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E-Book

우리 교육은 불평등하다

발행사항
서울: 교보문고, 2022
형태사항
온라인자료 1책 : 삽화
일반주기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비통제주제어
한국교육
URL
책 소개
교육 불평등 논의, 도돌이표에서 마침표로
팬데믹 상황에서 교육 양극화가 더욱 심각해졌다는 논의가 무성하다. 취약계층 학력 저하에 대한 염려도 커졌다. 공정성 담론 담론의 부상으로 불평등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이들도 많아졌다. 하지만 교육 불평등, 교육 양극화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해법을 찾기 위한 갖은 노력 역시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엉킨 지 오래된 불평등의 실타래를 풀기 위해, 도돌이표나 다름없는 지난한 논의를 끝내고 불평등에 마침표를 찍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오랫동안 교육 불평등 연구에 천착한 저자는 “문제는 격차가 아니라 근대적 학교 프레임 자체”라고 지적한다.

한국 교육 불평등, 토대부터 들여다보기
근대적 학교 프레임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실천은 교육 불평등을 재생산해 왔다. 학교교육은 더욱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데 공헌하기는커녕 소외된 이들을 더 소외된 자리로 내몬다. 저자는 학교급을 넘나들면서 오랜 시간 직접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불평등의 구조, 토대를 드러낸다. 변화의 시도와 새로운 상상은 바로 거기서부터 가능해진다. 이 책에서는 정부와 정책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새로운 제도가 생겨나고 사라져도 그대로인 한국 교육 불평등의 뼈대를 마주할 수 있다.

학교는 사다리가 아닌 울타리, 기회의 시장이 아닌 삶의 공간
교육 격차에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격차를 드러내는 데 활용되는 기준을 버리고 새로운 기준을 만드는 것이다. 취약계층 학력 저하를 염려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학력이라는 기준 자체에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제 학교는 학생이 더 높은 서열의 상급 학교 진학이나 더 높은 지위의 직업 세계로 진입하게 돕는 역할에서 벗어나야 한다. 견고한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라는 사다리를 딛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도록 돕는 교육은 이제 수명을 다했다. 저자는 학교를 사다리가 아닌 울타리로, 기회의 시장이 아닌 삶의 공간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1부 제도교육 출발점부터 확인되는 학습 기회 불평등 구조

01 ‘최소 비용 최고 효율’의 수업과 학습 기회 불평등

학교 수업을 봐야 하는 이유
연구 방법
수업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
최소 비용, 최고 효율의 수업
수업이 낳는 학습 기회 불평등

02 수업 내 학생 분류·통제와 학습 기회 불평등
학생 분류하기
학생 통제하기
수업을 통해 누적되는 학습 기회 불평등

03 학부모의 자녀 학습 지원과 학습 기회 불평등
학부모에 대한 교사의 기대
학부모의 자녀 학습 지원 방식
부익부 빈익빈의 학습 기회 구조

2부 학습 기회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내려면

04 교육에 대한 빈곤 영향 들여다보기

왜 빈곤에 관심을 기울이는가
빈곤, 빈곤층이란
빈곤과 교육에 대한 연구들
연구 방법
빈곤한 아이들의 삶
교육에 대한 빈곤 영향의 중층성
빈곤 자체에 대응하기, 학교 역할 성찰하기

05 교육복지와 학교 역할: 함께하는 시간으로 관계 맺기
교육복지 정책 확대의 맥락
연구 방법
연구 참여 학교의 특성
학교 역할에 대해 갈등하는 두 관점
교육복지: 함께하는 시간을 통한 관계 맺기, 그리고 총체적 지원

06 표준화된 시험 밖의 성취 바라보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해 얻는 성취 특성이 주는 가르침 배경
학교 교육 효과로서 시험 성적에 대한 논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분석 연구들과 이 글의 질문
연구 방법
지역과 학교 현황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한 성취 특성
촉진 요인
성취의 인격성과 총체성: 학교 교육 및 학교 효과 연구 프레임 변화 요구

3부 균열 너머 근본적 변화를 위한 시도

07 ‘계층 사다리’ 넘어서기

대학은 왜 가는가
대학을 나와도 걸맞은 직업이 보장되지 않는다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 한다: 대학 진학에 대한 사회적 압력
기본 자녀 양육비가 늘었다: 사회적 생존을 위한 기초 경비 확대
‘계층 사다리’ 프레임을 버리고 선택지가 다양한 사회로

08 사회적 삶의 공간으로 학교 다시 세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