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NYPI 발간물

  1. 메인
  2. NYP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476

다문화 프로그램 정책지원을 위한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22
형태사항
222 p: 삽도,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다문화, 다문화교육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107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310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책은 다문화 가정 유아가 초등학교에 잘 전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론적인 책으로,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2부는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지원방안, 3부는 유초연계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다. 1부와 2부가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면, 3부는 실제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다.
각 부별로 내용을 살펴보면, 1부의 1장은 유아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위치, 2장은 다문화교육의 이론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2장에서는 단일 문화주의, 다문화주의, 간문화주의,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제시하였다. 2장의 이론은 3장의 유초연계다문화교육에 적용하였다. 4장에서는 전이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였다. 여기에서는 다문화 가정 유아가 초등학교로 전이하는 과정을 일반유아가 초등학교로 적응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도취/도전, 충격, 적응과 안정으로 제시하였다.
2부에서는 5장에 전이의 모델인 기술 위주의 모델, 환경 투입 모델, 연계적 환경 모델, 발달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전이 모델의 준비도를 성숙주의 입장, 환경주의적 입장, 사회적 구성주의적 입장, 상호주의적 입장으로 제시하였다. 7장에서는 생태체계이론에서 전이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인 3부에서는 8장에서 프로그램의 대상, 9장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원리, 10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인적자원을 정비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11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위해 다문화 유아와 가정의 필요를 파악하고, 12장에서는 활동 및 실행, 13장에서는 평가 및 수정을 언급하였다.
목차

제1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제1장 유아 다문화교육
1. 다문화 사회의 이해
2. 유아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3. 유아교육에서 다문화교육
4.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
5. 다문화교육의 동향

제2장 다문화교육의 이론
1. 단일문화주의
2. 다문화주의
3. 간문화주의
4. 비판적 다문화주의

제3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1.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이해
2.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목적
3. 유초연계 다문화교육의 방법
1) 다문화주의적 접근
2) 간문화주의적 접근
3) 비판적 다문화주의적 접근

제4장 다문화교육의 초등학교로의 전이
1. 전이에 대한 이해
1) 전이의 개념
2) 연계와 전이
2. 생태학적 전이에서 바라본 다문화 가정과 유아
3. 수직적 전이와 수평적 전이
4. 다문화 가정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
1) 도취-도전
2) 충격
3) 적응과 안정화

제2부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정책지원 방안

제5장 전이 모델
1. 기술 위주의 모델(skills only model)
2. 환경적 투입 모델(environmental input model)
3. 연계적 환경 모델(linking environments model)
4. 발달적 모델(developmental model)

제6장 전이 모델과 준비도
1. 성숙주의
2. 환경주의
3. 사회적 구성주의
4. 상호작용주의

제7장 생태체계이론에서 살펴본 전이
1. 미시체계(microsystem)
1) 가정의 역할
2) 교육기관의 역할
2. 중간체계(mesosystem)
3. 외체계(exosystem)
4. 거시체계(macrosystem)

제3부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제8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1. 다문화 가정 유아
2. 다문화 가정 부모
3. 지역공동체

제9장 유초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 원리
1.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
1)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2) 가족중심 접근법
3) 기능적인 교육과정 접근법
4) 초학문적 모델
5) 사회적 네트워크 강화
2. 프로그램의 진행 원리
1) 수평적 연속성
2) 수직적 연속성
3) 대상의 확대
4) 가족 구성원의 장점에 초점
5) 개별적 유아들의 요구
6) 관계 간의 연계성(협력적 관계)
7) 프로그램 발전을 고려
3. 프로그램 진행 절차

제10장 인적자원 장비
1. 협력팀(collaborative team) 구성원의 선정
1) 지역전이교육팀
2) 학교전이위원회
2. 협력팀 구성원의 역할 및 책임
1) 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2) 각 팀별 역할과 책임
3. 전이교육조정자(Transition Coordinator)의 지정
1) 전이조정자의 역할
2) 조정자의 능력

제11장 다문화 유아와 가족의 필요 파악
1. 가계도 및 생태도
1) 가계도(Genogram) 작성
2) 생태도(Eco-Map) 작성
3) 사회적 지지망
2. 검사
3. 요구도

제12장 활동 계획 및 실행
1. 요구도 평가
1) 다문화 가정 유아의 개인력/가족력
2) 다문화 가족의 사회적 관계
2. 개별화 전이 프로그램-아이디어(활동)의 생성
3. 장애 요소 예측
4. 개별화 전이 프로그램-아이디어(활동) 및 일정 수정
5. 전이 프로그램 일정 수립
6. 실행계획
1) 가족-학교 관계
2) 다문화 가정 유아와 학교 관계
3) 또래 관계
4) 공동체와 연계

제13장 평가 및 수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