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NYPI 발간물검색

NYPI 발간물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412

다문화 시대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16
형태사항
218 p,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741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74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다문화 시대에 진입한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는 사회적 통합을 어떻게 이루느냐 이다. 언어·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회 구성원 간, 특히 정주민과 이주민 간에는 현실적인 이해관계로 인한 갈등뿐만 아니라 가치관이나 행동 규범, 의사소통 방식 등의 차이로 인한 사회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은 언어 문제이다. 언어적 다양성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언어 문제를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으로 환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한국 사회의 공용어가 한국어라는 점에서 보면 한국어 의사소통의 문제는 다문화 시대 한국 사회의 핵심 문제라 할 수 있다.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가 이처럼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책에 제시한 주요 연구 결과는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를 전국 규모로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성인인 결혼이주민 및 이주민근로자를 청소년인 이주민자녀와 비교하여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정도를 밝히고 영향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목차

I. 서 언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1) 양적연구방법
(2) 질적연구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1) 이주민근로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및 그 교육에 관한 연구
2) 결혼이주민 및 이주민자녀의 한국어 의사소통 및 그 교육에 관한 연구
3)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II.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시대의 한국 사회에 대한 언어 정책적 접근
1) 언어 정책의 개념과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문제
(1) 언어 정책의 개념
(2)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문제
2) 다문화 시대의 국어 및 한국어 정책의 관점
2.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의사소통
1) 사회 통합 기제로서의 한국어 의사소통
2) 한국어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고려 요인
(1) 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2) 학습자의 요구

III.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 조사
1. 이주민 표본 기초 인구학적 정보
1) 성별
2) 모어
3) 최종학력/학교급
4) 연령/학년
5) 거주지역
6) 한국에 거주한 기간
7) 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어를 배운 기간
8)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
2. 핵심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1) 한국어 대화 시간 및 어려움 인식
2) 한국어 읽기·쓰기 시간 및 어려움 인식
3) 의사소통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어려움 인식
(1) 이주민근로자의 직장 의사소통
(2) 결혼이주민의 가정 의사소통
(3) 이주민자녀의 학교 의사소통
3. 일반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1) 한국어 대화 시간 및 어려움
2) 한국어 대중매체 이용 시간 및 어려움
3) 의사소통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어려움 인식
4.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IV.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 및 교육 방향
1. 집단 간 차이
1) 이주민집단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2) 성별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3) 모어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4)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2.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의 요인, 경로 모형 및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1)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경로 모형
2)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3.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유형별 수요
4.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 및 그 해소 방안에 관한 논의
1) 이주민집단 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및 어려움 차이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3) 이주민들의 듣기·말하기 교육에 대한 절대적 수요

V.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
1. 다문화 시대 언어 정책 목표의 구체화 및 세분화
1) 국내 다문화 언어 정책의 흐름
2) 정책 목표의 세분화를 통한 다문화 언어 정책의 발전 지향
(1) 이주민근로자
(2) 결혼이주민
(3) 이주민자녀
2. 정책 목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대안 탐색
1)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접근성 제고
(1) 이주민근로자
(2) 결혼이주민
2)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1) 자율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보장
(2) 성인 이주민 대상 교육과정 및 다양한 교재 개발
3. 이주민 대상 언어 정책 집행 및 정책 평가의 효율성 제고
1) 다문화 시대 한국어 정책 전담 기구의 신설
2) 한국어 교육 요구 조사의 정례화

VI. 결 언

참고문헌

부 록
1. 설문지(이주민근로자용)
2. 설문지(여성 결혼이주민용)
3. 설문지(이주민자녀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