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연구보고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Ⅰ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형태사항
334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583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58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458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45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학업중단 현황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중단 이후 경로유형 및 생활실태와 의식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방법은 양적조사로, 2013년도 연구에서는 해당 학령기에 있는 정규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776명(본 패널),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 220명(비교집단 패널)을 조사 패널로 구축하였으며, 2015년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먼저 학업중단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을 기준으로 출생인구 대비 학업중단 청소년 총 수는 약 40만 명이다. 이 중 기타 학제나 대안교육기관, 교정시설, 병원 등에 있는 학업중단자는 약 12만 명이며, 약 28만 명의 학업중단자는 소재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2013년 조사응답자의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학업중단은 연령별로 볼 때 중학생은 중학교 1학년 때, 고등학생은 고등학교 1학년 때 가장 많이 발생하며, 개인적 형편이나 대안교육을 선호해서 그만두기보다는 학교에 가야할 필요성을 못 느끼거나 학교(또는 학교교육) 자체요인 때문에 중단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학업중단 시 교사와 상담하거나 학교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청소년은 30% 수준에 불과해 대부분의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학교로부터 별로 도움을 얻지 못하고 학교를 떠나게 된다. 학업중단 청소년은 학생 청소년과 비교할 때 개인 심리‧정서적으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문제행동 경험에서도 음주, 흡연 외에는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와 학교 교사, 친구와의 관계, 학교규정 위반 경험 등 환경적 요인을 비교하였을 때 드러난 특징을 보면 학업중단 청소년은 친한 친구 수가 많고, 학습부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무단결석’, ‘수업 빼먹기’와 같은 학교규정 위반사항이 많았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이후 경로를 살펴보았을 때, 중단 이후에도 학업에 초점을 둔 학업형 42%, 혼자 지내거나 친구들과 돌아다니며 노는 무업형 23%, 직업형 18%, 비행형 9%, 분류가 어려운 혼합형이 8%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유형은 학업중단 사유, 생애사건 경험 등과 관계가 있었는데, 학교부적응/품행 문제로 중단한 경우는 학업형이 적고 비행형이 많았다. 성장과정에서 가족구성의 변화를 경험한 경우는 직업형과 니트형의 비율이 높았으며, 또한 문제행동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직업형과 비행형 비율이 높았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교라는 공간을 떠난 후 친구를 사귀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지역사회 시설의 도움을 받고 있지 못했다.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지만 이와 같은 서비스를 받고 있지 못했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을 보면 여가시간에 아무것도 하지 않고 혼자 보내거나 친구들과 돌아다니며 노는 청소년들이 개인공부나 운동 등 긍정적 활동을 하는 청소년보다 많았으며, 점심과 저녁 주 5일 결식률이 학생 청소년에 비해 현격히 높았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욕구는 다양하다. 이들이 청소년에서 성인기로 건강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종단연구 추진내용 2) 2013년도 주요 연구내용 3.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방법 1) 협동연구 추진 2) 문헌연구 3) 전문가 자문 4) 양적 연구 5) 면접조사 6) 세미나 및 정책협의회 7) 국외출장 Ⅱ. 학업중단 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 1. 학업중단 현황 1) 학업중단율 변화추이 2) 학업중단자 복귀현황 3) 시도별 학업중단자 규모 및 학업중단율 4) 학업중단 사유의 변화 5) 학령인구 대비 학업중단자 유형별 규모 추정 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과 생애과정 1) 학업중단 청소년의 개념 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 3) 학업중단 청소년의 경로 4) 학업중단 후 경로 관련 요인: 생애과정 관점 3. 아동·청소년 관련 종단조사 등 국내외 관련 연구 Ⅲ. 1차년도 조사도구 개발 1. 조사도구 개발절차 2. 조사영역 및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 1)개인의 심리․정서 2) 문제행동 가해․피해경험 3) 환경적 특성 4) 학업중단 이후의 삶 5) 생애사건 3. 조사영역 및 변인에 대한 경험적 근거 : 2012년 조사문항에 대한 타당성 검토 1) 2012년도 조사문항 구성 2) 2012년 설문조사 분석결과 및 시사점 4. 최종문항 확정 Ⅳ. 조사설계 1. 패널구축 1) 조사대상 2) 표본설계 3) 조사방법 2. 자료수집과정 1) 리스트 수령 및 정제 2) 면접원 교육 및 조사 홍보 3) 사전 접촉 4) 실사 5) 패널 추가 수집 6) 데이터 처리 및 검증 7) 데이터 클리닝 3. 패널관리 1) 패널관리 통합시스템 2) 패널관리 방안 Ⅴ. 1차년도 조사결과 분석 I :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1. 응답자의 특성 2. 학업중단 관련 실태 1) 학업중단 시기 2) 학업중단 이유 3) 학업중단의 행정처리 형태 4) 학업중단 횟수 5) 학교 복귀 경험 6) 최초 학업중단 관련 경험 7) 학업중단 시 고민상담 경험 및 주변 반응 8) 학업중단 관련 정보제공 9) 학업중단 숙려제 이용 경험 10) 학업중단 시 필요했던 도움 3. 학업중단 청소년의 개인적․환경적 특성 : 학생 청소년 집단과의 비교결과 1) 개인적 특성 2) 환경적 특성 4. 학업중단 이후의 삶 1)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과 인식 2) 학업중단 이후 경로 Ⅵ. 1차년도 조사결과 분석Ⅱ :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 1. 조사목적 및 조사방법 2. 조사결과 1) 응답자의 특성 2)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업중단 특징 :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과의 비교 3)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의 개인적·환경적 특성 4) 학업중단 이후의 삶 5) 학업중단과 문제행동 Ⅶ. 결 론 1. 요약 1) 연구개요 2) 학업중단 현황 3) 주요 조사결과 2. 정책제언 1) 정책수립의 전제 2) 학업중단 예방대책 3)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지원 대책 4) 학업중단대책의 전달체계 및 추진일정 참고문헌 부 록 1. 일반 청소년용 설문지 2. 보호관찰 청소년용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