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NYPI 발간물검색

NYPI 발간물검색

연구보고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진로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형태사항
x, 296p. , 25cm
일반주기
부록으로 '청소년용 설문지' 등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259-273
비통제주제어
북한이탈청소년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0252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025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02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02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연구목적 및 필요성 - 북한을 이탈하여 한국사회로 진입하는 청소년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이들의 사회적응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을 실시하여 왔음. 그러나 최근 북한이탈자들의 취업문제는 해결되어 가고 있다기보다는 더욱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북한이탈자들의 바람직한 정착을 위하여 정책적인 진단이 새롭게 모색될 필요가 있음. 특히 북한 이탈 청소년들의 경우 남한사회의 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능력과 소질을 개발하여 자아실현을 해야 하는 주체이며 사회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이들에게 적합한 기회와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종전의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접근은 임시방편적으로 진학 또는 일자리에의 연계 등에 급급했으며, 이로 인해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학교나 직업에서 안정적인 지위를 확보하는데 실패하고 주변인으로 밀려나는 경우가 많았음. 따라서 보다 구체적인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하는 시점임. -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진로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즉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어떤 진로를 선택하게 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의 교육기회 구조와 취업기회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음.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 실태 및 정책·제도 1.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 실태 2. 북한이탈 청소년 진로 정책 및 제도 현황 3. 북한이탈 청소년 진로 정책의 실행과정 및 문제점 Ⅲ.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 실태와 개선사항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1) 북한이탈 청소년 2) 현장전문가 2.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의식 1) 진로관련 자기이해 2) 진로목표 설정 정도 3) 진로확신 정도 4) 진로준비 정도 5) 진로자신감 정도 3. 북한이탈 청소년의 진로실태 및 욕구 4.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학업문제와 필요한 지원 5. 진로문제와 개선사항 6. 취업문제와 주요 고려사항 7. 소결 Ⅳ. 북한이탈 청년의 학교 및 직장생활 경험에 대한 회고적 분석 1. 남한사회에서 학교를 선택한 청소년들의 삶과 경험 2. 직장생활 경험 3. 북한이탈 청년들의 학교·직업생활 경험에서 발견한 학습의 의미 Ⅴ. 외국 사례 분석 1. 대규모 산업사회 모델: 독일 2. 소규모 복지사회 모델: 노르웨이 및 덴마크 3. 전통적 이미사회 모델: 호주 4. 소규모 특정 이민사회 모델: 대만 5. 결론 Ⅵ. 정책 방안 1. 입국 초기 적응 교육 단계 2. 학교 취학 후 지원 3. 학교 밖 북한이탈 청소년 지원 4. 미래 북한이탈 청소년 문제의 예방 5. 일반 학교/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6. 북한이탈 청소년 정책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 7. '보호' 기간 또는 '청소년' 시혜 시한 후의 지원 부록 1. 청소년용 설문지 2. 현장전문가용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