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

포스트 코로나와 로컬뉴딜: with 코로나 시대, 로컬에서 답을 찾다!

Post Corona local new deal

대등서명
Post Corona local new deal
발행사항
서울: 책숲, 2021
형태사항
299 p: 삽화, 도표, 19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89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89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With 코로나 시대, 로컬에서 답을 찾다!
재난 사회, 왜 로컬뉴딜이어야 하는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장기화를 넘어 일상화된다는 ‘With 코로나’ 시대, 코로나보다 훨씬 강한 기후위기의 총체적 재난 시대에서 살아나갈 ‘뉴노멀’을 찾아야 한다. 그 핵심이 바로 로컬(Local)이다. 지역사회에서 서로 신뢰하는 이웃들과 소규모의 분산된 방식으로 일상을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래야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난의 위험으로 생존의 위기에 내몰리지 않고 함께 버텨낼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재난과 파괴적인 자연재난이 기후위기의 영향 때문이라는 사실은 이제 상식이 되었다. 30년 내 탄소배출 제로(Net Zero), 10년 내 탄소배출 50% 감축을 이루어내지 못하면 기후이탈(Climate Departure)이 발생하여 인간의 힘으로는 통제 불가능한 파멸에 다다르게 된다.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안전수칙으로 시작된 비대면(언택트)은 일상생활의 기본으로 굳혀질 태세다. 비대면이 지속될수록 없는 사람들은 더욱 어려워진다. 전면 봉쇄전략이 아니라, 필요 최소한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일상의 사회경제활동을 유지하는 완화전략을 사용한 덕에 OECD 국가 중 최고의 경제 성적을 거두고 있지만, 많은 자영업자들과 노동자들이 제도의 보호막 밖에서 생존의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장기화를 넘어 일상화된다는 ‘With 코로나’ 시대, 코로나보다 훨씬 강한 기후위기의 총체적 재난 시대에서 살아나갈 ‘뉴 노멀’을 찾아야 한다. 그 핵심이 바로 로컬(Local)이다. 지역사회에서 서로 신뢰하는 이웃들과 소규모의 분산된 방식으로 일상을 함께 살아가야한다. 그래야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난의 위험으로 생존의 위기에 내 몰리지 않고 함께 버텨낼 수 있다.
절벽을 향해 내달리던 고속열차가 급정거를 하듯이 탄소배출을 급격히 줄이고, 거대한 탄소기득권 체제의 저항에 맞서 불평등을 완화하고, 이 전환 과정에서 불가피한 피해가 약자에게 쏠리지 않도록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며, 무엇보다 확실한 안전망인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그린뉴딜을 추진해야 한다. 그러려면 온 국민이 끈질기게 대대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래서 지역에서 시작하고 지역에서 그린 뉴딜의 길을 내야한다. 따라서 그린뉴딜의 실천 전략은 ‘로컬뉴딜’이다.

다행히도 우리는 코로나19의 대처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활약을 발견했다. 주민들의 형편과 처지에 민감하고, 지체 없이 기민하게 행동하며, 기발하고 혁신적인 정책을 구사하는 지방정부가 ‘K-방역’의 일등공신이었다. 그러나 그야말로 K-방역의 수훈갑은 시민이었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의 방역실패를 보며, 대한민국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 높은 수준의 시민의식이 없었더라면 K-방역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지방정부와 시민 의식, 이는 이후 재난 시대를 해쳐나가는 매우 중요한 핵심 키워드였다.

지난 10년, 민선5~7기에 걸친 지방정부의 ‘혁신과 협치’의 실험이 토대가 되었음은 물론이다. 10년 동안 동네에서 마을에서 주민들이 등장하고 이웃관계망으로 연결되면서, 공공성의 감각을 키워가고 협동의 효능 감을 익혀왔다. 지방정부 역시 ‘시민참여’를 핵심 슬로건으로 내걸고 ‘협치’를 기본방침으로 삼아 혁신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는 ‘자치’를 목표로 수렴시켜가고 있다. 그 수렴의 장소(주체)는 읍면동 주민자치회이며, 수렴의 내용은 지역순환경제(사회연대경제)이다.
이 책은 바로 주민자치회가 중심이 되어 로컬뉴딜을 추진하면서, 근린 수준에서 지역순환경제를 구축하고 나아가 기후위기를 극복해가는 길을 내려는 희망을 담고 있다.

1부는 재난과 관련한 그동안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면서 로컬과 근린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로컬의 중요성에 대해 지방정부의 중요성뿐 아니라, 지역사회(시민사회)의 중요성도 지적하고 있다.

2부는 미래자치분권연구소의 월례포럼 중에서 ‘포스트 코로나와 지방정부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지난 5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던 내용을 담았다. 첫 번째 포럼은 광역지자체협의회인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의 전성환 사무총장과 기초지자체협의회인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제종길 사무총장이 참여하여 당사자 입장에서 문제해결의 방향에 대해 논의해 주었다. 두 번째 포럼은 자치분권지방정부협의회 문석진 회장(장(서대문구청장)의 리드로 염태영 수원시장과 안승남 구리시장이 참여하여 현문구의 대응과 창의력에 대해서 풍부한 사례를 덧붙여 주었다.

3부에서는 그동안 미래자치분권연구소에서 연구했던 내용을 중심으로 항목별로 차근차근 정리했다. 특히 로컬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더 세세하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목차
추천사 _ 문석진 머리말 _ 유창복 1부 코로나19와 뉴노멀, 그리고 로컬 _ 이재경 01 코로나19와 뉴노멀 02 코로나19와 지방정부의 대응 03 재난과 시민사회 04 코로나19와 지역시민사회의 대응 05 대안적인 한국형 뉴딜연합의 필요성 2부 포럼 : 포스트코로나와 지방정부의 미래 _ 김다예(정리) 01 재난 시대, 로컬이 답인가? 02 그린뉴딜과 자치분권 3부 로컬뉴딜 : 주민자치와 지역순환경제를 위하여 _ 유창복 01 K-방역과 시민의식 02 With 코로나와 로컬택트 03 기후위기와 그린뉴딜 04 로컬뉴딜, 그린뉴딜의 실천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