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477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육복지안전망 구축방안: 취약계층아동의 교육불평등 해소를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22
형태사항
350 p: 삽도,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107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3107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약계층아동의 교육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를 방치하면 개인발전은 물론 국가발전에도 장애가 된다. 더구나 교육불평등의 결과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강하며, 건강불평등, 고용불평등, 주거불평등 등 다양한 형태의 불평등을 초래한다. 교육불평등은 우리사회의 제반 불평등을 초래하는 시발점이다. 따라서 취약계층아동의 교육불평등 실태를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결과의 전반에서 점검하고, 기존의 교육불평등 관련 정책과 시스템 전반을 재정비하여 보다 촘촘하고 튼튼한 교육복지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히, 창의성과 협업이 중시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육복지안전망은 기존의 정부주도 방식에서 탈피하여 공사부문 간 협력과 연계를 토대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이 책은 코로나19 팬데믹하에서의 취약계층아동의 교육불평등을 코로나19 팬데믹이 초래한 제반 환경적 맥락과 연계하여 고찰하되, 교육불평등을 교육환경,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교육결과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교육복지안전망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1. 본서의 집필배경 및 목적
2. 본서의 구성 및 범위

제2장 교육불평등 관련 이론 및 연구의 틀
1. 교육불평등 관련 이론적 논의
1) 교육불평등의 개념
2) 교육불평등 유발요인
3) 교육불평등 관련 분석변수 및 지표
2. 연구의 틀
3. 교육불평등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코로나19 팬데믹과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
1. 코로나19 팬데믹의 진행과정
2. 코로나19 팬데믹과 거시 환경요인의 변화
1) 사회적 환경 측면
2) 경제적·산업적 환경 측면
3) 노동환경 측면
4) 정부역할 측면
5) 보건의료 측면

제4장 코로나19 팬데믹하의 취약계층아동의 교육불평등 실태 분석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
2.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개인적 요인의 변화
3.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변화
1) 비대면 온라인수업의 일상화
2) 디지털기반의 스마트교육 방식
3) 학교 및 교사의 역할 변화
4) 학교행정의 디지털화 촉진
5) 학부모의 교육과정 관여 증대
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결과의 변화

제5장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과 프로그램의 실태 및 문제점 분석
1. 드림스타트(Dream Start)
1) 드림스타트의 의의 및 전개과정
2) 드림스타트의 사업내용
3) 드림스타트의 행정체계
4) 드림스타트의 인력관리
5) 드림스타트의 재정관리
6) 드림스타트의 통합연계체계
7) 드림스타트의 아동통합사례관리
2.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의의 및 전개과정
2)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사업내용
3)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행정체계
4)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인력관리
5)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재정관리
6)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통합연계체계
7)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사례관리
3. 방과후학교
1) 방과후학교의 의의 및 전개과정
2) 방과후학교의 사업내용
3) 방과후학교의 행정체계
4) 방과후학교의 인력관리
5) 방과후학교의 재정관리
6) 방과후학교의 통합연계체계
7) 방과후학교의 사례관리
4.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 및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사업내용(프로그램)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행정체계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 인력관리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재정관리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통합연계체계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사례관리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6장 해외 선진국의 교육불평등 대처 사례
1. 들어가는 말
2. 헤드스타트의 의의 및 전개과정
3. 연방정부 차원의 헤드스타트
1) 헤드스타트의 사업내용
2) 헤드스타트의 행정체계 및 인력관리
3) 헤드스타트의 재정관리
4) 헤드스타트의 통합연계체계
4. 지방정부 단위의 헤드스타트: Texas주 Dallas시의 사례
1) Dallas시 헤드스타트의 사업내용
2) Dallas시 헤드스타트의 행정체계 및 인력관리
3) Dallas시 헤드스타트의 재정관리
4) Dallas시 헤드스타트의 통합연계체계
5. 헤드스타트의 정책적 시사점
6. 우리나라 교육복지정책을 위한 벤치마킹

제7장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교육복지안전망 구축방안
1. 거시적 차원의 교육불평등 혁신과제
1) 교육복지정책의 가치체계와 방향 정립
2) 거시적 정책맥락과의 연계
2. 교육불평등 구성요소별 대처 전략
1) 교육환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
2) 개인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전환
3) 교육과정의 혁신
4) 교육결과에 대한 발상의 전환
3.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복지안전망 구축방안
1) 교육복지안전망을 위한 거버넌스체계 확립
2) 교육복지안전망의 통합연계성 강화
3) 교육복지안전망의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강화
4) 교육복지안전망 강화를 위한 교육행정의 혁신
5) 교육복지안전망 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육정책 처방

제8장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