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연구보고서

후기 청소년 세대 생활·의식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연구Ⅱ: 고졸 비진학 청소년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형태사항
444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573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57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45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457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청소년기본법 상 정책대상(9세~24세)으로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청소년정책에서 소외되어 온 19세~24세 후기청소년 중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졸 비진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정책대상으로 부각시키고, 이들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정책대상자로서 고졸 비진학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와 정책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고찰과 2차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고졸 비진학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심화하였다. 또 일상생활 및 의식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주요 문제와 정책욕구를 도출하였으며, 파악된 문제와 정책욕구에 기초하여 고졸 비진학 청소년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정책 과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 결과에 기초한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주요 문제 및 정책 욕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졸 비진학 청소년은 ‘고졸’ 학력으로 인하여 일상에서 기회의 제한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저학력 맞벌이 가정의 청소년들은 진로선택에 있어 ‘자기결정’을 강요받고 있다. 또한 보통 이하의 낮은 자존감을 가지며 사회적 위축감을 느끼고 있고, 일상의 근로활동에서 잦은 노동권 침해의 부당행위를 경험하고 있다. 둘째, 취업 및 구직청소년의 경우 군복무, 기초 직무역량의 부족, 사회적응력 부족 등으로 취업 후 단기퇴사 및 잦은 이직의 문제를 안고 있고, 열악한 근로 여건에서 일하고 있으며, 직장 내 학력에 따른 차별을 경험하고 업무를 통한 비전을 갖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 셋째, 준비청소년은 진로목표 설정에 있어 자기주도성을 상실한 상태에 있으며, 현실 인식과 직무개념의 부재로 막연한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준비하고 있다. 또한 취약계층 청소년들은 기초생활보장수급권 유지를 위해 장기간 지속되는 취업준비 상태에 놓이기도 한다. 넷째, 니트청소년은 무엇을 하던지 적응력이 부족하며, 일상의 실패와 부정적 경험의 누적으로 자존감은 생성되지 않거나 회복되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 소비지출을 위한 근로활동을 하기는 하나, 짧은 근로와 니트 상태가 반복되는 패턴을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상당 비율은 취업과 사회활동을 희망하고 있다. 이상의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문제와 정책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졸 비진학 청소년을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세 가지 정책 방향, 즉 통합적 정책, 권리기반의 접근, 하위집단별 맞춤형 정책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정책방향 하에서 추진될 일곱 개의 기본 추진과제와 세 가지의 하위집단별 세부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구성 1) 연구 내용의 구성 2) 연구 방법 3. 연구추진 체계 및 절차 제1부 정책 대상으로서 고졸 비진학 청소년에 대한 이해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개념 및 범위 2. 고졸 비진학 청소년에 대한 접근 방식 1) 고졸 비진학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대사적 관점 및 시각 2) 고졸 비진학 청소년에 대한 이론적 접근 3. 고졸 비진학 청소년 관련 연구의 동향 Ⅲ. 고졸 비진학 청소년관련 정책 현황 1. 지난 정부의 추진 정책(2008~2012) 1) 추진 과정 2) 주요 추진 정책 2. 박근혜정부의 정책 추진 현황(2013~) 1) 관련 국정과제 2) 주요 정책 현황 Ⅳ.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추이 및 현황 분석 1.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규모 및 특성별 추이 1) 인구 규모의 추이와 변화 2) 고교 졸업 후 상태 및 특성별 추이와 분포 2.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졸업 후 현황 1) 고교 졸업 후 현재 상태 2) 미취업 기간 및 구직 경험 3) 첫 일자리 및 현재 일자리 4)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취업 결정 요인 제2부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생활 및 의식 실태 Ⅴ.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생활 및 의식 실태 조사 1. 고졸 비진학 청소년대상 설문조사 1) 조사 설계에서의 쟁점 사항 2) 조사 대상 및 방법 3) 설문구조 및 조사 내용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심층면접조사 1) 추진절차 2) 면접 대상별 조사개요 Ⅵ.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비진학 사유 및 회고적 경험 1. 비진학 사유 1) 특성별 비진학 사유 2) 하위집단별 비진학 사유 3) 특성 및 비진학 사유가 하위집단 결정에 미치는 영향 2. 재학 중 경험 1) 고교선택 사유 및 학업중단 경험 2) 아르바이트 및 현장실습 경험 3) 진로 선택 및 고교생활만족도 4) 재학 중 경험이 하위집단 결정에 미치는 영향 3. 졸업 후 경험 1) 일 경험 2) 대학 진학 및 중퇴 경험 3) 군복무 경험 4) 졸업 후 경험이 현재 하위집단 결정에 미치는 영향 Ⅶ.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현재 생활 및 의식 실태 1. 일상생활 환경 특성 1) 거주환경 2) 부모 및 가족관계 특성 3) 사회적 지지 2. 일상생활에서의 활동 및 행태 1) 일상생활 시간 사용 2) 근로활동 3) 소비활동 4) 여가활동 3. 일상생활에서의 의식 실태 및 향후 계획 1) 자존감, 진로성숙도, 미래관 2) 생활만족도 3) 향후 계획 제3부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정책욕구 및 이들을 위한 정책과제 Ⅷ. 고졸 비진학 청소년의 주요 문제 및 정책욕구 1. 고졸 비진학 청소년 공통의 주요 문제 및 정책욕구 1) 기회의 제한 2) 강제된 자기결정 3) 낮은 자존감과 사회적 위축감 4) 노동권의 침해 2. 취업 및 구직청소년의 주요 문제 및 정책욕구 1) 단기퇴사 및 잦은 이직 2) 열악한 근로 여건 3) 직장 내 학력 차별과 업무 비전의 부재 3. 진학・취업・창업 준비청소년의 주요 문제 및 정책욕구 1) 진로목표 설정에서의 자기주도성 상실 2) 현실인식과 직무개념의 부재 3) 취약계층의 장기간 지속되는 준비 상태 4. 니트청소년의 주요 문제 및 정책욕구 1) 적응력의 부재 2) 생성되지 않는 자존감과 학습된 무기력 3) 짧은 근로기간과 니트 상태의 반복 Ⅸ. 고졸 비진학 청소년을 위한 정책과제 1. 고졸 비진학 청소년 정책의 기본 방향 1) 정책의 기본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 2) 정책의 세 가지 기본 방향 2. 정책 추진 과제 1) 기본 추진과제 2) 하위집단 맞춤형 세부 추진과제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