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연구보고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총괄보고서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227p. :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734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73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273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27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에 걸쳐 수행된 협동연구로서, 우리나라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 양상을 고찰하고 원활한 성인기 이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2010년에 수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취업, 부모로부터의 분가, 결혼과 출산을 통한 가족형성 여부를 성인기 이행 기준으로 가정하고, 센서스데이터와 패널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국내외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았다. 2011년에 수행한 2차년도 연구에서는 Arnett이 제안한 발현성인기(emerging adulthood)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이 자신들의 현재시기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성인됨의 기준”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성인기 과업이라 여겨져 왔던 학교교육 종료, 취업, 결혼, 첫아이 출산, 부모로부터의 독립 등에 대한 연령규범을 조사하였다. 부모세대를 대상으로는“성인됨의 기준”과 성인기 과업 관련 연령규범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발현성인기로 정의된 만 19세부터 24세까지의 청년세대 2,000명과 청년세대의 부모 연령에 해당하는 부모세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년세대는 현재 자신의 시기를, 자신에 대해 집중(self-focused)하고 삶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기로 바라보는 경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인 수준에 따라 청년들이 현 시기를 인식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경제수준이 높은 청년들은 현재의 시기를 자유를 누리는 시기라거나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시기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데 비해, 경제수준이 낮은 청년들은 불안정한 시기 또는 걱정이 많은 시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인됨의 기준에 대해서는 청년세대와 부모세대 모두‘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이나 음주가 허용되는 것(허용행동)과 과음을 하지 않는 것(규범준수), 부모로부터의 분가(부모님과 함께 살지 않는 것) 등은 성인의 기준으로서 중요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세대 간 두드러진 격차를 보인 항목은‘최소한 한명의 자녀를 두는 것’으로, 자녀 출산을 성인의 기준으로 여기는 정도가 부모세대에 비해 청년세대에서 확연히 낮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사도구를 활용한 외국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우리사회에서는 성인의 기준으로서 가족형성 및 가족부양, 자녀양육 능력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정도가 훨씬 높았고, 규범준수와 감정조절, 부모로부터의 독립을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과업에 대한 연령규범에 대해서는 각 성인기 과업과 성별에 관해 연령규범이 강하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세대는 부모세대보다 각 성인기과업에 적합한 연령대를 더 높게 보고 있고, 여자청년들이 남자청년들보다 성인기 과업을 수행하기에 바람직한 시기를 더 늦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기 과업 관련 연령규범에 대한 세대 간, 성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기 이행과 발현성인기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본격화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Arnett의 설문도구가 한국 사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를 살펴보고 수정하기 위해 발현성인기 특성과 성인의 기준에 관한 설문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인의 기준에 대한 설문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청년세대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6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부모세대에 대해서는 8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두 집단 간에 공통으로 도출된 요인은 첫째, 가족부양 및 자녀양육 능력, 둘째, 규범준수, 셋째, 허용행동, 넷째, 연령이행이다.‘가족부양 및 자녀양육 능력’에 포함된 문항은 두 집단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규범준수’,‘허용되는 행동’,‘연령이행’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은 청년조사와 부모세대조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동연구로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2011년의 2차년도 연구에 협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행한‘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에서는 성인기 이행의 성별 간 차이를 고찰하고, 성별화된 성인기 이행과정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젠더 불균등한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한국사회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이 양성평등적이고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과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소외를 경험해 온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원활한 성인기 이행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총 3개 과제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을 지원 하는 데 필요한 교육, 고용, 주거, 가족, 복지 영역에 관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조사 2) 성인기 이행 양상에 관한 성별 차이(세부과제)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 연구(세부과제) 3. 연구방법 1) 설문조사 2) 심층면접조사 3) 전문가 자문 4. 용어 정의: 청년기 5.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이론적 배경 1. 발현성인기 1) 발현성인기 발생의 배경 2) 발현성인기의 특징 2. 성인의 조건 3. 성인기 이행에 관한 규범 4. 소결 제3장 연구방법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연구 1) 설문문항과 문항작성 근거 및 조사영역 선정 2) 예비조사 3) 본조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1) 연구방향 2) 연구 대상자 선정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연구 1) 연구방향 2) 연구 대상자 선정 제4장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발현성인기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 3. 성인의 기준에 대한 인식 및 세대 간 비교 1) 성인의 기준 중요도 조사결과 2) 성인의 기준으로 중요도가 낮은 항목 3) 성인의 기준에 대한 세대별 차이 4) 성인의 기준에 대한 외국조사결과 비교 4. 성인으로 인식하는 상황과 성인기 과업 수행시기 1) 자신을 성인으로 인식하는 정도 2) 성인기 과업 수행시기에 대한 인식 5. 성인기 이행과 관련된 과업들 1) 성인기 이행과 교육의 중요성 2) 성인기 이행과 경제적 자립 3) 성인기 이행과 부모의 개입, 개인의 특성 4) 청년들의 결혼, 자녀출산, 분가의향 6. 발현성인기와 성인의 기준 요인분석 1) 발현성인기 특성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2) 성인의 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3)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배경변인별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결론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조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세부과제)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세부과제) 2. 정책제언 1) 건강한 성인기 이행 지원을 위한 사회문화 구축 2) 청소년기 사회 참여 활성화 및 진로지도 강화 3) 취약위기청년 지원 정책 4) 성별화된 돌봄 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5) 성인기 이행 중 부모에 대한 경제적 예속 탈피 지원 6) 청년주거 정책 7) 청년고용 정책 8)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책무성 강화 3. 성인기 이행 관련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청년세대용 설문지 2. 부모세대용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