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NYPI 발간물

  1. 메인
  2. NYP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연구보고 14-R19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Ⅱ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형태사항
349 p: 삽도, 27cm
총서명
연구보고; 14-R19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295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29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529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52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이후 삶과 경험 실태, 가치관과 의식의 변화를 살피고, 학업중단 후 이행경로 파악을 위한 학업중단 청소년 종단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종단조사 2차년도인 2014년도에는 1차년도에 구축된 학업중단 청소년 조사패널(본 패널과 비교집단 패널)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실시하고 1차, 2차 조사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학업중단자 규모 재추정, 한국 및 외국의 학업중단 관련 정책 현황 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 559명,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 186명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한 2014년 조사응답자의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일반학업중단 청소년의 복교율은 2차년도에 더 낮아졌다. 중단자의 절반가량은 검정고시를 통한 학력을 취득하였고 복교유형을 보면 일반고 학생들의 특성화고로의 복교가 두드러졌다. 학업중단 후 생활경험을 보면 아르바이트/취업 경험이 증가하였고 기타 경험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진학·진로 등과 관련 도움을 주는 어른 없다는 응답은 증가하였다. 1차년도에 진로계획이 미결정이었던 청소년들은 절반이상이 진학/학업 계획을 드러내었다. 학업중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대하는 경향을 보였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는 감소하였다. 친구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지역사회 환경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었다. 학업중단 후 경로를 보면 학업형이 30%를 넘고 직업형이 13% 수준이며 비행형이 6% 수준으로 나타났다. 47%의 청소년은 무정형으로 아직 뚜렷한 형태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은 일반학업중단 청소년에 비해 복교율이 현격히 감소하고 검정고시로 학력을 취득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 보호관찰 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진로계획의 미결정 및 취업/아르바이트 계획이 많았다. 비행 피해 경험에 있어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 피해 경험이 늘고 있었으며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은 음주,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은 흡연이 증가하였다. 2012년도 학령인구 기준 학업중단자는 약 40만명으로 추산되며 실태조사결과를 적용하여경로유형을 추정 한 결과, 학업형 14만명, 직업형 6만명, 비행형 2만명, 무정형 10만명으로 파악되었다. 이외 행정통계를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 해외로 출국하여 귀구하지 않은 학령기 청소년은 8만여명으로 추정되었다. 학교급별 복귀율을 감안하여 학업중단자의 연령대를 산출하면 초등생이 11.4%, 중학생이 16.9%, 고등학생 연령이 71.7%로 추정되어 고등학생 연령대의 학업중단자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였다. 범부처 청소년지원책을 분석한 결과, 교육부·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는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인력자원을 분담하여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높은 학업지속 욕구를 볼 때 대안교육 등의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고용노동부의 취업지원정책은 학업중단 청소년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장애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방법 9 4. 보고서의 구성 및 내용 14 Ⅱ. 패널조사 방법 17 1. 패널구축 및 조사설계 19 2. 조사도구 개발 22 3. 자료수집과정 44 4. 패널관리 59 5. 패널유지 현황 및 이탈패널 분석 64 6. 향후 패널관리 방안 69 Ⅲ.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의 변화 73 1. 응답자의 특성 75 2. 학업중단 관련 실태 변화 77 3.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 경험과 인식의 변화 94 4.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 125 5.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변화 130 6. 학업중단 이후 경로의 변화 147 Ⅳ.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과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 변화 비교 155 1. 응답자의 특성 변화 157 2. 학업중단 관련 실태 변화 159 3.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경험과 인식의 변화 163 4.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 183 5.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변화 190 Ⅴ. 학업중단 현황 및 국내외 정책 분석 199 1. 학업중단 현황 및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소재 추정 201 2. 국내 정책 현황 215 3. 미국의 학업중단 예방 정책 현황 및 정책 사례 223 Ⅵ. 결 론 231 1. 요약 233 2. 정책제언 239 참고문헌 247 부 록 261 1. 설문조사지 A형: 일반청소년 263 2. 설문조사지 B형: 보호관찰청소년 297 3. 학업중단 청소년 집단면접 조사지 333 4. 학업중단 청소년 집단면접 결과 337 Abstract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