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NYPI 발간물

  1. 메인
  2. NYP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단행본

질적연구방법론Ⅳ

발행사항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3
형태사항
616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86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58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저자가 지난 20여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수행한 질적연구 작품들을 수록한 책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질적연구를 공부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다고 느끼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질적연구의 이론이 어떻게 현장작업에 접목될 수 있는지를 저자의 작품 해설과 함께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품 개요와 함께 각 질적연구작업을 읽음으로써 질적연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연구논문은 어떻게 쓰는지, 자료의 분석은 어떻게 시도되었는지를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좋은 학습의 기회가 된다. 타인의 작품에 대한 읽기는 미래에 자신이 질적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 것인지등과 같은 매우 현실적인 문제들을 답하는데 도움을 준다. 우리나라의 현장에서 이루어진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들은 미래에 어떤 주제들을 가지고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 그리고 비평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타산지석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첫 항해. 어디에도 없는 고향, 그리고 동양적 텍스트 아동의 학교 일과 잠재적 교육과정: 한국적 특징 Ⅰ. 서론 Ⅱ. 학교에서의 생활(life at school)과 잠재적 교육과정 Ⅲ. 한국 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Ⅳ. 여러분이 해야 될 선택: 얻는 것과 잃는 것 Ⅴ.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초등학교의 학습문화를 지향하며 제2장. 초시계, 비디오테이프, 녹음기, 그리고 한국의 교실 수업 교실질서의 성취와 회복: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관리/통제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적 연구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질서의 문화적 실제 Ⅳ. 논의 제3장. 별이 빛나는 밤, 그리고 교사 삶의 글쓰기 이야기 1: 학원 다니는 나의 반 학생들 Ⅰ. 들어가며 Ⅱ. 수업 풍경 Ⅲ. 교사의 딜레마 Ⅳ. 현장교사들의 전략 Ⅴ. 맺으며 이야기 2: 대학원 공부와 나의 교육적 성장 Ⅰ. 나의 이야기 Ⅱ. 나의 교육 연구자 입문 과정 Ⅲ. 교육 연구자로서 성장하기: 열정과 고민 Ⅳ. 나의 바람 이야기 3: 귀신 잡는 벚꽃초등학교 교사의 위계문화 Ⅰ. 시작하면서 Ⅱ. 맺으며 이야기 4: 교사로서의 나의 활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Ⅰ. 자서전적 소개 Ⅱ. 나의 활력의 원천 이야기 5: 나는 왜 교감이 되지 못했을까? 제4장. Self, 그리고 자서전적 탐구 잔인한 3월: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3월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혼란 속의 출발 Ⅳ. 결론 제5장. 질적 프로그램 평가: 그 솔직함과 불편함 어느 고등학교에서의 제7차 교육과정 모습 제6장. 어느 세일즈맨의 죽음. 질적 자료와 연극적 글쓰기 학교 2: 경기 한결고등학교 제7장. 사이버 공간 = 사이버 질적연구 사이버가정학습 사례연구: 인터넷 기반 질적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 Ⅰ. 서론: 인터넷과 질적연구 Ⅱ. 연구의 소개: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사례 질적연구 프로젝트 Ⅲ. 연구사례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 제8장. 가장 푸코적, 가장 한국적 질적연구, 학원교육 Syndrome 초등학생의 학원 교육과정과 평가체제에 관한 분석적 이해 Ⅰ. 서론 Ⅱ. 초등학생의 학원 수강 실태 Ⅲ. 연구방법 Ⅳ. 학원의 교육과정 Ⅴ. 학원의 평가방법 Ⅵ. 결론 및 제언 제9장. 더러운 데이터. 실행연구의 희망과 위선 업 클로스 앤드 퍼스널(Up Close and Personal): 현장연구자가 들려주는 학교연구의 이슈와 딜레마 Ⅰ. 3년의 세월, 라포르, 그리고 글쓰기 Ⅱ. 자신의 교실현장을 연구하는 교사들: 교육과정의 새로운 탐구영역 Ⅲ. 독백, 고백, 그리고 현장 이야기 Ⅳ. 결론: 밀착취재(Up close and personal)를 마치며 제10장. 질적 텍스트의 소재로서 ‘나’. 고백적 글쓰기 가장 푸른 눈동자: 질적 텍스트에서 자서전적 기술의 가능성 제11장. 다문화 질적연구: 의심스럽고 가벼운 텍스트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삶과 교육: 생애사적 목소리의 재구성 Ⅰ. 들어가며 Ⅱ. 아동들의 삶과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교사들의 목소리 Ⅴ.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들의 목소리 Ⅵ. 나가며: 교육학적 교훈과 실천적 아이디어 제12장. 다층적 장르, 소설적 글쓰기. 가장 검은 눈동자 가장 검은 눈동자: 질적 글쓰기 방법으로서 소설 형식의 가능성 제13장. 질적 내용분석. 교과서 지식의 잔혹함과 교활함 Elusive Images of the Other: A Postcolonial Analysis of South Korean World History Textbooks 제14장. 포스코 재단. 연구비 수혜를 위한 글쓰기 전략 동북아시아 교육현상으로서 한국의 학원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다양한 학원학습 형태의 발달과 진화 Ⅰ.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Ⅱ. 이론적 배경으로서 학원교육의 효과에 대한 탐색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활용과 기대효과 제15장. 새벽 출항. 웅녀와 응구기를 찾아서 질적연구와 나의 연구의 여정: <네 학교 이야기>가 남겨 놓은 흔적 Ⅰ. 들어가며 Ⅱ. <네 학교 이야기>: 그 네 가지 주제 Ⅲ.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연구 주제 Ⅳ. 요약과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