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

국가 및 지방재정의 성인지예산 분석·평가사업(Ⅱ): 국가 성인지예산제도 운영의 효과 점검과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형태사항
p423 :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376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376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및 주요 연구내용 가. 연구방법 나. 주요 연구내용 제1부 : 국가 성인지예산제도 운영의 효과 점검 및 평가 Ⅱ. 성인지예산제도의 평가모형 구축방안 1. 성인지예산제도의 도입 및 변천과정 가. 성인지예산제도의 개념 및 주요국의 운용현황 나. 제도의 도입 및 변천과정 2. 평가의 이론적 논의 및 성인지예산제도 평가모형(안) 가. 평가의 필요성 나. 기존의 평가모형 다. 외국의 성인지예산 점검 항목 라. 성인지예산제도 평가모형(안)제시 3. 성인지예산제도의 효과점검 및 평가 가. 제도의 기반 나. 제도의 운영 다. 제도의 성과와 활용 4. 소결 Ⅲ. 국가 성인지예산사업의 사업별 성평등지표 개선방안 1. 성인지예산사업의 성과지표 현황과 문제점 2. 성인지예산사업의 성과지표 개발 원리 3. 사업유형별 성과지표 개발(안) 가. 사업유형 분류 나. 사업유형별 성과지표 개발 지침 4. 소결 Ⅳ. 2011∼2012년도 성인지예산제도 발전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분석 1. 조사개요 2. 조사 결과 가. 작성과정 및 작성내용 나. 작성지침 및 매뉴얼 다. 작성 컨설팅 라. 성인지예산제도의 평가와 발전을 위한 의견 3. 성인지예.결산제도에 대한 이해도 및 난이도 분석 가. 소속기관 특성 요약 및 제도 변화 분석 나.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이해도 분석 다.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이해도 회귀분석 라. 성인지예산서 작성 난이도 분석 마. 성인지결산서 작성 난이도 분석 4. 2개년도 의견조사 비교 분석 및 소결 가. 지표변화 기초통계 분석 나. 지표별 장애요인과의 관계 변화 분석 다. 지표별 회귀분석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정책과제 1. 결론 2. 정책과제 제2부 :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Ⅵ.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시범작성 시행 개요 1.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 시범작성 개요 가. 법적근거 나. 추진과정 다. 대상사업 라. 작성범위 마. 작성방법 및 양식 2. 2012년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 시범작성 결과 가. 회계별 시범작성 결과 나. 대상사업별 시범작성 결과 다. 기능별 시범작성 결과 라. 시.도별 시범작성 결과 Ⅶ. 2012년도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서 시범작성 사례연구 : 부산, 대구,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1. 부산광역시 가. 지역현황 나. 성인지예산제도 관련 인프라 현황 다. 시범사업 운영결과: 성인지예산서 작성 현황 라. 시범작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대구광역시 가. 지역현황 나. 성인지예산제도 관련 인프라 현황 다. 시범작성 현황 라. 시범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 대전광역시 가. 지역현황 나. 성인지예산제도 관련 인프라 현황 다. 시범작성 현황 라. 시범작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소결 가. 시범사업의 개요 및 현황 나. 시범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의견 Ⅷ.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 1. 정책방향 2. 정책제언 가.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나. 성인지예산 작성도구의 내실화 다.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안정적 운영기반 구축 라. 유관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정책 시너지 도모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1] 2013년도 성인지예산서 작성 양식 및 지침 [부록 2] 국가공무원 의견조사 설문지 [부록 3]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서 시범작성을 위한 지침 및 양식 [부록 4] 지방공무원 의견조사 설문지: 부산, 대구, 대전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