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

헬조선 인 앤 아웃: 한국 청년 글로벌 이동에 관한 인류학 보고서

발행사항
서울: 눌민, 2017
형태사항
286 p: 삽도, 22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95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69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지금 청년 세대에게 대한민국은 “헬조선”으로 인식된다. “헬조선”은 소득이 불평등하고, 근로조건이 열악하며, 삶의 여유가 없고, “아재들의 꼰대질”로 가득하고, 스펙을 아무리 쌓아도 취업이 되지 않는, 태어난 신분으로 미래가 결정되는, 아무도 자신을 보호해주지 못하는, 생존경쟁의 전투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한민국을 상징한다. 한국의 청년 세대가 졸업 이후 고용을 보장받지 못하며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미래를 상상하거나, 그를 위해 커리어를 쌓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면, 지금 “헬조선”을 살아가는 청년 세대는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는 노동자를 뜻하는 “프레카리아트”로 불려도 무방할 정도다. 이 책은 청년 세대를 무조건 옹호하지도 비난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한국 청년들의 글로벌 경험에 대해 거창한 미사여구로 포장하지도 않는다. 다만 불확실한 세계를 헤쳐나가는 한국 청년들이 어떻게 자신이 속한 사회를 이해하고 있으며 어떻게 저항하고 어떻게 미래를 기획하려 하는지, 그러한 가운데 자신의 삶 속에서 글로벌 경험을 어떻게 소화해내는지 성실하게 기록하고 추적해나간다.
목차
서문 청년들의 글로벌 이동성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민낯과 희원 5 1. “헬조선 탈출”로서의 인도 장기여행 ― 이민영 뚜렷한 목적 없이 한국 바깥을 장기여행하는 청년들 21 인도 리시케시의 장기체류자들 24 “헬조선 탈출”로서의 장기여행 28 “탈조선 여행”의 이동 양상 37 인도에서의 “헬조선 해독” 활동 44 “탈조선 여행” 이후의 삶 51 자유로운 영혼과 얽매인 몸 55 참고 문헌 58 2. 글로벌 난민의 삶: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한국 유학생들의 표류기 ― 김수정 잠재적 해고자, 대국민 통치전략 64 해외 인력 모집 대행인 “코글로시안” 69 “루저”와 “잉여”, 비국민 콤플렉스 70 “현대화 완성” 프로젝트, 반교육적 배제 74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길을 잃다 88 표류하는 유학생들 91 마치며 94 참고 문헌 95 3. “글로벌”을 살아가는 청년들: 아일랜드로의 “임시 이주”와 글로벌 이동 ― 우승현 한국을 떠나는 청년들 99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해외 경험 100 아일랜드로 떠나는 “임시 이주” 102 잠시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찾아서 105 불안정한 곳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움직임 114 “냉정하게 보면 실패했지만 후회는 없어요.” 124 “글로벌”과 “청년”을 다시 생각하기 132 참고 문헌 135 4. “대한사람 대한으로”: 피할 수 없는 영주권자 “자원” 입영 ― 최희정 영주권자의 군 복무: “글로벌”과 “내셔널”의 사이에서 139 영주권자의 병역: 법적 현실 141 영주권자 등 입영희망원 출원제도 142 글로벌 애국자: 의무가 아닌 의지로 자원입대 143 세 청년의 이야기: 영주권자 한국 군으로 146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자원”입대 162 “글로벌”과 “내셔널” 사이에서 165 참고 문헌 169 5. 강제 추방을 중단하라!: 미국의 한인 미등록 청년 운동과 이상적 시민상像의 함정 ― 정가영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이주 “신분”의 의미 173 닫힌 이동성 179 이민자 권익 운동에서 대학 교육권 운동으로 182 한국계 미등록 이민자로 살아간다는 것 191 이상적 시민상의 함정 198 초국적 이민/이주자 연대 운동의 가능성 202 참고 문헌 208 6. 국제개발의 문법을 넘어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 조문영 국제개발, 빈곤 논의의 사라짐 혹은 과잉 213 수영의 이야기: 주민(빈민)운동의 글로벌라이제이션 218 세 청년의 이야기: “글로벌 빈곤” 패러다임의 포용성 혹은 도구성 228 “주민의 힘”, 그 불편한 성찰 238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246 참고 문헌 251 7. “뻔뻔한” 직접행동: 나의 글로벌 기본소득 운동 이야기 ― 김주온 당연한 꿈의 공간이었던 글로벌 무대 255 2010년의 대학 풍경 259 가능한 꿈의 공간으로서 글로벌 262 글로벌 기본소득 장의 비균질성 266 지역에서 싸우며 다시 만나는 글로벌 273 마치며: 나는 왜 운동을 하는가? 277 이 책을 쓴 사람들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