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NYPI 발간물검색

NYPI 발간물검색

단행본

지금 여기, 무탈한가요?: 괜찮아 보이지만 괜찮지 않은 사회 이야기

발행사항
서울: 북트리거, 2020
형태사항
226 p., 22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71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7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살 만하다는 건 거짓말이다!”
차별에 찬성하고 불평등에 눈감는 세상,
어느 누구도 괜찮지 않은 사회를 바로 보다!

곳곳에서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가 들려온다. 통계청의 『2019 사회 조사』에 따르면, 본인 세대에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2.7%에 불과했다. 2009년에 비해 10% 정도 줄어든 수치이다. 또한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 더욱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우리 사회는 지금 이 순간에도 더욱 불평등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따라 ‘계층’이 구분될 수는 있지만, 계층 이동이 거의 불가능한 ‘계급 사회’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는 전혀 무탈하지 않다.
『지금 여기, 무탈한가요?』는 내가 발붙이고 사는 이 세상이 전혀 괜찮지 않다는 사실을 알려 주고, 제대로 사회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한국 사회에 누구보다 예민한 촉을 세우며 고정관념을 깨뜨리고자 노력하는 이 시대의 사회학자 오찬호가 불평등과 차별, 혐오가 일상인 우리 사회를 날카로운 눈으로 꿰뚫어 본다.

지역 격차, 소득 불평등, 교육, 부동산, 노동자…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14가지 키워드를 통해
제대로 의심하는 힘을 기르다!

『지금 여기, 무탈한가요?』는 대한민국의 여러 사회문제를 거울삼아 지금 이 시대가 얼마나 건강한지 종합 진단하는 책이다. 먼저 첫 번째 이야기(이거 봐, 세상은 역시 무탈하지 않아)에서는 환경, 지역 격차, 교육, 가족 등을 주제로, 지금까지 문제라고 생각하지 못한 채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을 의심하고 고민한다. ‘교육’을 예로 들어 보자. 대체로 우리는 시험을 통한 선발이 공정하며, 그 결과에 수긍해야 한다고 받아들인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엄청난 빈부 격차 역시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저자는 ‘공정한 시험은 없다’고 단언한다. 그저 인류는 어제보다 더욱 공정한 시험 제도를 만들어 갈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시험 결과가 엄청난 빈부의 차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짚는다. 이 외에도 저자는 환경(환경 앞에선 정말 모두가 평등할까?), 지역 차별(한국 사회에서 ‘지방’은 어떤 의미일까?), 가족(과연 ‘정상 가족’이 존재할까?) 등의 주제를 날카롭고 예리한 시선으로 살핀다.
두 번째 이야기(이 세상 모든 존재에 대해 예의가 필요하다)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고통받는 존재인 동물, 난민, 장애인, 노동자 등을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동물에게는 정말 권리가 없을까? 왜 그렇게 난민을 혐오할까? 왜 당연한 권리를 장애인에게는 특혜라 할까? 저자는 차별과 혐오, 불평등이 만연한 세상에 끝없이 물음표를 던진다. 혹시 동물, 난민, 장애인은 나와 멀게 느껴진다면, 노동 문제는 어떨까? 수많은 이들이 ‘노동자’ 신분이지만, 정작 노동 문제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는다. ‘노동자’를 육체노동자에 한정한 탓이다. 학창 시절에 노력하지 않은 자가 육체노동을 떠맡게 된다고 치부하기도 한다. 이렇게 평범한 노동을 경시하는 세상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을까? 또한 고소득 전문직, 인기 유튜버, 기업가가 아니면 인생이 불안한 사람들이 많은 사회가 결코 건강할 리 없다. 저자는 이런 세상에서는 제대로 된 사회정책을 만들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세 번째 이야기(불평등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 끝까지 의심하기)에서는 부동산, 소득 불평등, 종교, 미디어, 정치와 같이 사회를 둘러싼 커다란 틀을 의심하고 세상에 질문을 던지라고 말한다. 최소 대기업 정규직 정도는 되어야 먹고살 수 있고(소득 불평등), 누구나 ‘수도권 똘똘한 집 한 채’를 갖기를 소망하는(부동산) 세상이다. 하지만 아무리 ‘노오력’을 해도 내 마음처럼 되지 않기에 신에게 기도할 따름이다(종교). 평소 편견으로 가득한 뉴스와 거짓 정보에 익숙해지다 보면 이렇게 살기 힘든 세상이 되어 버린 진짜 이유를 찾아내기가 힘들다(언론). 결국엔 무력감에 빠져서 투표조차 귀찮아지게 마련이다(정치). 저자는 이 모든 자세를 경계하며, 지금껏 당연하게 여겨 온 고정관념을 끝까지 의심하고 따져 봐야만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견고한 선입견을 깨고자 시도하며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개인이 모이면 사회가 변화한다. 그런데 개인이 눈뜨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우리 주위를 둘러싼 모든 것들을 의심해야 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저자의 날카로운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제대로 의심하는 법’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괜찮다고 다독이는 세상에서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와
사회구조를 바라보는 지혜를 주다!

저자가 짚는 사회문제들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이슈들이다. 다만 세상은 원래 그렇다거나 혹은 내 일은 아니라며 외면해 왔을 뿐이다. 『지금 여기, 무탈한가요?』는 바로 그런 자세에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한다. 저자는 사회와 타인에 대한 관심 없이 나만 잘 살겠다는 태도는 우리 사회를 결국 병들게 하고 말 것이라고 말한다. 차별하는 이도 어떤 집단에서는 차별당하는 입장이 될 수 있다. 또한 불평등을 기본값으로 둔 사회가 오랜 시간 제대로 굴러가리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그 누구도 괜찮지 않은 사회를 염려하고,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호소한다.
차별과 불평등을 풀 수 있는 답은 결국 ‘사회구조를 보는 눈’이다. 사회구조를 보는 눈을 외면하는 사람들은 차별과 불평등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개인에게 너무나도 얄팍한 처방과 위로를 일삼는다. 그러나 이는 고충을 해결하는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다.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해 주는 사회시스템이 존재한다면, 우리는 엄청난 노력 없이도 행복할 수 있다. 우리 주위의 친숙한 문제를 낯선 시각으로 바라보며, ‘괜찮다’고 다독이는 사회를 향해 ‘그렇지 않다’고 소리칠 수 있는 힘을 길러 보자. ‘조금 더 무탈한 사회’는 그런 개인이 모인 변화의 결과로 만들어질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첫 번째 이야기 : 이거 봐, 세상은 역시 무탈하지 않아 [환경] 환경 앞에선 정말 모두가 평등할까? _더위로 인한 죽음은 천재지변이 아니다 [지역 격차] 한국 사회에서 ‘지방’은 어떤 의미일까? _서울 사람은 절대 모르는 차별이 있다 [교육] 공정한 시험은 가능할까? _‘억울하면 합격하라’는 말은 틀렸다 [가족] 과연 ‘정상 가족’이 존재할까? _뭉치면 행복하다는 건 이제 옛말 두 번째 이야기 : 이 세상 모든 존재에 대해 예의가 필요하다 [동물] 동물에게는 권리가 없을까? _살아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예의가 필요하다 [난민] 왜 그렇게 난민을 혐오할까? _대한민국 난민 인정률 0.4%, 그래도 난민이 싫다면 [장애인] 당연한 권리를 왜 장애인에게는 특혜라 할까? _호의를 베풀었더니 권리인 줄 아느냐는 이들에게 [노동자] 평범한 노동을 하찮게 대하는 사회, 이대로 괜찮을까? _오늘도 배달 노동자는 목숨을 건다 세 번째 이야기 : 불평등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 끝까지 의심하기 [부동산] 내 집 마련에 목숨 거는 세상, 이대로 괜찮을까? _모두가 건물주를 꿈꾼다 [소득 불평등] 정말 ‘계급’은 사라졌을까? _‘노오력’을 해도 달라지는 게 없다면 [종교] 종교에 의지하는 사회가 건강할까? _북유럽 사람들은 좀처럼 기도하지 않는다 [미디어] 언론과 가짜 뉴스, 이대로 괜찮을까? _뉴스를 검색할수록 차별에 물든다 [정치] 정치와 상관없는 개인이 존재할까? _‘그런다고’ 세상이 달라진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