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제 활동/역량/그릿 A
사회 : 유성렬(백석대학교)
1.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진로결정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3
• 발표 : 최영미(강서대학교), 김수란(한국해양대학교)
• 토론 : 한윤영(숭실대학교)
2.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잠재계층분석의 적용 29
• 발표 : 전혜영(부경대학교)
• 토론 : 백혜정(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그릿 변화양상과 영향변인 탐색 51
• 발표 : 정혜원(충남대학교), 신유진(충남대학교), 정세빈(충남대학교)
• 토론 : 임선아(전북대학교)
2주제 심리/정서 A
사회 : 임성택(강원대학교)
1. 성장혼합모형 적용을 통한 청소년기 주의집중 문제의 종단변화 유형과 관계성의 영향 분석 83
• 발표 : 김진철(동강대학교)
• 토론 : 최동규(부경대학교)
2. 고등학생의 정서문제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회귀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영향 분석 107
• 발표 : 허혜민(경상국립대학교), 조한익(경상국립대학교)
• 토론 : 한천우(계명대학교)
3.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계 변인의 영향 137
• 발표 : 허유성( 조선대학고), 김민성(조선대학고)
• 토론 : 나경은(중부대학교)
3주제 미디어/문제행동 A
사회 : 김진호(한국방송통신대학교)
1.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부모와 중학생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전이 양상 및영향요인 분석 171
• 발표 : 최유석(경북대학교), 허무녕(경북대학교)
• 토론 : 이정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197
• 발표 : 김구련(명지대학교), 이현주(명지대학교), 이은경(명지대학교)
• 토론 : 이은진(명지대학교)
3.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목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 219
• 발표 : 정회근(한남대학교), 조현경(한남대학교)
• 토론 : 최기수(전남대학교)
4주제 미디어/문제행동 B
사회 : 모상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변화유형과 정서·행동문제 변화 종단연구 249
• 발표 : 장희선(혜전대학교)
• 토론 : 김호현(광주대학교)
2. 현실비행과 사이버비행의 개인별 변화궤적과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281
• 발표 : 배희연(한남대학교), 조현경(한남대학교)
• 토론 : 박지수(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의 변화궤적 간 종단적 관계 및 예측요인 탐색 307
• 발표 : 반지윤(서원대학교), 김동화(성균관대학교)
• 토론 : 김재철(한남대학교)
5주제 활동/역량/그릿 B
사회 : 오해섭(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 전환기 청소년의 그릿, 친구관계, 부모관계의 종단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347
• 발표 : 강유림(연세대학교), 김소희(University of South Alabama)
• 토론 : 심혜진(Laureate Institute for Brain Research)
2. 청소년의 그릿, 학업성취, 삶의 만족의 종단적 상호관계 371
• 발표 : 장현아(서울명일초등학교), 임효진(서울교육대학교)
• 토론 : 조은별(한국해양대학교)
3. Grit-S 문항 응답에 나타난 표현효과(wording effect) 401
• 발표 : 임효진(서울교육대학교), 오아연(서울강명초등학교), 조하영(남수원초등학교)
• 토론 : 이소라(공주교육대학교)
6주제 심리/정서 B
사회 : 조아미(명지대학교)
1. 초기 남녀 청소년의 우울 변화 유형과 특성 분석: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435
• 발표 : 임정하(고려대학교), 최은경(고려대학교)
• 토론 : 양계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 궤적: 친구관계와 교사관계의 동시 및 지연효과 461
• 발표 : 김은예(공주대학교), 한수연(충남대학교), 원성준(공주교육대학교)
• 토론 : 김명섭(전북대학교)
3.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자기통제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무선절편 교차지연 패널 모형 검증 481
• 발표 : 이민혜(대구교육대학교), 장윤선(대구교육대학교)
• 토론 : 정윤경(인하대학교)
7주제 부모/양육 A
사회 : 최인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교사애착관계의 이중매개효과 513
• 발표 : 김범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정유경(한국직업능력연구원)
• 토론 : 김윤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그릿, 협동심,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553
• 발표 : 박수영(계명대학교), 이혜주(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수연(계명대학교), 한천우(계명대학교)
• 토론 : 박용한(충남대학교)
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교사관계를 매개로 사회정서역량에미치는 영향 585
• 발표 : 백순근(서울대학교), 강윤아(서울대학교), 김서진(서울대학교)
• 토론 : 양현경(건국대학교)
8주제 학교/학업 A
사회 : 주동범(부경대학교)
1. 부모관계와 교사관계가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609
• 발표 : 박분희(목포대학교), 함영난(목포해양대학교)
• 토론 : 김누리(목포대학교)
2. 아동․청소년기 생활시간과 학업성취 인과관계 종단분석 635
• 발표 : 곽수란(고구려대학교)
• 토론 : 이기종(국민대학교)
3. SEMtree를 활용한 청소년의 학교적응의 종단적 분석 및 영향 요인 검증 661
• 발표 : 홍민주(University of Arkansas), 김미림(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 : 서정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9주제 진로/진학
사회 : 김민(순천향대학교)
1. 고등학생의 직업가치의 잠재프로파일과 영향요인 분석 685
• 발표 : 이민욱(인천대학교), 계진아(인천대학교)
• 토론 : 정지은(한국직업능력연구원)
2. 학부모의 진로준비활동 참여가 자녀의 진로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713
• 발표 : 문찬주(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인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지예(영천초등학교)
• 토론 : 이재열(한국직업능력연구원)
3. 진로활동별 잠재집단에 따른 진로준비도 및 특성 분석 739
• 발표 : 조명근(호서대학교), 전지혜(성균관대학교), 구남욱(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 : 신동훈(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0주제 심리/정서 C
사회 : 서영석(연세대학교)
1. 청소년기 정서 문제의 Rasch 모형 분석 759
• 발표 : 권순보(한국교원대학교), 유진은(한국교원대학교), 최인희(숙명여자대학교)
• 토론 : 함은혜(공주대학교)
2. The Effects of Childhood Social-Emotional Competence Development Trajectories on Adolescent Mental Health: Exploring Mediational Pathway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 781
• 발표 : 이주연(University of Hong Kong), Chenxiao Wang(University of Hong Kong)
• 토론 : 김성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 청소년 형제의 삶의 만족도 사이 유사성과 이질성에 대한 종단 연구 817
• 발표 : 이빈(서울대학교)
11주제 부모/양육 B
사회 : 김승경(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우울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845
• 발표 : 이은정(이화여자대학교)
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학업무기력의 이중매개를 중심으로 879
• 발표 : 정부민(경북대학교), 김미애(경북대학교)
12주제 학교/학업 B
사회 : 김형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 이중차분법을 적용한 코로나19 전후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변화와 영향요인 909
• 발표 : 신혜숙(강원대학교), 민병철(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
• 토론 : 최효식(춘천교육대학교)
2.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거부적 양육 태도가 자녀의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친구 관계의 조절 효과 931
• 발표 : 정형수(성균관대학교), 양정호(성균관대학교)
• 토론 : 한수경(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