에리언, 오바마 정부 UN대사이자 바이든 정부 국제개발처 처장인 서맨사 파워, 옥스퍼드대 박사로 『금융의 지배』를 쓴 영국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 “실리콘밸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동시에 선호하는 저널리스트”인 카라 스위셔, 빌 게이츠 선정 ‘올해의 책’인 『인간의 품격』을 쓴 데이비드 브룩스, 정치 컨설팅 싱크탱크인 유라시아 그룹 회장 이안 브레머, 덩샤오핑의 통역사로 유명한 중국 문제 전문가 빅터 가오가 참여했다. 대담자들은 미국, 영국, 캐나다, 중국 등 4개국 출신으로, 정치·경제· 역사등 각 분야 전문가인 동시에 중국인 빅터 가오를 제외하면 트위터로 매우 활발히 대중과 소통하는 명사들이다. 특히 카라 스위셔는 143만 명, 파리드 자카리아 102만 명에 달하는 등 대담자 8명의 팔로워 수를 합하면 490만 명에 달한다.
코로나 시대는 축구다
코로나가 우리 정치, 사회, 문화에 준 충격과 그 의미를 묻는 질문에 말콤 글래드웰은 농구와 축구에 비유해 설명했다. 농구는 카와이 레너드 같은 스타플레이어의 기량에 따라 승패가 좌우되는 반면, 축구는 가장 뒤처진 선수, 즉 ‘구멍’의 기량으로 승패가 좌우되는 ‘약한 고리’ 스포츠이며, 코로나 상황이 전형적인 약한 고리 위기라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고급 의료 기술과 인력 양성에 집중하던 기존의 정책에서 벗어나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같은 기본 인력 충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사회적으로도 ‘약한 고리’에 해당하는 취약 계층에 예산을 투입하고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품격』의 저자 데이비드 브룩스는 “이미 갈라진 산골짜기에 이제 빗물이 뿌려지고 있다”라며 팬데믹이 빈부격차와 흑백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위기가 진행 중이던 미국에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남길 것으로 봤다. 그런 브룩스가 제시한 키워드는 ‘안전’이었다. “어떻게 하면 내가 안전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신자유주의 종주국인 미국에서도 정부가 사람들의 삶에 더 적극적으로 관여하길 원하는 분위기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팬데믹은 미국 중심에서 벗어난 세계로의 이행 재촉해
파리드 자카리아는 코로나가 재촉한 트렌드로 미국 중심에서 벗어난 세계로의 이행을 들었다. 팬데믹 초기 트럼프 정부는 미국인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을 뿐 아니라 G7, G20회의 등 국제적인 대응 협의를 주도하기는커녕 ‘우한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공동 서명에 서명하지 않는 등 오히려 훼방을 놓았다는 점에서 세계의 모범이 되는 초강대국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는 것이다. 이번 위기로 이득을 얻는 나라를 묻는 질문에는 이제 정부의 크기나 지향 이념보다는 정부의 능력과 자질이 중요하며 그 점에서 한국이 “거의 최고”라며 치켜세우기도 했다.
팬데믹이 재촉한 것은 국제 정치적 상황만이 아니었다. 구글,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이른바 5대 빅테크 기업의 위상도 마찬가지다. 실리콘 밸리에 관한한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인 카라 스위셔는 코로나 이후 5대 빅테크 기업의 힘이 더 세졌고, 규제 기관이 이들을 제어하려는 의지나 힘은 저하되었다고 역설했다. 코로나로 소득 불평등과 공룡기업들의 막강한 권한이 자리잡게 되는 추세를 공고히 하게 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다양한 시각을 가진 글로벌 인플루언서, 코로나 이후의 세상 진단
대담자별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진행된 이 대담에서는 재택근무와 일자리 문제 같은 개인의 삶과 관련된 문제부터 가짜 뉴스, 의료 시스템, 미중 관계, 기후 변화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가 다뤄졌다. 진행자 러디어드 그리피스는 대담 주요 내용을 정리해서 책으로 펴냈는데 그게 바로 이 책 『코로나 이후의 세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벌어진 후 국내에서도 거시적 시각에서 사태를 진단하고 미래를 내다본 전문가들의 의견을 정리한 사례가 종종 있었다. 이 책 역시 그런 움직임의 일환이지만, 대담에 참가한 사람들이 소셜미디어 영향력 면에서 압도적이고, 여성과 동성애자까지 포괄했으며, 주로 서양 지식인의 시각이지만 중국 전문가인 빅터 가오를 포함시켜 드물게 중국 측 시각을 들어 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책이 뿌리를 둔 멍크 다이얼로그는 유행에 편승한 단발성 기획이 아니라 10년 이상 전통을 가진 멍크 디베이트라는 글로벌 이벤트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도 다른 기획과는 확실히 차별화된다.
목차
한국어판 추천사
피터 멍크의 편지
말콤 글래드웰과의 대화
파리드 자카리아와의 대화
모하메드 엘 에리언과의 대화
서맨사 파워와의 대화
니얼 퍼거슨과의 대화
카라 스위셔와의 대화
데이비드 브룩스와의 대화
이안 브레머와의 대화
빅터 가오와의 대화
대담자 소개
진행자 소개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