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331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저자
이상민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12
형태사항
198p. :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320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32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세계적으로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는 이는 무엇보다도 민감한 이슈이다. 한국 학생들은 미국 학생들에 비해서 학업에 쓰는 시간이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학생들은 그들의 삶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로 학업을 뽑고 있으며, 심지어 초등학생들조차도 그들의 시험 성적을 걱정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연유에서 한국 학생들이 탈진이나 냉담이나 학업능력의 감소와 같은 학업소진 현상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소진 현상은 만성적인 직업 스트레스에 뒤따르는 반응이다. 학생들은 그들의 주요 활동을 일로 여길 수 있기 때문에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소진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Schaufeli와 그의 동료들은 학생들의 학업소진을 측정하는 측정도구(MBI-SS: Maslas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들은 이 측정도구에 있어, 유럽과 아시아의 학생들의 문화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에 맞는 한국 학생을 위한 학업소진 측정도구(KABI: Korean Academic Burnout Inventory)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KABI)는 총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요인당 5문항씩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4개의 하위요인을 각각 살펴보면, 탈진(학교 갔다가 오면 탈진됨을 느낀다), 무능감(내가 아무리 열심히 공부를 하더라도 나는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없을 것 같다), 반감(나는 공부가 싫다), 그리고 냉담(나는 지금 하는 공부가 미래에 나에게 도움이 될 것인지 의문스럽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등학교 학생들이 중학생들에 비해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는 여러 연구에서도(Ge et al., 1994; Larson & Ham, 1993; Tepper, Liu, Guo, Zhaic, Liu, & Li, 2008) 학년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심리적인 부적응 증상들이 악화된다고 하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렇듯 많은 연구에서 학생들이 나이가 많아질수록 많은 변화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고 보고하는데, 본 연구에서 역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학업소진의 4영역(탈진, 무능력, 반감, 냉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잠재 평균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보면, 기존의 연구에서 나온 것과 같이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업소진 4가지 하위척도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소진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그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나서 급격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왔다. 이는 초등학교에 비해 중학교가,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의 학업요구량이 증가하고 과제가 더 복잡해지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지난 몇십 년 동안 소진현상을 설명하는 수많은 심리과정모형들이 발달되어 왔다. 다양한 모형 가운데 요구통제모형(Demand Control Model), 노력보상불균형모형(Effort Reward Imbalance Model)이 소진현상을 설명하는 데 가장 유력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이 두 소진모형이 한국학생들의 소진현상을 잘 설명하고 있는 지 점검해보았다. 연구의 결과 노력보상불균형모형이 요구통제모형보다 학업소진현상을 더 잘 설명한다고 나왔다. 본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교사와 상담자는 학생들을 상담하기 이전에 학생들의 학업 성과에 대한 노력이나 실제적인 결과(성적이나 시험 점수)를 비교하여 그들의 소진정도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는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된 한국형 학업소진척도(KABI)를 학생들의 소진의 정도를 결정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하고, 그들을 위한 적절한 예방과 중재프로그램을 정할 때 사용하길 바란다.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 1. 학업스트레스 2. 학업소진현상 3. 학업소진척도 및 진단연구 4. 소진의 과정 5. 소진의 모형 제3장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제4장 연구 결과 1. 한국형 학업소진척도 개발 2. 한국형 학업소진척도의 타당화 3. 한국형 학업소진척도의 요인 타당화 4. 연령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 5. 학업소진모형 분석 제5장 결론 및 논의 1. 결과요약 2. 연구의 의의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