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연구보고서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형태사항
171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612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61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46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46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3차년도 결과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 관련한 선행연구 고찰 및 다문화청소년종단조사 3차년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적응점수 범위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다문화청소년의 배경요인, 이중문화환경, 학업성취, 심리사회적응, 문화적응요인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가정의 특성 중 부모의 소득수준 및 교육수준,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정도, 어머니가 기대하는 자녀의 교육수준 및 자녀 학업에 대한 관심, 어머니의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사회적응, 어머니의 문화적응 등은 청소년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에 비해 다문화가족 학생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여부나 다문화가족 학생 전담교사 배치 여부, 전체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수행 여부 등과 같은 학교환경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적응수준이 우리 사회의 고정관념만큼 낮은 수준에 머무르지 않으며, 다문화청소년을 분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 일반청소년과의 통합 내에서 개별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욕구에 따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중문화환경에의 적응과 같은 특별한 요구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거나, 외국인 어머니를 위한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2.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1)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2)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3)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2. 주요변인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주요특성 1) 조사대상 청소년의 학교적응 2) 조사대상 가구의 배경 특성 3) 청소년의 배경 특성 2. 청소년의 발달 특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1) 청소년의 개인 및 가정 특성과 학교적응 2) 청소년의 이중문화환경과 학교적응 3) 청소년의 언어능력 및 언어환경과 학교적응 4)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학교적응 5) 청소년의 심리사회적응과 학교적응 6)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학교적응 7)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적응 8) 청소년의 문화적응과 학교적응 9) 다문화가정 지원과 학교적응 3. 가정의 특성 1) 가정환경특성 2) 자녀와의 의사소통 3)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 및 도움 4)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 5) 어머니의 이중문화적응 특성 4. 교사 및 학교의 영향 1) 다문화가족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공 여부 2) 외국출신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담당자 근무 여부 3) 전체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수행 여부 4) 다문화가정 학부모와의 모임빈도 Ⅴ. 요약 및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