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05집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발행사항
파주: 집문당, 2016
형태사항
529 p.: 삽도, 24cm
총서명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05집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757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75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질적연구방법의 특징과 설계이고 다른 하나는 질적 자료분석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질적분석의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소개하였다는 점인데, 주제 분석(귀납적 주제분석, 연역적 주제분석), 이론적 분석, 시퀀스 분석으로 분류하였다. 질적 자료분석에 이 책의 절반을 할애하였다.
목차

제1부 질적연구방법의 패러다임과 특징

제1장 과학적 지식과 질적연구

1. 과학적 연구와 과학적 방법
1) 과학적 연구와 과학적 추론
2) 과학적 방법에 대한 재정의
2. 과학적 연구로서의 질적연구
3. 질적연구의 과학적 추론
4. 질적연구방법의 역사적 배경

제2장 질적연구방법의 패러다임
1. 연구방법에 대한 두 입장
1) ‘패러다임’ 입장
2) ‘기법’ 입장
2. 연구 패러다임의 분류
1) 실증주의 패러다임
2) 해석주의 패러다임
3) 비판주의 패러다임
3. 연구 패러다임과 사회복지 연구
1) 실증주의 패러다임과 사회복지 연구
2) 해석주의 패러다임과 사회복지 연구
3) 비판주의 패러다임과 사회복지 연구

제3장 질적연구방법이란 무엇인가?
1. 경험 이면의 ‘의미’ 탐구
1) 경험은 사회과학 지식의 자료이다
2) 왜 ‘의미’를 탐구해야 하나
3) ‘의미’는 사회적 산물이다
4) 의미를 이해하려면 경험들의 ‘이면’으로 들어가야 한다
5) 행위자의 주관적 의미로부터 사회구조를 도출할 수 있다
2. 맥락의존적 지식의 산출
1) 질적연구에서 맥락에 대한 접근은 양적연구의 접근과 다르다
2) ‘맥락’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의미’도 달라진다
3) 맥락은 질적연구의 전 과정에서 고려된다
3. 방법으로서의 ‘해석’
1) ‘해석’은 질적연구에서 ‘의미’를 포착하는 방법이다
2) 질적연구 과정에서 해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질적연구에서 해석의 타당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4. 귀납적 지식의 축적
1) 질적연구는 주로 발견과 귀납을 통해 지식을 축적한다
2) 질적연구는 귀납과 연역을 혼합하여 연구할 수 있다

제2부 질적연구의 설계

제4장 연구질문의 설계

1. 질적연구 설계의 필요성과 특징
1) 질적연구 설계의 필요성
2) 질적연구 설계의 특징
2. 문헌고찰과 질적연구 설계
1) 질적연구에서 문헌고찰의 중요성
2) 질적연구에서 문헌고찰의 시기
3. 질적연구에서 이론의 역할
1) 질적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오해
2) 질적연구에서 이론의 역할

제5장 질적연구의 접근방법
1. 일반적 질적연구
1) 연구질문과 접근방법의 선택
2) ‘일반적 질적연구’의 정의
3) ‘일반적 질적연구’의 특징과 활용
2. 문화기술지
1) 문화기술지의 특징
2) 문화기술지의 분화와 확장
3) 문화기술지와 사회복지 지식
3. 근거이론
1) 질적연구에서 근거이론의 위치
2) 근거이론의 특징
3) 근거이론 방법의 분열과 진화
4. 현상학적 연구
1) 현상학과 현상학적 연구
2) 현상학적 연구의 가정과 질문
3) 본질을 발견하는 방법: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적 태도
4) 현상학적 연구와 사회세계
5. 사례연구
1) 사례연구의 특징
2) 사례연구에서 설계와 분석
6. 제도적 문화기술지
1)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특징
2)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장치들
3) 해석적 질적연구와의 차이
4) 제도적 문화기술지와 사회복지 지식

제6장 질적연구의 접근방법들, 어떻게 볼 것인가?
1. 질적연구의 다양한 접근에 대한 평가
2. 질적연구 접근방법의 선택에 대한 두 입장
1) 특정 접근방법을 선택하여 연구하면 연구의 질이 높아진다
2) 질적연구 접근방법들의 다양성보다는 공통성을 확보하자
3. 다양한 접근방법의 공통성
4. 사회정책 영역에서 공통성 논쟁
5. 다양한 접근방법들 내의 분화

제7장 질적연구에서 표본의 선택과 설계
1. 질적연구에서 표본 선택의 논리
1) 준거적 표본선택
2) 다양성 표본선택
3) 추가적 표본 선택
2. 질적연구에서 모집단의 확인과 표본
3. 질적연구에서 표본선택의 방법들
1) 선택적 표집
2) 이론적 표집
4. 질적연구에서 표본의 크기와 일반화

제8장 자료수집의 방법
1. 인터뷰
1) 질적 인터뷰의 의미와 준비
2) 인터뷰의 유형
3) 인터뷰 질문의 기술
2. 관찰
1) 관찰 자료의 가치
2) 관찰의 전략
3) 관찰의 실행
4) 관찰의 기록
3. 문서
1) 질적연구에서 문서의 위상
2) 사회적 산물로서의 문서
3) 사람들의 행동을 조정하는 것으로서의 문서

제3부 질적 자료분석

제9장 질적 자료분석의 분류와 공통요소

1. 질적 자료분석이란 무엇인가?
2. 질적 자료분석의 분류
1) 질적 자료분석 분류의 기준
2) 질적 자료분석의 분류
3. 질적 자료분석의 공통요소: 주제 찾기
1) 질적 분석에서 주제란?
2) 패턴 찾기
3) 추상화
4) 해석하기

제10장 주제분석의 다양한 접근들
1. 주제분석의 개요
2. 주제분석과 귀납적 접근
3. 주제분석의 다양한 방법들
1) Boyatzis의 주제분석: ‘자료 중심 접근’
2) Glaser와 Strauss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한 주제분석
3) 문화기술지와 현상학적 분석에서 주제분석

제11장 주제분석의 방법: 코딩
1. 코딩
1) 코딩을 위한 하나의 올바른 방법은 없다
2) 코딩은 자료를 사고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3) 코딩은 해석적 행위이다
4) 연구자마다 코드 선택이 다른 것이 문제는 아니다
5) 코딩에는 위험이 따른다
2. 코딩의 타당성을 촉진하는 방법들
1) 비교하기
2) 질문하기
3) 감지적 개념: 개념을 감지적으로 사용하기
4) 체계적인 자료관리

제12장 귀납적 주제분석의 과정과 방법
1. 귀납적 주제분석 과정의 특징
2. 귀납적 주제분석의 과정과 방법
1) 포괄분석
2) 의미단위 분석
3) 패턴분석
4) 범주분석
5) 주제분석

제13장 연역적 주제분석
1. 질적분석에서 연역
1) 귀납과 연역의 ‘연속선’
2) 질적분석에서 연역의 형태
2. 틀 분석
1) 틀 분석을 사용하는 경우
2) 틀 분석의 특징
3) 틀 분석의 과정
3. Boyatzis의 연역적 주제분석
1) 연역적 주제분석을 사용해야 할 경우
2) 이론중심 코드개발
3) 선행연구 중심 코드개발
4. 사회복지 정책연구에서 연역적 주제분석의 유용성

제14장 이론적 분석
1. 근거이론의 개발 과정
1) Glaser의 근거이론 개발 과정
2)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개발과정
2. 근거이론 분석의 기본 원리: ‘발견’과 ‘출현’
1) 근거이론 원작에서의 ‘발견’과 ‘출현’
2) Glaser와 Strauss 방법에서 ‘발견’과 ‘출현’의 차이
3) ‘출현’의 차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분석에 임할 것인가?
3. 근거이론 분석의 코딩방법
1) Glaser의 코딩방법
2) Strauss와 Corbin의 코딩방법
4. 근거이론 분석의 핵심 전략: 지속적 비교와 이론적 표집
1) 지속적 비교방법
2) 이론적 표집
5. 분석적 귀납: 이론 검증
1) 분석적 귀납의 출발점
2) 분석적 귀납의 절차
3) 분석적 귀납의 문제

제15장 시퀀스 분석
1. 시퀀스 분석: 범주분석과의 차이
2. 시퀀스 분석의 종류
1) 시퀀스의 조직화
2) 대화분석
3) 제도적 문화기술지 분석
3.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의 실행과정과 분석방법
1) 누군가의 혹은 연구자 자신의 일상적 경험에서 시작한다
2)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주요 개념들에 입각해 계속 자료를 수집한다
3) ‘문제틀’과 ‘사회관계’를 염두에 두고 자료를 분석한다

제16장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분석을 위한 방법들
1. 누구의 눈으로 분석할 것인가?
2. 수집된 자료 속 ‘실재’가 연구결과로 정확히 표현되었는가?
1) 질적 자료분석에서 ‘내적 타당성’이란?
2) 질적 자료분석에서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법들
3. 연구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떠한가?
4. 일관성 있는 절차를 거쳤는가?
1) 질적 자료분석에서 ‘신뢰성’이란?
2) 질적 자료분석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들
5. 분석에서 맥락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