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단행본2024년 3월 TOP 10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인구 절벽 위기를 기회로 맞바꿀 새로운 미래 지도 2022-2027

발행사항
서울: 블랙피쉬, 2022
형태사항
295 p.: 삽도, 23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705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215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307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3215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전 세계 출산율 꼴찌,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한국 사회… 미래의 해답은?
인구학 최고 권위자 전영수 교수의 미래 트렌드 보고서 최신판
2025년, 예정된 ‘인구 절벽’에 맞서라!


옥스퍼드대 인구 문제 연구소의 데이비드 콜먼 교수는 “한국이 지구에서 사라지는 최초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는 부동산 붕괴, 지방 소멸 등에 영향을 미칠 충격적인 전망이지만 아직 정부의 준비는 미흡하다. ‘2025년까지 저출산 대응 예산에 196조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뒤(2020년, 경제부총리) 인구 정책 태스크포스(TF)를 실시하고는 있지만, 예산 투입 대비 성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정책을 당장 집행한다고 해도 경제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거두기까지는 2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정부는 시급히 인구 대응책을 정비해야 할 것이다.

2025년 예정된 인구 절벽에 맞서, 우리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크게는 국가의 정책 방향부터 작게는 개인의 노후 대비까지. 기업 또한 소비 트렌드의 흐름을 파악해 발 빠르게 시장에 적용해야 한다. 이때 인구통계보다 시대 변화를 가늠하게 해주는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변수는 없다. 특히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인 만큼 인구의 중요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책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의 저자이자 인구학 분야 최고의 권위자인 전영수 교수는 말한다. “출산 포기와 청년 증발의 미래는 정해졌고, 남은 건 이제 바꿀지 말지의 선택뿐”이라고. 초고령사회(2025년)까지 이제 남은 시간은 고작 3년. 한국이 직면한 인구 문제를 경제·사회·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이 책과 함께 지속 가능한 인구 대전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인구 변화를 알면 미래 전략이 보인다!”
테크노믹스, 축소 중 차별화, 베이비부머, 시니어 마켓, ESG…
위기를 기회로 바꿀 경제와 일자리 트렌드


인구 감소발 무한 경쟁이 예정된 사회, 기업은 살아남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이제 ‘인구가 줄었으니 고객도 줄어들 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인구 변화의 흐름에 발맞춰 나가는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다. 한 예로 테슬라는 2020년부터 테킬라, 즉 술까지 팔기 시작했다. 이미 의류, 텀블러, 우산 등 생활 잡화부터 금융 영역인 보험까지 라인업에 편입한 테슬라는 사명에서 ‘모터스’마저 빼며 ‘테크노믹스’를 실현시켰다. 아마존은 고객 변화를 실시간으로 체크해 사업 전략에 반영한다. 이제는 온라인 유통을 넘어 오프라인 물류, 제조 산업에까지 진출했다. ‘아마존 되다(To be Amazoned)’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그 행보가 거침없다.

인구 위기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저자는 고객 변화에 주목하라고 강조한다. 연령별‧성별 등으로 구분했던 과거의 고객 모델은 경쟁력을 잃었으니 다양화된 취향과 소비 패턴을 들여다보자는 것이다. 저자 말대로 당장 길거리만 봐도 달라진 사회상을 그려볼 수 있다. 학원 광고는 묘지 선전으로, 산부인과는 정형외과로, 독서실은 요양 시설로, 인스턴트는 건강식으로 무게중심을 갈아타고 있다. 유아 기저귀는 불황이나 어른 기저귀는 호황이다.

저자는 이 밖에도 1,700만 명 규모의 베이비붐 세대와 그들이 중심이 될 ‘시니어 마켓’, 기업의 역할이 강조되는 ESG 등에 주목하며 경제 일자리 분야의 핵심 인사인트를 전한다. 그에 따르면 사양(斜陽) 산업은 없고, 새로운 고객과 시장으로 대체될 뿐이다. 변화하는 인구 트렌드를 알면 불황 대신 호황이 펼쳐질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빗장 도시 서울, 경기공화국, 지방 소멸, 로컬리즘, 파산 도시, 콤팩트 시티…
인구로 읽는 도시 정책과 사회실험 트렌드


일자리가 필요한 청년인구도, 의료와 간병 서비스를 원하는 고령인구도 지방을 떠나 서울로 오고 있다. 치솟는 집값과 저출산 현상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가 줄고 있다고는 하지만 교육, 취업, 의료 재화 등으로 인한 한국 사회 특유의 인구 이동이 지역 문제를 야기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 지역 경제도, 도농 간 격차도, 부동산 문제도 모두 인구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할 때 비로소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전영수 교수는 이 책에서 한국 사회의 도시‧지역 특징을 몇 가지 키워드로 살펴본다. ‘빗장 도시 서울’, ‘경기공화국’, ‘지방 소멸’, ‘로컬리즘’ 등이 그것이다. 한편 해외의 여러 사례를 생생히 소개함으로써 먼 일처럼 느껴지는 인구 문제를 우리의 일상 문제로 끌어왔다. 거주민이 한 명도 없는 유령 마을만 20곳이 넘는 도시, 2006년 파산 지자체 1호라는 불명예를 떠안은 일본의 유바리(夕張)시 이야기는 현재의 인구 변화를 방관하고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설득력에 힘을 싣는다. 우리나라도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일본 정부가 발표해 화제를 모은 지방 소멸 산식을 우리나라 229개 기초지자체에 적용한 결과 2021년 5월 기준, 소멸 위험 지역은 105곳에 달했다.

물론 책은 위기를 말하는 데만 그치지 않는다. 세대별로 달라진 사회적 욕구가 차량의 구매 및 구독 경제(카 셰어링)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교외에 거주하는 고령인구를 위한 ‘콤팩트 시티’가 무엇인지 등 급변하는 시대에 발맞춘 다양한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다.

1인화 콘셉트, 직주 분리, 다거점 생활 트렌드, 근거(近居)…
인구로 읽는 주거 생활 트렌드


인구 문제가 개인의 일상이 아닌 거대한 사회 시스템에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인구는 당연하게도 삶의 곳곳에 변화의 바람을 불러온다. 가장 대표적인 영역이 바로 필수 소비재인 집을 중심으로 한 주거 생활이다.

통계에 따르면 고령화 추세와 함께 매년 빈집이 증가하고 있다. 대응하지 않으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겠지만 빠른 수요 예측으로 이미 빈집 실험 등의 힌트가 주어졌다. 그렇다면 고령 부모+중년 자녀 구성과 같은 현대판 대가족화 현상은 어떨까. 이 역시 세대 욕구를 개별 반영한 2.5세대 주택의 출현(건설업체 아사히카세이)이나 15분 거리에 살며 봉양‧간병이라는 문제를 해소하는 ‘근거(近居)’ 트렌드 등으로 새 돌파구를 찾는다. 이 밖에도 책에는 저출산 중년 싱글화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만연해지며 나타난 직주 분리 트렌드, 생활 거점을 복수로 두는 라이프스타일인 다거점 생활 트렌드 등 다채로운 주거 생활의 변화상을 담았다. 또한 비컨힐, 서클, CCRC 등 노후에 간병을 염두에 둔 획기적인 고령 마을을 여러 해외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 있어, 당장에 구체적인 노인 인구 정책이 필요한 우리나라가 참고할 만한 정보가 가득하다.

인구학은 모든 설계의 기초,
준비된 자만이 새로운 미래를 선점할 수 있다


전영수 교수는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에서 청년·중년·노년의 연령 구분법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20년간 초고령사회에 놓이게 될 정해진 미래를 기발하게 뒤엎는다. 저출산을 단순히 시장의 축소라 보지 않고 새로운 시장 개척과 연결 짓는 저자의 통찰은, 희망이 없어 보이는 대한민국에 혁신적인 미래상을 제시한다. 코로나19가 국제 인구의 유입을 막으며 과거 예측했던 것보다 8년이나 빠르게(2028년 → 2020년) 총인구 감소 시점을 앞당겼다는 점도, 급격한 인구 감소가 우리나라 국방에 위기를 가져왔다는 지적도, 교육 부재로 인해 농촌에서 도시로의 사회이동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과 이에 각 지자체가 내놓은 개별 정책도 흥미롭다.

지금까지의 분석에서 나아가 저자는 인구 문제를 돌파할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인재 혁명’을 제안한다. 인구를 숫자가 아닌 질적 개념의 인재로 업그레이드하는 전략으로, 이는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한국 사회에 유의미한 기회를 가져올 것이다. 일본의 소사이어티 5.0,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처럼 각국이 생산성을 국가 의제로 삼은 것과 같은 배경에서다.

결국 인구의 역동적인 변화를 먼저 알아챈 사람만이 격동의 시대를 돌파해나갈 수 있다. 아마존, 마켓컬리, 쿠팡, 배달의민족, 넷플릭스, 페이스북 등은 인구 트렌드 분석을 통해 탄생한 미래 산업이고, 부동산, 주식 등 부의 이동도 인구 트렌드를 알아야 빠른 포착이 가능하다. 새로운 미래를 선점하고 싶은 이들에게 이보다 더 기본이 되는 트렌드 분석서는 없을 것이다.
목차
추천의 글 시작하는 글_ 미래 활로는 인구 혁신으로, ‘타이밍은 5년뿐’ PART 01. 인구 절벽이 코앞까지 왔다 시작된 인구 절벽, 미래를 읽는 눈이 필요하다 로마 멸망에서 배우는 인구 교훈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 ‘인구 충격을 인구 혁명으로’ 한국 청년은 왜 아이를 낳지 않을까? 출산을 결정하는 다양한 변수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인구 변혁 지방대학의 존폐 위기! 국방과 집값 하락에도 영향을 미친다? PART 02. 인구로 읽는 트렌드 01 경제와 일자리 트렌드 차별화, 무한 경쟁, 테크노믹스, 간병, 시니어 마켓, 젊은 베이비부머, ESG ‘악재 vs 호재’ 갈림길에 선 인구 변수와 4대 대응 전략 인구 변화가 예고한 미래 일자리 ‘축소 중 차별화’ 인구 감소가 유발하는 무한 경쟁, ‘왜 테슬라는 술까지 팔까?’ 초고령사회, 간병 급증은 위기인가 기회인가? 집단을 세분화하라! 시니어 마켓 1,700만 ‘젊은’ 베이비부머가 대한민국을 좌우한다? 달라진 투자 실험 ‘인구 변화를 이겨낼 주식 찾기’ 02 도시 정책과 사회실험 트렌드 빗장 도시 서울, 지자체 파산, 지방 소멸, 로컬리즘, 경기공화국 빗장 도시 서울의 미래는?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 지자체 파산 위험, 인류가 경고한 불편한 미래 지방 소멸 경고장, 되살릴 화두는 ‘로컬리즘’ 신 블랙홀의 출현! ‘경기공화국’의 미래는? 신도시의 미래, ‘인구=수요=선호’ 사회적 욕구 실현에 맞춘 이동ㆍ주거 트렌드 03 주거 생활 트렌드 빈집 실험, 1인화 콘셉트, 직주 분리, 다거점 생활 트렌드, 느슨한 연대, 근거(近居), 새로운 대가족 늘어나는 빈집 활용을 위한 몇몇 실험 인구 변화에 따른 집의 재구성, ‘1인화 콘셉트’ 코로나19가 불러온 집의 재검토, ‘값은 싸고, 직장과 멀어도, 넓을 것!’ ‘직주 일체 → 직주 분리’형 다거점 생활 트렌드 ‘함께는 No, 근처는 Yes’ 느슨한 연대를 원하는 주거 스타일 집의 미래 모델, ‘대가족을 품는 공간의 힘’ 대간병 사회 개막, ‘마지막에 누울 집은 어디에?’ PART 03. 인구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코로나19가 던진 교훈 ‘인구 균형을 위한 뉴노멀 제안’ 적정인구론을 둘러싼 몇몇 반론 현실적 인구 목표는 ‘감소를 저지하는 것’ 교육 복원과 지역 재생의 상관관계 ‘노동 수입 vs 영구 정주’의 엇박자 통일되면 인구 문제 해결? 전강 후약의 인구학적 딜레마 기업, 인구 문제 해결사로 떠오르다 거세지는 혁신 기술 ‘로봇이 인구 문제를 해결할까’ 마치는 글_ 4차 산업혁명과 인재 혁명으로 인구 오너스를 돌파하라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