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NYPI 발간물

  1. 메인
  2. NYP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단행본

코로나 19, 한국교육의 잠을 깨우다

발행사항
서울: 지식공작소, 2020
형태사항
331 p.: 삽도, 19cm
비통제주제어
교육학, 한국교육, 미래교육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52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52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코로나로 드러난 한국 교육의 민낯과 미래교육 방향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한국 교육의 충격 진단서
공개된 온라인 수업, 학부모 역할·교사 부담 커져
자기주도 역량 따라 학생 간 학습 격차 확대 우려
미래교육 정책 제시, 교육 주체 간 협력 강화해야

코로나19 사태는 깊은 잠에 빠진 한국 교육을 흔들어 깨웠다. 충격적인 침실의 모습을 드러낸 한국 교육은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교육 당국을 당황케 한 뒤, 서둘러 이불을 개고 자세를 고쳐 앉았다. 그리고 고민에 빠졌다. “이제부터 어떻게 하지?”
이 책은 바로 그런 물음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끊임없이 연구해 오던 교육전문가들이 모여 6차례의 긴 토론을 거친 후에 탄생했다. 강대중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의 기획으로 이영 한양대 교수(전 교육부 차관), 김경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최진영 종로학원하늘교육 사장, 조기성 계성초 교사(스마트교육학회장), 박승원 광명시장 등 17명이 참여해 만든 ‘한국 교육의 충격적 진단서’이자 ‘미래교육 제안서’다.

“등록금을 돌려 달라”는 대학생, “차라리 EBS 강의가 낫다”는 중학생, “엄마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초등학생이 있는가 하면 “시끄럽지도 않고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는 고등학생도 있다. “학부모 개학이냐?”며 분노를 뿜어내는 학부모도 있고 “왕따와 학교폭력에 시달리지 않아서 좋다”는 학부모도 있다. “교권침해도 없고 싸움 안 말려서 좋다”는 선생님, “디지털 환경이 30년 교직생활을 수치스럽게 만들었다”는 선생님, “경력 많은 선생님보다 앞선 느낌이어서 좋다”는 선생님, 참 다양하다.
코로나19가 강제한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 교사, 학부모 등 각 교육 주체들은 각자가 처한 환경과 경험 속에서 온라인 수업 풍경을 바라보고 평가했다.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한국 교육은 볼품없는 민낯을 드러냈지만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찾기에 좋은 경험이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몰고 온 교육환경의 변화는 온라인 개학과 온라인 수업에서 시작됐지만 우리 삶에서 교육이란 무엇인가, 한국 사회에서 학교의 의미는 무엇인가, 교사는 어떤 일을 감당해야 하는가, 지속가능한 배우는 삶을 꾸릴 방도는 무엇인가, 교육이 어떻게 사회적 연대를 증진시킬 것인가라는 근본적이고 어려운 질문 앞으로 우리를 다시 데려가 세우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 사태 3개월, 혁신 정책 20년보다 큰 변화

우리가 지금 경험한 작고 큰 변화들은 위기 대응을 위한 땜질식 처방으로 그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물론 수비형 위주의 정책 당국에게 공교육에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기대하는 것은 힘든 일이다. 그러나 드러난 문제를 덮고 갈 수는 없을 것이다. 코로나 사태 3개월이 혁신 정책 20년보다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는 아이러니는 미래교육 앞에 더 이상 현현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코로나19를 통해 그동안 우리나라 교육에서 나타난 고질적인 문제들이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어떤 전환점을 찾고 있는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대한 교육 정책 방향은 어떻게 설계되고 준비되고 있는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올바른 교육 철학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성찰과 탐구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교육 문제가 ‘뜨거운 감자’에서 ‘맛좋은 감자칩’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대중 서울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는 한국 교육의 실력과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이는 한국 교육이 앞으로 변화 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고민의 지점들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미증유의 계기”라면서 “한국 사회가 코로나19 시대 이후의 교육을 고민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 문제, ‘뜨거운 감자’에서 ‘맛좋은 감자칩’으로 변신할 기회 제공

이 책에는 코로나19를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각급학교 교사, 사교육 종사자와 연구자, 대학 교수, 교육산업계 인사, 평생교육 전문가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또, 그들의 코로나19 시대 한국 교육과 사회 진단도 실려 있다.
1장에서는 코로나19가 강제한 비대면 수업 경험을 초등교사인 조기성, 김차명, 이예슬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미래교육 등 여러 이름으로 학교 현장에 이른바 온라인 수업 혹은 블렌디드 학습이 도입된 지 오래다. 이 수업이 전면 도입된 학교의 풍경은 혼란이기도 하지만 수업 혁신과 교육개혁의 희망이기도 하다.
2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의 입시와 사교육 문제를 고등학교 3학년 담당 교사 전대원, 보습학원을 운영하며 온라인 학부모 입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유대영, 사교육 연구자 황성희가 함께 이야기한다. 이른바 공정성 담론이 지배한 지난 수 년 간의 대입 개혁 논란을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성찰적으로 짚어보며 향후 방향을 모색한다.
3장은 교육부 차관을 지낸 경제학 전공의 이영 한양대 교수와 교육부 공무원 출신의 행정학 전공 채재은 가천대 교수가 대학 현장의 코로나19 경험을 나누며 교육정책 방향을 진단한다. 중요한 사회 정책 분야로서 교육 정책의 재구조화 방안도 논의한다.
4장은 종로학원하늘교육 최진영 사장,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이길호 회장, 에누마 한국지사 전유택 지사장이 코로나19가 제기하는 미래교육의 방향을 교육산업계의 시각에서 논의한다. 코로나19가 비즈니스 기회를 늘리는 측면과 시장의 논리를 이야기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세 사람은 오히려 코로나19 대유행이 교육의 본질을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5장에서는 개학 연기로 인해 전면화된 긴급돌봄을 둘러싼 지역사회 교육 안전망을 사단법인 ‘청소년과 나란히’ 부은희 이사장, 한국교육개발원 김경애 연구위원, 남서울대학교 최예린 교수가 진단한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될 때도 마스크에만 의존하는 과밀 돌봄을 할 수밖에 없었던 현장의 상황은 지역사회의 취약한 돌봄 인프라 문제를 제기한다.
마지막 6장에서는 박승원 광명시장과 김미윤 서울시 은평구 은평정책연구단 단장이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했던 지역사회의 전반적 상황을 짚어본다. 도서관, 복지관, 청소년회관, 문화의집, 평생학습관 등 지역사회 평생교육 서비스 기관들이 폐쇄된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나타나는 실질적인 문제와 대응을 돌아본다. 특히,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분리 문제에 대해서도 논한다.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지식공작소/ 1만5000원/ 2020년 6월 5일 발행

[미디어 소개]
☞ 뉴시스 2020년 6월 9일자 기사 바로가기
☞ 디지털타임스 2020년 6월 9일자 기사 바로가기
☞ 내일신문 2020년 6월자 기사 바로가기
목차
머리말 혁신 정책 20년보다 더 나간 코로나 석 달   Ⅰ 비대면 수업, 변화의 촉매일까 토론   3 01 언택트 시대의 교실, 다시 수업을 생각하다   02 미래교육, 계성초등학교 사례   Ⅱ 입시와 사교육에 시위 당긴 교육의 본질 토론   03 코로나19와 우리나라 입시   04 코로나19 이후의 학교 교육   05 재택형 온라인 수업과 학부모   Ⅲ 코로나19 시대의 대학, 위기인가 기회인가? 토론   0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혁신 방향   07 코로나 사태 이후의 사회정책 방향 Ⅳ 코로나19가 제기한 미래교육 방향 토론   08 코로나와 교육산업   09 디지털 교육 실험, 에누마 사례 Ⅴ 코로나19 시대 사회안전망 촘촘한가? 토론   10 감염병 위기 시대, 교육복지체제에 대한 질문   11 코로나19 이후 유아교육기관의 긴급돌봄 쟁점   Ⅵ 시민 연대망 그리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지역사회 토론   12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위한 교육 협력   13 코로나19 이후 평생교육, 위기에서 배우는 법     맺음말 교육2020, 백일몽에서 백년대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