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단행본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내러티브학 탐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문화사, 2016
형태사항
656 p: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31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63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저서를 작업하게 된 모티브는 크게 네 가지에서 출발하였다. 첫째는 근대의 과학적 이성에 바탕을 둔 지식관에 대한 반성으로서, 근대의 지식과 연계된 자연과학의 설명 모델은 인간의 삶의 세계에 일차적으로 주목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둘째, 여러 학문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경향으로서, 인간 마음(mind)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통합해보고자 하는 의도이다. 즉, 인지과학과 그 대안에 대한 종합적 성찰로서 내러티브적 존재(Homo narraticus)인 인간의 경험에 주목한다. 장차 인간 경험을 탐구하는 학문의 연구방법론은 이제 내러티브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Jerome Bruner와 Donald Polkinghorne의 내러티브적 앎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브루너는 인간은 내러티브를 통하여 삶을 구성한다고 보았으며, 포킹혼은 인간은 내러티브 도식(narrative scheme)에 의해서 의미를 형성하는 존재로 보았다. 따라서 새로운 학문연구 방법론은 이제 인간 경험의 내러티브 도식에 의해 의미를 창안하고 삶을 영위하는 존재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새로운 학문 연구방법론 정립의 전략으로 학제적 접근을 채택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문화구성주의, 문화심리학, 서사학, 이야기 해석학, 현상학, 경험주의 등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자리한다.
이러한 모티브에서 출발한 본 저서는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시론적으로 모색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서 내러티브 인식론에 근거하여 내러티브학을 시론적으로 정립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I. 변화의 서막
1. 연구 목적과 연구 경향
가. 연구 목적
나. 내러티브 연구 경향
2. 연구의 필요성
가. 연구의 학술적 필요성
나. 연구의 구체적 필요성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II. 선행연구와 인문사회과학 이론의 동향
1. 선행연구의 검토
가. 내러티브에 대한 다양한 의미에 대한 연구
나. 선행연구들의 지향점에 의한 관계 분석
다. 국내외 연구 동향 또는 연구 배경
라. 관련 학문 분야별 내러티브 연구 동향
2. 인문사회과학과 인간과학 이론의 국제적 동향
가. 역사와 내러티브적 설명
나. 문학과 내러티브
다. 심리학과 내러티브
라. 교육학과 내러티브
3. 근대 이성 중심의 의미구성 방식에 대한 비판
가. 실증주의적 지식관의 문제
나. 다양한 앎의 방식의 등장
4. 의미 구성 방식에 대한 새로운 변화: 내러티브 인식론의 가치와 중요성
가. 기존 인식론에 대한 반성
나. 고전적 인식론과 그 문제
다. 마음에 대한 연구
라. 내러티브 사고에 대한 연구
마. 내러티브의 본질성: Polkinghorne이 제안하는 내러티브적 앎의 방식
바. 내러티브 지식: Lyotard의 이야기적 지식
사. 문화심리학
아. 문화구성주의
자. 해석학: Ricoeur의 이야기 해석학을 중심으로

III. 인문 사회과학의 역사 및 비판
1. 인문사회과학의 발전 과정과 연구방법론
가. 인문사회과학의 발전 과정
나. 인문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
2. 인문사회과학 위기의 이유
가. 학문 성격의 문제
나. 현장 실천과의 관계 설정
다. 학문 연구 방법 및 탐구 활동에 대한 인식
라. 학문 분과주의
마. 학문 연구방법론의 쟁점: 사회학을 중심으로
3. 인문사회과학의 설명방식 비판
가. 장상호의 교육적 인식론에 의한 비판
나. Bruner의 문화주의에 의한 비판
4. 내러티브 인식론의 입장과 출발점
가. 기저로서의 3가지 입장
나. 내러티브 인식론의 기본 출발점

IV. 내러티브 인식론에 의한 인간과학의 재구성
1. 인간과학의 토대로서 문화심리학
가. 인간관: 인간 경험에 대한 문제
나. 지식관: 내러티브 인식론과 내러티브 지식
다. 학문연구방법론: 문화심리학을 중심으로
라. 이야기 심리학
2. 내러티브 사고양식과 이야기 심리학
가. 내러티브 사고양식과 인간과학
나. 이야기 심리학과 인간과학
3. 인간과학의 체계로서 문화주의
가. Bruner의 문화주의 이론에서 문화주의의 의미
나. 문화구성주의에 입각한 인간과학의 구조론
다. 인간과학의 연구방법론: 문화심리학을 중심으로
라. 인간과학의 한 사례로서 교육문화학
4. 인간발달의 문화적 표현으로서 인문사회과학
가. 기존 입장과의 차이점
나. 특징과 시사점

V. 신 인문사회과학의 가능성과 체계: 연구방법론적 측면
1. 이론적 가능성과 내용
가. 이론적 가능성의 구도
나. 주요 개념과 원리
다. 내러티브 지식관: 연구방법론의 측면
라. 신 인문사회과학으로서의 내러티브학
2. 인간과학과 내러티브적 앎의 이론적 해석
가. 내러티브적 앎의 성격
나. 내러티브적 앎의 이론적 위치
다. 내러티브적 앎에 의한 인간과학의 재해석
3. 현장 적용 사례
가. 교육학(교과 교육) 분야의 사례
나. 인문사회과학의 사례: 역사(학)를 중심으로
다. 자연과학의 사례

VI. 내러티브학의 토대로서 개별 학문에서의 발전 방안: 탐구와 적용
1. 언어학/문학과 내러티브
가. 언어학
나. 문학
2. 역사학/사회과학과 내러티브
가. 역사학
나. 사회과학(심리학)
3. 교육학/상담학과 내러티브
가. 인간 교육학
나. 상담학
4. 의학/치료학과 내러티브
가. 내러티브 의학
나. 문학치료학
5. 연구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

VII. 내러티브 인식론 기반의 새로운 인문사회과학의 아젠더 설정: 내러티브 과학의 창안
1. 인간과학으로서 내러티브학의 새로운 가능성
가. 내러티브의 도래와 지식의 변화
나. 학문탐구론의 변화
다. 내러티브와 인간학
2. 정보 시대와 인문사회과학
가. 정보처리와 의미 구성: 컴퓨터주의와 문화주의
나. 디지털 스토리텔링
다. 의미 구성의 인문사회학: 정보시대에서 의미 구성
3. 미래 사회와 내러티브
가. 인간사회의 미래와 내러티브 역량
나. 내러티브 학습
다. 내러티브 기반 미래 구성: 창의, 상상력
4. 새로운 장르로서 내러티브학의 창안
가. 내러티브학의 근거로서 내러티브 인식론
나. 내러티브학의 구조
다. 특징과 위상
라. 한계와 과제

VIII.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3. 후속 연구의 과제: 내러티브와 학문의 융복합적 연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