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NYPI 발간물검색

NYPI 발간물검색

단행본2019년 BEST 30

청년 흙밥 보고서

발행사항
파주: 들녘, 2018
형태사항
310 p, 20cm
비통제주제어
청년문제, 사회문제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27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82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신지예(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김민수(전 청년유니온 위원장), 김민섭(『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저자) 추천
“이 시대 청년 문제를 집요하게 파헤친 문제적 르포”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하다 다시 미래를 잃는 청년들. 청춘이라는 빛나는 말의 이면에 겨우 끼니를 때우며, 취업을 위해 잠을 줄이고, 쪽방에 갇혀 스스로를 무너뜨려가는 청년들이 있다. 이 책은 지난 10년간 ‘흙수저 밥’을 먹는 문제를 비롯 청년들의 삶 전반을 깊이 취재해온 『시사IN』 변진경 기자의 기사를 엮은 것이다.
‘젊어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은 정말이지 옛말이다. 물론 배고픈 이들은 청년 말고도 많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 청년들이 먹는 ‘흙밥’에는 몇 가지 특수한 요인들이 있다. 고비용 대학 교육, 취약한 노동 환경, 길어진 취업 준비 기간, 열악한 주거 여건 등이다. 이 모든 조건 속에서 청년들은 자존을 잃어가고 있다. 제대로 밥을 챙겨 먹기 위해 필요한 돈과 시간과 심리적 여유, 말하자면 ‘식사권’을 잃었다. 아니, 정확히는 빼앗겼다.
인생의 가장 찬란한 때, 가장 꿈 많아야 할 시기에 우리 청년들은 포기와 체념을 먼저 배우고 있다. 청년들은 경쟁원리를 내면화했다. 웃으며 괜찮다고 말한다. 어렵기에 가장 먼저 포기하게 되는 것이 밥이다. 청년들이 포기하고 체념한다면, 우리 사회에는 영영 미래가 없을지 모른다. 스스로를 돌보지 않는 이들은 다른 이들을 돌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그들에게 다시 희망을 줄 수 있다면 그 시작 또한 밥이 아닐까.


희망과 건강을
젊음과 맞바꿀 수밖에 없는
가난한 청춘 일기


지난 달 종로의 한 고시원에서 화재가 일어 일곱 명이 목숨을 잃었다. 다행히 창문으로 탈출해 목숨을 건진 사람들도 있다. 창이 있는 방에 더 붙는 월세 4만 원, 이 때문에 희생자들이 죽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이들은 매 순간 ‘볕’과 ‘4만 원’을 놓고 고민했을지 모른다. 안타깝게도 사고의 희생자는 그 ‘빈곤세’를 목숨으로 낸 셈이었다.
가난하다고 생활비가 더 적게 드는 것은 결코 아니다. 불규칙하게 저렴한 음식만 먹으면 건강이 무너져 나중에 치료비로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 가난한 사람은 같은 돈을 빌려도 더 높은 이자를 낸다.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곧 연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이를 ‘빈곤세’라고 부른다. 이 빈곤세 때문에 결국 인간적인 삶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이들은 미래를 도모하고 예상하며 앞날을 그려나가지 못한다. 하루하루 생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결국 부모의 치료비 때문에 대학을 포기한다. 생활비 때문에 위험한 줄 뻔히 알면서 사채를 쓴다.
사고 이후 미국의 가수 테이 존데이(Tay Zonday)의 글이 다시금 알려지며 인구에 올랐다.

지금 가난하다는 것은 나중에 더 가난해진다는 걸 의미한다.
지금 당장 치약 칫솔 살 돈이 없는가?
— 그럼 내년에는 임플란트 비용을 청구받을 것이다.
지금 당장 새 매트리스 살 돈이 없는가?
— 그럼 내년에는 척추 수술을 받게 될 것이다.
지금 당장 건강검진 받을 돈이 없는가?
— 그럼 내년에는 3기 암 치료비를 내게 될 것이다.
가난에는 이자가 붙는다.

젊음이 더 이상 특권이 아닌 ‘착취의 명분’이 돼버린 우리 사회
다 먹은 친구의 식판에 리필하여 끼니를 때우는 흙수저 밥상


이 책은 여섯 가지 측면에서 청년의 삶을 돌아본다. 식사, 주거, 생활, 노동의 각기 다른 영역에서 청년의 곤궁한 삶을 담아내고, ‘서울중심주의’에 갇혀 더욱 소외되는 지역에서 살아가는 청년들의 모습을 그린다. 마지막에는 청년 문제를 해결할 대안 가운데 하나로 청년수당제도의 의미를 살펴본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아무래도 밥이다.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를 접한 우리의 마음을 가장 아프게 한 것은 희생자의 가방에서 나온, 그날 점심으로 먹을 컵라면이었다. ‘청담뷰티공단’에는 짙은 화장으로 앳된 얼굴을 가린 견습 미용사가 주린 배를 감추지 못하고 손님이 남긴 과자를 허겁지겁 넘긴다. 청년들은 ‘웃으며’ 말한다. “밥 한 숟가락에 굵은소금 한 개씩 넣어 먹은 거요.” “물에 카레 가루만 풀어서 끓여 마셔본 적 있네요.” “자취할 때 물 끓여서 다시다만 넣어 먹은 적 있어요.”
청년들 대부분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가장 먼저 식사권을 포기한다. ‘젊고’ ‘건강하다’는 자신감 때문이다. “수중에 돈이 떨어졌을 때 가장 줄이기 쉬운 게 식비예요.” “젊어서 한두 끼 굶는다고 죽는 것도 아니잖아요.” “어린이나 노인과는 달리 우리는 젊고 튼튼해서 배고픈 걸 좀 잘 견딜 수 있으니까요.” 그렇지만 이는 미래를 당겨 쓰는 것이다. 젊은 시절 부실한 식사로 만성질환자가 돼 훗날 몸이 망가져 제대로 돈을 벌기 힘든 사례가 정말 많다고 연구자들은 입을 모은다.
혈기왕성하다고 하지만 청년들은 이제 많이 아프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7 비만백서」에 따르면, 저체중과 초고도비만 두 극단층 비율 모두 19~29세 구간이 가장 높다. 질병관리본부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연령대 가운데 19~29세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가장 높았다. 20대의 52.5%가 아침을 굶으며 미래를 준비한다. 과일과 채소를 하루 500g 이상 섭취하는 19~29세의 비율은 23.6%로 모든 연령대 가운데 가장 낮다. 청년들은 점점 건강을 잃고 있다. 이들을 위한 건강관리가 필요한데도, 국가정책에서 청년은 순위가 밀린다. 노인, 영유아, 임산부, 아동, 장애인, 노동자의 건강에 관해서는 따로 세부 계획을 세우지만, 여기에 청년의 자리는 없다.

‘내 밥’을 넘어 ‘네 밥’의 권리까지
흙수저 밥에서 흙 수확 밥으로


물론 절망뿐인 것은 아니다. 청년들은 자구책을 마련했다. 봉사 동아리 ‘십시일밥’은 학생들이 학교식당에서 봉사활동의 대가로 받은 식권을 친구들에게 나눠주는 활동을 벌여왔다. 처음에는 일시적인 활동이었지만 3년 사이 전국 29개 대학으로 확산되었고, 1900여 명에 이르는 밥 못 먹는 대학생들에게 식권을 나눠주고 있다. 또한 원주의 ‘청년마을’, 광주의 ‘동네줌인’, 대전의 ‘보슈’, 부산의 ‘부달라’, 그리고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유니온’ 등은 흙수저 밥상을 뒤집어엎는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다. 아울러 1인 가구 청년 식생활 연구모임 ‘끼다’는 또래의 청년 이웃을 초대해 식사를 차려주며, 노량진·신림동 고시촌 등지에서의 ‘하루 한 끼 건강하게 밥 먹기’ 캠페인, 식생활 일지 작성 모임 등을 다양한 활동을 꾸리고 있다. 구호단체 ‘기아대책’은 작년부터 ‘청년 도시락’이라는 이름의 청년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2016년부터 서울시와 성남시 등 지자체에서 펼치는 현금지원 정책인 ‘청년수당’에 주목해야 한다. 물론 포퓰리즘이니, 젊은 시절부터 ‘복지병’에 걸릴 것이라는 등 비난 여론이 만만찮다. 또 다른 반대 의견도 있다. 당시 청년유니온 위원장이던 김민수는 여러 지방정부를 넘어 중앙정부와 국회가 나서서 ‘청년기본법’ 등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지난 지방선거에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 청년들의 뜨거운 지지를 받았던 신지예는 청년수당 정책이 스스로 불행을 증빙해야 하는 선별 복지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청년수당은 당사자 청년들의 삶을 바꾸었다. 많은 청년수당 참여자들에게 청년수당을 받으면서 아르바이트를 ‘끊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취업준비를 위한 돈을 마련하려 시작한 아르바이트지만, 정작 그 때문에 취업준비에 소홀할 수밖에 없게 되는 원흉이 바로 아르바이트다. “이전까지는 무기력감과 우울함도 자주 느껴왔는데, 수당을 받은 이후 활동적으로 바뀌려고 노력하게 됐어요.” “청년수당을 받기 시작하면서 남들처럼 12시에 점심을, 6시에 저녁을 먹어요.” “청년수당을 계기로 그간 끊어져 있던 세상과의 고리가 연결됐어요.” “경제적·심리적으로 사실상 자기 주도권을 행사하기 힘든 20대를 잘 도와주는 게 어쩌면 평생 자기 주도의 뿌리가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청년수당 사업으로 돈을 지원하는 것만이 대안은 아닐 것이다. 방법은 다양하다. 청년들에게 시간을 주고 용기를 심어주는 일, 건강한 식탁을 되찾아주는 일, 그리고 또 모든 것의 시작이다. 김민섭의 말처럼, “청년을 둘러싼 문제가 나아질 때마다, 정확히는 청년들이 자신의 미래를 기대하게 될 때마다 그들의 밥에 섞인 흙도 조금씩 줄어들 것이다. 그들이 가장 먼저 줄여나간 것이 식비였듯이, 자신들의 처지가 나아질수록 가장 먼저 회복해나갈 것 역시 ‘밥’이다.”
『청년 흙밥 보고서』는 청년들은 물론, 정책 연구자, 단체 활동가, 정치인 들이 지역사회와 함게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청년 문제는 당사자 청년들만의 것이 아니다. 청년들이 스스로를 단념한다면 우리 사회에도 미래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청년들을 돌볼 수 있다면 청년들도 사회의 더 낮은 곳을 돌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추천의 말 - 김민섭 똑같이 가난한 식탁을 마주하고 있는 나와 당신의 이야기 프롤로그 천 명의 청년, 만 끼의 흙밥 - 청년들은 ‘식사권’을 잃었다. 아니, 빼앗겼다 굶고 때우고 견디는 청년 | 굶어서 아프고, 아파서 서러운 청춘 | 조류독감에 걸리기 전부터 이미 병든 닭처럼 | “돌도 씹어 먹을 나이? 밥상을 뒤엎어라” | 흙밥 가고 금밥 오라 | 가난하면 밥 굶는 게 당연한가요? | “밥은 먹고 다니니?” - 21세기형 쪽방에 저당 잡힌 청춘 “당신의 꿈 어느 방에 두고 왔나요?” | 방방 뛰는 방세에 눈물이 방울방울 | 이 방에서 벗어나려 이 방에 산다 | ‘방’을 둘러싼 20대의 번민 | “내 방 얘기 한번 들어볼래?” | 기숙사에 사는 당신, 주거 인권은 안녕한가요? | 정말로 기숙사에 규제가 필요한가 - 앞날을 헤아릴 수 없는 삶 목숨을 끊거나 강도짓을 하거나 | 유모차보다 먼저 휠체어를 미는 세대 | 나는 걷는다, 돈이 없어서 |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다 | 연애 못 하는 이유, 대안은 결국 고용 - 좁은 취업문, 비정규직, 열정페이 ‘로켓배송’은 어떻게 가능할까 | 서른 즈음에… 또 취업이 멀어져간다 | 괜찮다고 말하지 말 것 | 청년의 것은 청년에게 - 지방에서도 다른 세계를 꿈꿔야 소멸 위기에 빠진 ‘나의 살던 고향’ | 지방 청년으로 산다는 것 그리고 꿈꾼다는 것 | “우리는 지방에 ‘남’지 않고 ‘살’고 있다” | 지방 청년들의 ‘성찰적 겸연쩍음’과 ‘습속’ | 지방대생의 ‘문제적 삶’을 말하다 | 지방 청년들의 말말말 - 청년수당이라는 대안 청년수당 받으면 밥 먹을 수 있다 | “라면에 달걀을 넣을 수 있게 됐다” | 청년수당 150일 실험, 결과를 공개합니다 | 청년수당의 빛나는 성적표 | “청년은 생계 취약계층이다” | 청년수당, 꿈을 위한 하루 3시간 | “당신이 대통령이라면 청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 눈칫밥 안 먹는 프랑스 청년 에필로그 흙수저 밥에서 흙 수확 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