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2021년 BEST 30

행복의 과학: 웰빙 : 쾌락심리학 핸드북

발행사항
파부: 아카넷, 2020
형태사항
1238 p: 삽도, 26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Daniel Kahneman, Edward Diener, Norbert Schwarz
서지주기
색인 및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80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8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어떻게 잘 살 것인가’ 인류의 오랜 질문에 각 분야 권위자 50인이 답하다!
‘웰빙’에 이르는 ‘행복의 과학’이자 새로운 쾌락심리학 분야의 핸드북


‘어떻게 잘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지녀온 물음이자 파악하기 어려운 주제 가운데 하나다. ‘웰빙(well-being)’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변화시키고자 이 책은 최신의 과학 연구를 기반으로 ‘행복의 과학’에 이르는 확실한 설명을 제공한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을 비롯한 심리학, 사회심리학, 신경과학 분야의 권위자들은 인간의 쾌락, 고통, 만족 등을 이해하기 위한 광범위한 영역의 연구를 종합하여 쾌락심리학(hedonic psychology)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핸드북으로 탄생시켰다.

쾌락 심리학은 삶을 유쾌하게 만들거나 불쾌하게 만드는 것에 관한 학문이며 만족에서 불만족에 이르는 전 영역을 아우른다. 쾌락과 고통, 흥미와 지루함, 기쁨과 슬픔, 만족과 불만족 등의 감정에서부터 고통과 즐거움을 야기하는 생물학적인 환경과 사회적인 환경에 이르기까지 관련이 있다. 이 책은 주변부로 인식되던 쾌락론, 감정, 기분, 정서 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어엿한 연구 분야로 확정하고 쾌락 경험들의 예시화로 하나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연 행복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웰빙의 주요 원천은 사회적 관계, 웰빙 연구의 정책적 함의에 주목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인 대상들을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마이클 아가일(18장)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가 웰빙의 주요 원천이며 결혼은 웰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달리 소득은 “아주 작은 예측 변인”이며 하위 집단에서만 영향 관계를 드러내 대조적이었다. 친밀 관계에 주목한 마이어의 연구(19장)는 결혼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결혼 생활의 질이며 좋은 결혼의 일반적 특징으로 공평과 친밀감을 꼽는다. “자신과 소유물에 대한 상호 공유, 정서적 지원을 주고받는 일, 서로의 웰빙을 증진하고 돌보는 일”이 모든 유형의 사랑 관계의 핵심이라고 분석한다.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는 제3의 가치로서 공동체주의를 언급(19장)하고, 민주주의 번영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웰빙감이 필요하다는 잉글하트의 가설을 소개(22장)하며,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SES)의 건강 위험성을 보여주는 광범위한 문헌을 검토하는(23장) 작업은 웰빙에 관한 연구의 정책적 함의에 주목하게 한다. 또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특히 도파민의 분비가 (섭식과 관련한) 행동 패턴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알코올과 마약 등 약물 통제와 관련한 정책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내용도 눈여겨볼 만하다.(28장)

한편 3부는 웰빙에 관한 개인의 차이를 가져오는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연구를 종합한다. 성격, 자기 조절, 삶의 과제 참여(웰빙의 생애 주기적 모델), 정서 장애, 통제력(학습된 무기력 전통의 연구에 초점), 쾌락적 적응(유리한 상황과 불리한 상황에서 보이는 감정 강도의 감소), 성차(性差) 등이 그 대상이다. 필자들은 개인의 삶의 과정 전반에 걸쳐 변화하는 개인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과제에 지속 참여하는 것이 웰빙을 향상시키고(12장), 열망이나 신중함과 같은 전략적 상태의 동기적인 경험도 삶의 중요한 부분이며(13장) 개인의 통제력은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그것은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15장)고 분석한다.

행복은 객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할까?
현실 경험을 대상으로 한 쾌락 경험의 측정법 종합 검토


행복에 이르는 일이 과학이 되려면 개인의 감정, 정서, 만족 등이 객관적으로 평가되는 것이 우선이다. 이 책의 필진들은 종래의 심리학과 사회과학의 평가 방법을 면밀히 검토하여 혁신전인 쾌락 경험의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가 과거의 평가가 지속되는 순간임을 감안한다면 실시간으로 현실의 경험을 오류 없이 측정하는 일이 중요하고 가능하며 종래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회고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보완하여 생태순간평가(EMA, 2장) 등 여러 연구 사례들을 검토하여 객관적인 측정법을 제시한다.

또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를 측정한 연구 결과들이 삶의 질에 대한 개인의 판단과 객관적인 조건 사이에 상관관계가 아주 낮았다고 지적하며 지속적인 쾌락 경험에 대한 주관적 측정법과 생리적 측정법을 강조한다. 경제 전문가들이 측정이 난해하다고 평가한 복지나 웰빙 등의 개념에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간단한 질문 방법을 이용하여 객관적 측정을 시도하며 심리학자와 사회학자, 정치학자들을 비롯하여 경제학에서도 전통적인 ‘효용(utility)’의 측정을 대신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21장) 현실의 경험에 대한 개인의 정서를 반영하는 생리적 과정들, 즉 눈 깜빡임, 안면 근전도(EMG) 활동, 자율신경계의 활성화 등을 효용 평가를 보조하는 모델로 검토한다.(26장)
목차
목차 감사의 말 서문 1부 우리는 누가 행복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장 객관적인 행복 2장 생태순간평가 3장 정서 연구의 측정 문제 4장 주관적 웰빙 보고 5장 그러면 좋지 않겠니? 미래의 감정 예측 2부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 6장 전적응과 쾌락의 수수께끼 및 성질 7장 정신적 쾌락에 관하여 8장 통증에 관한 의문들 9장 기분 체계 10장 정서와 쾌락 경험 3부 성격과 개인차 11장 성격과 주관적 웰빙 12장 삶의 과제 참여와 웰빙 13장 자기 조절과 생활의 질 14장 정서 장애 15장 개인의 통제력과 웰빙 16장 쾌락적 적응 17장 웰빙의 성차 4부 사회적 상황 18장 행복의 원인 및 상관관계 대상 19장 친밀 관계와 삶의 질 20장 웰빙과 직장 21장 복지와 웰빙의 측정 22장 국가별 주관적 웰빙의 차이 5부 생물학적 관점 23장 불행의 생리학 및 병리생리학 24장 효용 평가의 정신생리학 25장 신경생물학은 인간의 감정에 대해 뭔가 알려줄 수 있을까? 26장 신경의 효용 계산에 관하여 27장 쾌락, 고통, 욕망, 그리고 불안 28장 행동 강화 및 억제의 신경 체계 필자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