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Ⅱ: 10대 청소년: 청소년 미디어 교육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193 p.: 삽도, 24cm
- 일반주기
- 연구보고 21-R17-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1-78-02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645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64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3064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306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소셜리빙랩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부모들이 참여자로서의 실천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주도적으로 재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부모 교육의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 부모 참여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와 코로나19 팬데믹이 맞물리며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가정 내 미디어 이용 지도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들은 자녀의 연령 측면에서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등 어린 자녀의 양육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고, 프로그램의 내용 측면에서는 가급적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시기를 늦추도록 하고 이용 시간 조절과 통제를 강조하는 미디어 과의존 및 역기능 예방 등 보호주의적인 관점의 교육을 실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연령층과 특성에 따라 자녀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조언하고 탐구하는 새로운 방식의 부모 미디어 교육과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에 근거한 새로운 부모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으로서 ‘소셜리빙랩’은 기존 공급자 중심의 연구와 개발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살아 있는 일상생활의 실험실을 특정 지역의 생활 공간 속에 만들어 공공-민간-시민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리빙랩’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연구와 국내외 전문가 자문 및 연구진 숙의를 바탕으로 한 소셜리빙랩을 실천함으로서 내실있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구성 실천하였다. 연구는 크게 4단계인 <부모 참여자 모집과 선정>, <부모 참여자 대상 설문 및 인터뷰 질문 항목의 설계>, <‘자녀의 미디어 중재자로서 부모의 이해 증진’을 위한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의 운영>,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및 집필>로 진행되었다.
부모참여중심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은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참여자(core participants)이자 의미구성 주체로서 부모를 상정하였다. 즉, 부모에 대한 관점을 ‘자산의 학습자관(resource view of learners)’으로 채택함으로써 삶의 과정에서 습득한 다양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존재로 부모들을 이해하면서 그들이 지닌 지적 특성과 경향성을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의 참여적 학습을 촉진하는 가장 핵심적인 ‘지식 자원(funds of knowledge)’으로 활용하였다.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은 ‘성찰적 학습자와 정체성의 변화’, ‘자기경험의 맥락화와 객관화’, ‘실천공동체와 대화적 참여’원리를 바탕으로 총 3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각 수업은 90분의 길이로 기획되었으나 부모 학습자들의 요구에 의하여 매 차시 30분 이상을 초과한 토론 수업이 운영되었다.
프로그램 운영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참여 과정에서 새로운 학습을 경험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참여 과정에서 참여자(부모)들은 또래부모들 간 공통의 경험 나누기’, ‘솔직하고 개방적인 대화를 통한 교감’으로 인한 또래부모와의 교감을 경험하였으며, 개인 과제 활동을 통해 ‘자녀의 입장과 생각을 듣기 위한 소통의 시도’, ‘부모의 학습 과정과 노력의 공유’를 통해 자녀와 새로운 방식으로서 소통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녀의 미디어 이용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인식하였고 자녀와 미디어에 대한 소통 태도가 변화하였다. 또한 미디어 이용자로서 자녀에 대한 신뢰 형성.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관찰하거나, 직접 대화를 나누어 봄으로써 자녀가 생각 없이 놀이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진지한 태도로 임하고 있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다양한 목적을 위해 능동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결국 중재 방식과 태도의 변화로도 이어졌다. 변화의 양상은 참여자들 마다 차이가 있지만, ‘미디어 이용 조절에 대한 합의된 규칙의 적용’, ‘ 콘텐츠 감시에서 대화를 통한 능동적 중재로의 변화’, ‘자녀의 미디어 능동적 활용에 대한 지원’,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학습을 지속하기‘ 등의 전략을 습득하고 실천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운영 결과 가정 내 미디어 지도 상황의 복잡성으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미디어 이용 중재자로서 역할 갈등,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었다. 부모들의 이러한 특성은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사춘기 자녀의 부모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역할 갈등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즉,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자녀와의 관계, 의사소통 방식, 양육 태도 등을 점검하며 부모로서 바람직한 역할 수행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하며, 다른 삶의 영역에서의 역할과 통합적으로 부모 정체성을 구성해 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참여자인 부모들은 특정한 기법이나, 지도 과정에서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양식화된 대화법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에 대한 표준화된 정답이 존재하지 않을뿐더러 중기 청소년으로 이행하는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부모가 일방적인 제한과 같은 중재를 시도한다면 갈등만을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부모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리터러시의 다층적 요소에 대한 이해는 물론 미디어 이용자로서 자신에 대한 성찰, 자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자신과 자녀의 관계, 삶의 맥락, 자녀의 특성을 고려한 총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들이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주도적으로 재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마련하기 위해 소셜리빙랩을 방법론적으로 적용한 파일럿 연구이다. 소셜리빙랩의 방법론을 청소년 부모의 미디어 교육에 적용하여 기존의 일회적 강의 중심의 교육을 지양하고 부모가 전문가와 대화적 관계를 맺으며 참여하면서 스스로의 삶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 및 관계를 구성하였다. 파일럿 연구로 시도한 부모 미디어 교육을 위한 소셜리빙랩 운영에서 즉각적으로 드러나거나 발견된 것들을 중심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일반적 논의 사항 및 정책 제안을 아래의 몇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 부모의 미디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리빙랩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부모들이 참여자로서 실천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주도적으로 재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부모 교육의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부모 참여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더욱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확대 적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근거 중심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연구 개발과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디어와 관련된 쟁점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청소년들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그들이 이용하는 미디어도 변화하고 청소년들이 만들어내는 미디어 문화도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기술과 문화가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 및 부모가 궁금해 하는 질문이나 염려에 대해서도 지속적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기관, 단체 및 전문가들이 연대하여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준 높은 근거 기반의 부모 디지털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화상회의 및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한 부모 지원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며 이루어진 소셜리빙랩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기존의 보호주의와 기능주의를 벗어난다는 의미가 있었으나,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방식에 있어서도 디지털 미디어가 의사소통과 집단의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부모들이 보다 실감할 수 있게 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더불어 미국의 커먼센스 미디어, 캐나다의 미디어스마트, 영국의 페어런트 존 등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온라인을 통해 긴급하고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플랫폼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관과 단체, 학교, 청소년센터 등에서 미디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3
2. 연구 방법7
Ⅱ. 선행 연구 및 부모 프로그램 현황
1. 미디어에 대한 부모 중재 관련 선행 연구21
2.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디지털 페어런팅의 변화26
3. 소셜리빙랩 연구 방법론32
4. 국내 부모 미디어교육 프로그램42
Ⅲ. 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참여중심 소셜리빙랩의 설계와 운영
1.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50
2. 소셜리빙랩 프로그램의 구성 59
3.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활용72
Ⅳ.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1. 사전 조사 결과83
2. 참여 과정에서의 연구참여자의 학습 경험100
3. 연구 참여자의 변화113
4. 소셜리빙랩의 결과: 부모들이 함께 만든 디지털 페어런팅 FAQ133
5. 소셜리빙랩 운영 결과의 논의 145
Ⅴ. 연구의 요약과 논의 및 정책 제언
1. 연구의 요약과 논의157
2. 정책 제언 162
참고문헌167
부록
1. 소셜리빙랩 참여자 모집 웹포스터183
2. 참여자 사전설문 문항185
국문초록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