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443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활동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19
형태사항
234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청소년 독자, 독서활동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43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4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 활동
바야흐로 ‘나’가 가장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누구인가’의 문제를 고민하고, 나의 존재를 잘 드러내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공간에서 개인이 특정한 말을 하고, 글을 쓰고, 사람을 만나고, 일을 하고, 음식을 먹고, 사진을 올리고, 음악을 듣고 노는 모든 행위가 ‘나’를 드러낸다. 어떤 사람은 더 섬세하게 자신을 지각하고, 상황에 따라 이를 매우 세련되게 실행한다. 이것이 바로 자아(self)와 정체성(identity)의 문제이다.
이 책은 ‘청소년 독자(adolescent readers)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특히 현시점을 살아가는 우리의 청소년들이 독자로서 수행하고 있는 문식 활동과 그 이면에 작용하는 정체성을 탐구하였다. 이 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에게 질문을 던졌고, 205명의 응답을 모아 이 책을 구성하였다. 정체성을 탐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이 책에서는 청소년 독자가 직접 자신에 대해 설명하는 서술적 정체성(narrative identity)의 입장을 취하였다.
청소년 독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존재, 즉 정체(正體)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런 이유로 ‘독자 정체성’은 모든 독자 연구의 핵심 주제라 할 수 있다. 독자 정체성은 ‘독자로서의 나’에 대한 독자 자신의 인식이다. 이 정체성은 독자가 만난 텍스트, 독자가 소통한 타인들, 독자를 둘러싼 환경 속에서 구성된다. 독자의 언어(language)와 문화(culture)와 정체성(identities)은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독자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나아가 텍스트를 통해 저자, 다른 독자들, 그리고 세계와 소통하는 방식을 관찰해야만 한다. 독자 정체성은 독자가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모든 방식에 작용하고 있다.
독자 정체성을 연구함에 있어서 ‘청소년 독자’는 매혹적인 대상이다. 그 복잡함과 유동성 때문이다. 그러나 청소년 독자는 오랫동안 독서학계나 교육 현장에서 모두 방치된 상황이었다. 이 독자들은 이해하거나 지원하기가 힘들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그러한 필요성 자체가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청소년 독자는 그 복잡하고 유동적인 속성에, 이들에 대한 학계와 현장의 가치 인식의 부재가 더해지면서 사실상 소외된 존재였다.
이 책에서 발견한 우리나라의 청소년 독자들은 변화하는 문식 환경 속에서 서책 독서와 디지털 읽기 활동을 병행하는 존재였다. 그러나 이들은 자주 수행하는 읽기가 스마트폰 읽기인 반면 의미 있는 읽기는 서책 독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주요 읽기 활동을 오락 행위로 인식하다 보니 자신의 ‘독자로서의 성장’이 정체되거나 퇴보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청소년 독자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독서와 해야 하는 독서, 그리고 하기 싫은 독서 속에 고군분투하는 존재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독자 정체성은 매우 다중적이고 다층적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을 독자 자신에 대한 인식(A), 이 독자에 대한 타인의 인식(B), 타인의 인식이라고 독자가 믿는 인식(C)으로 구분하고, 특히 A와 C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독자가 속한 사회·문화적 상황, 타인의 유형, 이들의 관계에 따라 A-C의 관계도 매우 복잡했다. 특히 A-C의 간극이 크고 정체성이 뚜렷한 청소년 독자는 이로 인해 타인과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독자 스스로 그 이유를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소년은 아직 독자로서의 각성이 낮고 독자 정체성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독자 정체성이 잘 발달된 독자는 독자로서 자신의 취향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높다. 이들은 ‘독자로서의 나다움’을 인지하고 다양한 독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실행해 나간다. 이때 개인의 독서 활동은 ‘독자로서의 나’를 드러내고 가꾸어 나가는 문식성 실천(literacy practices)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독서는 독자의 정체성을 자각하게 하고, 독자의 정체성에 충격을 주어 이를 새롭게 구성하고 강화하도록 하는 경험이다. 청소년기는 독자의 정체성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발달해 나가는 시기이기에 이러한 경험이 더욱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청소년 독자의 문식성 실행과 정체성 발달은 독자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매우 교육적이며 사회적이며 문화적인 문제이다. 우리의 청소년 독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힘 있는 독자(empowered reader)로서 또 행동하는 주체자(agent)로서 자신의 길을 걸어 나갈 수 있도록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독자의 개념과 특성
1. 독자 개념의 역사적 변천
1) 독자의 탄생
2) 독자의 대중화
3) 전자 매체 시대의 독자
2. 독자의 발달과 특성
1) 아동 독자의 발달과 특성
2) 어린이 독자의 발달과 특성
3) 청소년 독자의 발달과 특성
4) 성인 독자와 노인 독자의 발달과 특성

제2장 청소년 독자의 개념과 특성
1.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1) 청소년의 개념 논의
2) 청소년의 대상 범위
3)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
2. 청소년 독자의 개념과 발달적 특성
1) 청소년 독자의 개념 논의
2) 청소년 독자의 특성 개관
3) 청소년 독자의 성취 수준
4) 청소년 독자의 정서적 특성

제3장 청소년 독자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
1. 가정과 학교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
1) 문식 환경의 개념
2) 가정의 문식 환경
3) 가정의 독서 활동
4) 학교의 문식 환경: 교실과 학교도서관
5) 학교의 독서 활동: 학교도서관과 교실 프로그램
2. 디지털 공간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
1) 우리나라의 디지털 환경 개관
2) 세계 인터넷 프로젝트(WIP)와 청소년 독자들
3) 청소년의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의 문제

제4장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연구 개관
1.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연구 설계
1) 연구의 목적과 대상
2) 연구의 도구와 방법
2. 독자 정체성의 속성과 의의
1) 독자 정체성의 개념과 학문적 기반
2) 청소년 독자 정체성 연구의 의의

제5장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이해하기
1. 해방구이자 위험한 공간, 웹: 소통하고 즐기고 해소하는 공간
1) 스마트폰 시대, ‘진짜 독서’의 위축
2) 스마트폰과 웹의 유혹 요인들
2.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독자들: 하고 싶은 것, 해야 하는 것, 하기 싫은 것
1) ‘잘 읽기’와 ‘즐겨 읽기’의 딜레마
2) ‘자율 독서’와 ‘강제 독서’
3. 청소년 독자의 발달?정체?퇴보: 의미 있는 독서 경험과 독자의 발달 인식
1) 서책 독서의 가치
2) 의미 있고 행복한 독서 경험
3) 독서를 매개로 하는 소통의 힘: 책 수다, 독서 동아리, 디지털 공간의 참여
4) 독자로서의 발달 인식: 성장?정체?퇴보의 문제
4. 타인의 인식과 독자 ‘나’의 정체성: 합치되지 않는 시선들
1) 장님 코끼리 만지기: 동일한 독자, 상이한 시선들
2)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그 복잡성
3)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영향 요인: 독자 정체성과 타인의 인식에 대한 나의 인식

제6장 청소년 독자 연구의 요약과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