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143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3143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보통의 청춘,
열여덟 어른
지난 가을 한 청년이 “아직 읽을 책이 많은데”라는 짧은 글을 남겨둔 채 생을 마감했다. 언론에서는 이 청년을 ‘자립준비청년’이라고 소개하며 뉴스를 보도했고 세상은 이 청년의 죽음으로 떠들썩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립준비청년 아무개 역시 생을 마감했다.
우리는 자립준비청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만 18세가 되면 아동복지시설을 나와 홀로 살아가야 하는 이들로 알고 있기에, 이들 눈앞에 놓인 삶과 현실은 너무 버겁다. 어쩌면 ‘고아’라는 단어로 이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그치고 있지 않을까.
자립: 남에게 예속되거나 의지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섬
“자립은 돈의 개념만이 아니다. 자립의 요소에는 경제적 자립을 포함하여, 사회 관계적 자립, 자기 삶을 설계하는 능력, 외부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내면의 힘, 문제가 생겼을 때 헤쳐 나가기 위한 노력 등 인간으로서 자립의 개념은 다양하고 복합적이다.”(129쪽)
『안녕, 열여덟 어른』은 자립준비청년들의 진정한 자립을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이들이 처한 현실, 유년 시절, 그리고 사회의 편견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미디어 속에 등장하는 ‘고아’ 캐릭터가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육원의 생활은 어땠는지 등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김성식 팀장은 『안녕, 열여덟 어른』에 실린 자립준비청년들의 현실과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정부와 언론 그리고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메시지를 던졌다. 이제 그 메시지에 대한 답을 함께 적어내려 가길 바란다.
이제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어른이 되어야 한다.
이들에게 “자립해야 한다”는 말보다 “실패해도 괜찮아”라고,
너희들 옆에는 사회의 안전망이 있다는 이야기를 건네 보는 건 어떨까.
열여덟 어른
지난 가을 한 청년이 “아직 읽을 책이 많은데”라는 짧은 글을 남겨둔 채 생을 마감했다. 언론에서는 이 청년을 ‘자립준비청년’이라고 소개하며 뉴스를 보도했고 세상은 이 청년의 죽음으로 떠들썩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립준비청년 아무개 역시 생을 마감했다.
우리는 자립준비청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만 18세가 되면 아동복지시설을 나와 홀로 살아가야 하는 이들로 알고 있기에, 이들 눈앞에 놓인 삶과 현실은 너무 버겁다. 어쩌면 ‘고아’라는 단어로 이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그치고 있지 않을까.
자립: 남에게 예속되거나 의지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섬
“자립은 돈의 개념만이 아니다. 자립의 요소에는 경제적 자립을 포함하여, 사회 관계적 자립, 자기 삶을 설계하는 능력, 외부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내면의 힘, 문제가 생겼을 때 헤쳐 나가기 위한 노력 등 인간으로서 자립의 개념은 다양하고 복합적이다.”(129쪽)
『안녕, 열여덟 어른』은 자립준비청년들의 진정한 자립을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이들이 처한 현실, 유년 시절, 그리고 사회의 편견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미디어 속에 등장하는 ‘고아’ 캐릭터가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육원의 생활은 어땠는지 등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김성식 팀장은 『안녕, 열여덟 어른』에 실린 자립준비청년들의 현실과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정부와 언론 그리고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메시지를 던졌다. 이제 그 메시지에 대한 답을 함께 적어내려 가길 바란다.
이제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어른이 되어야 한다.
이들에게 “자립해야 한다”는 말보다 “실패해도 괜찮아”라고,
너희들 옆에는 사회의 안전망이 있다는 이야기를 건네 보는 건 어떨까.
목차
프롤로그_ 인식에 이르는 길
1 열여덟 어른이 살아간다
열여덟 어른을 만나다 | 생애 첫 기억 | 자립준비청년이란 | 퇴소 후 지원 정책 | 외국의 자립지원정책 | 그곳에서의 생활 | 첫 번째 사회, 학교 | 진로 선택의 순간 | 퇴소의 순간 | 집 구하기 | 고밍아웃 해도 될까요? | TV 속 캔디 혹은 범죄자 | 편견 앞에 선 아이들 | 안전한 관계망에서 | 열여덟 어른 캠페인 | 이방인에서 당사자로 랩을 하다 이진명 | ‘나의 어린 고래에게’ 안연주 | 자립은 현재 진행형
자립준비청년 인터뷰
2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가
한 명의 이야기 앞에서, 비록 마침표를 찍지 못하더라도 | ‘고아’라니 불쌍하잖아 | 빈곤포르노를 아시나요 | 언론이라는 어른 | 죄 없는 자, 먼저 돌을 던져라 | 보호와 보육을 넘어 양육으로 | 찬바람 가득한 얼음나라 | 감사하며 살아야 한다면 | CAN I HELP YOU | 혼자만의 공간에서 나는 자란다 | IT’S A BEAUTIFULDAY AND I CAN’T SEE IT | 실패한다는 두려움 | 죽음의 수용소에서 | 안녕, 열여덟 어른
에필로그_ 마지막 질문 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