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연구보고 23-기본112024년 BEST 302024년 12월 TOP 10
청소년 디지털인재를 어떻게 양성할까?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 형태사항
- 294 p.: 삽도, 24cm
- 총서명
- 연구보고 23-기본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2129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213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3212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3213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을 분석하고 미래 주역인 청소년을 디지털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선진국가들의 디지털 인재양성정책을 분석하고 청소년 대상 양적,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정부의 디지틸 인재양성정책은 AI, 소프트웨어교육 등 기술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디지털 역량강화와 창의성증진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외국의 사례와는 대조를 이뤘다. 특히 미국 등 외국의 경우 기업의 참여가 활발하고 디지털 소외 청소년 계층에 대한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또한 디지털 분야에서 여성청소년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향후 정부는 디지털 인재상을 분명히 규정하고 디지털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을 세분화 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리터러시 역량이 중요해지는 추세를 반영하여 AI 시대에 청소년이 갖춰야 할 역량으로 크게 데이터 리터러시, AI 윤리, AI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해서 교육 인프라 구축, 정보교육 시수의 확대, 교원연수강화 등의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4
3. 연구추진체계9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인재의 개념 및 역량13
2. 국내의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22
3. 해외의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28
4. 소결72
Ⅲ. 청소년 디지털 역량 및 이용 실태조사
1. 실태조사 개요79
2. 실태조사 결과분석88
3. 소결174
Ⅳ. 청소년 디지털 역량 및 이용 면접조사
1. 면접조사 개요181
2. 면접조사 결과 분석184
3. 소결199
Ⅴ. 디지털 인재양성방안 전문가 의견조사
1. 조사개요207
2. 조사결과210
3. 소결244
Ⅵ. 정책제언
1.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적 함의249
2. 정책 추진과제252
3. 정책추진 로드맵272
참고문헌277
부 록285
국문초록295
Abstract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