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단행본한울아카데미 1920

미디어 효과의 기포: 이론과 연구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6
형태사항
635 p: 삽도, 24cm
총서명
한울아카데미; 1920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미디어론, 언론이론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7451대출중2024.12.31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000274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4.12.31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잠재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총체적 이해


수용자의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스 미디어의 잠재력이라는 주제는 오랫동안 학자와 일반 공중을 매료시켜왔다. ‘미디어’가 사회의 여러 문제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하는 일반적인 경향은 이러한 지속적인 관심과 우려를 잘 보여준다.
광범위하게 수정되고 업데이트된 이번 개정판은 최근 미디어 효과 문헌들을 충분히 이해한 상태에서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추정된 효과에 대한 개념들을 알기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수십 개의 사진과 함께 제시되는 분명하고 설득력 있는 설명 방식은 독자들이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이론적 토대, 그리고 현 상태를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며, 이러한 지식은 독자들이 미디어가 포화된 환경 속을 잘 항해해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최신 경향과 연구사례를 망라한 개정판

이 책의 기본 목표는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요한 토픽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으며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존 고전적인 연구를 소개하는 데에도 소홀하지 않고, 게임이나 모바일, SNS로 확산된 미디어 현실과 그 연구를 최신 연구까지 모두 반영하면서, 체계적인 구성과 내용의 핵심을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 책은 제닝스 브라이언트 교수와 제자들이 초판에 이어 2판으로 발행한 ??Fundamentals of Media Effects??의 번역본으로서, 미국 알라배마 대학교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미디어 효과의 개론서이다. 한국에서도 이 책이 유용한 교과서로 기능할 것을 기대한다.

방대한 내용을 체계화한 개론서의 필요성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잠재력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미디어 효과를 분석하는 학술 저서들이 전통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왔는데도, 미디어 효과에 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본 교재는 꽤 부족하다. 최근의 균형 잡힌 이론적 업적을 포함한 책은 더욱 그렇다. 이러한 미디어 효과 교재의 부족은 특히 현대 정보시대에서 문제가 된다. 물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는 물고기처럼, 우리는 미디어가 자신의 삶 속에 두루 침투해 있고 편재(遍在)되어 있어 본질적으로 미디어가 눈에 띄지 않는 환경에 맞게 사회화된다. 더욱이 요즈음 우리는 대중문화 작품의 미디어 효과에 관한 부정확한 과장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미디어 효과에 대한 기록을 바로잡는 것이 점차 대학 교양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되어버렸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개론서로서, 이 책이 소개하는 미디어 효과의 상세한 이론들을 익히면서 실생활에서도 미디어의 사회적 효과를 이해·평가하고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고전적인 연구와 최신 경향의 유용한 정리
미디어 방식의 변화를 반영한 개정판의 특징


1부에서는 미디어 효과 이론의 새로운 추이를 반영하여 각 장에 최근 연구들을 업데이트했다.
2부에서는 최근 연구들을 업데이트하면서 특히 초판에 포함되었던 혁신의 확산 이론은 제외하고 프레이밍 이론(7장)을 추가했으며, 의제 설정이론 및 기폭 이론과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한 설명을 더했다.
3부에서는 ‘고정관념의 효과’(16장), ‘어린이 교육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효과’(17장),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의 효과’(18장), ‘인터넷의 효과’(19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20장)를 새롭게 소개함으로써 미디어 효과 연구 분야의 새로운 연구 추이를 반영하려 노력했다. 초판에 포함되었던 미디어 폭력(11장), 성적 내용(12장),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13장),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효과(14장), 건강에 대한 미디어 효과(15장)를 다룬 장의 내용은 대부분 살리고, 최근 연구를 업데이트했다(일부 장은 다소 많이 편집되기도 했음).
끝으로 이 책에서는 ‘연구 스포트라이트’라고 불리는 매우 유용한 박스를 개정판에서 새롭게 넣어 고전적인 연구와 주요 최신 연구의 개요를 제공했다. 이 박스는 거의 모든 장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독자들은 이를 통해 이론이 어떻게 연구로 옮겨질 수 있는지 마음속으로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부 개관 및 역사 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2장 미디어 효과: 역사적 개관 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2부 이론 및 개념 4장 사회인지이론 5장 기폭효과 6장 의제설정 7장 프레이밍 8장 배양효과 9장 이용과 충족 10장 설득 3부 주요 연구 영역 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2장 성적 내용의 미디어 효과 13장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에 대한 반응 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5장 건강에 관한 미디어 효과 16장 고정관념화의 효과 17장 어린이 교육 텔레비전 및 영유아 에듀테인먼트의 효과 18장 컴퓨터 게임 및 비디오 게임의 효과 19장 인터넷의 효과 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