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7가지 키워드, 시기별로 이해하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이해
- 발행사항
-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3
- 형태사항
- 343 p: 삽도, 23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지금 이용 불가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1257 | 대출중 | 2025.01.03 |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 0003125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5.01.03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한국 다문화현상의 총체적 이해:
구성원, 역사, 가족, 정책, 밀집지역, 교육, 법제
2022년 기준 현재 한국사회 외국인 체류 인구는 약 2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 정도에 달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인 주민들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사회현상 역시 더 이상 낯선 현실이 아니다. 결혼이민자의 사회 적응 문제, 자녀들의 학교생활 문제, 외국인근로자들의 사회 문제 등 예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사회 현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언제, 어떻게, 어떤 형태로 일어났고, 또 일어나고 있는가?
구성원, 역사, 가족, 정책, 밀집지역, 교육, 법제
2022년 기준 현재 한국사회 외국인 체류 인구는 약 2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 정도에 달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인 주민들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사회현상 역시 더 이상 낯선 현실이 아니다. 결혼이민자의 사회 적응 문제, 자녀들의 학교생활 문제, 외국인근로자들의 사회 문제 등 예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사회 현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언제, 어떻게, 어떤 형태로 일어났고, 또 일어나고 있는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구성원 이해
1. 통계로 이해하는 한국의 다문화 구성원
1.1. 결혼이민자
1.2. 외국인 유학생
1.3. 이주배경자녀
1.4. 외국인근로자
1.5. 북한이탈주민
1.6. 난민
제3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역사 이해
1. 1860년에서 1945년 이전 한국의 디아스포라 역사
1.1. 중국 월경 잠입 시기: 1860년∼1904년
1.2. 중국 자발적 이민 시기: 1905년∼1931년
1.3. 강제 집단 이민 시기: 1931년∼1945년
1.4. 인천 제물포항에서 하와이로 출발 그리고 재외교포
1.5. 일본으로의 강제 이주와 자율 이주 및 올드커머
1.6. 사할린으로 강제 이주와 고려인
2. 한국전쟁 전후 시기의 한국사회와 다문화현상
2.1. 미군과 기지촌
2.2. 이방인의 공동체 태동 이태원과 한남동
2.3. 해외입양아동 그들은 누구인가?
2.4. 화교와 짜장면의 탄생
3. 1965년에서 1980년대 중반 시기의 다문화현상
3.1. 미국의 이민쿼터제 폐지와 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
3.2. 한국인의 농업 이민과 남미로의 이동
3.3. 파독 광부와 파독 간호사
3.4. 오일쇼크와 한국인의 중동진출
4. 1980년대 후반 이후 시기의 다문화현상
4.1. 재외동포 한국으로 몰려오다
4.2. 외국인근로자의 유입과 쟁점
4.3. 북한이탈주민의 유입과 쟁점
4.4.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과 쟁점
4.5. 외국인지원 시민단체의 태동
제4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족 이해
1. 다문화가족의 출현
1.1. 통일교, 국제결혼의 시작인가?
1.2. 한국의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1.3. 한국어와 국제결혼
1.4. 결혼중개업을 통한 국제결혼
2. 다문화가족 정책과 관련 부처
2.1. 다문화가족 정책
2.2. 중앙정부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3. 다문화가족 지원 기관과 프로그램
3.1. 다문화가족 지원 기관의 법적근거 및 연혁
3.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3.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지원 프로그램
제5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정책 이해
1. 다문화 이론
1.1. 동화주의
1.2. 차별배제주의
1.3. 다문화주의
1.4. 상호문화주의
1.5. 초국가주의
2. 외국인근로자 고용 정책 및 재한외국인 정책
2.1. 산업연수생제도 및 고용허가제도
2.2.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제도
2.3. 재한외국인 정책
2.4. 사회통합프로그램
2.5. 외국인 조기적응프로그램
3. 외국인정책과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3.1.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3.2.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제6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밀집지역 이해
1. 외국인의 국내 미등록? 불법체류?
1.1. 미등록인가? 불법체류인가?
1.2. 미등록외국인 유형
1.3. 미등록외국인 범위
1.4. 합법 입국 후 체류
2. 국내 외국인 밀집지역
2.1. 안산 원곡동 외국인 밀집지역
2.2. 서울 중국인 밀집지역
2.3. 경남 김해 외국인 밀집지역
2.4. 고려인 마을
제7장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 이해
1.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1.1. 다문화교육의 의미
1.2.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사례)
2. 대학의 다문화 전공과 비전
2.1. 다문화사회전문가 인정 기준
2.2. 대학의 다문화 전공
2.3. 대학원의 다문화 전공
2.4. 다문화사회전문가의 비전
제8장 한국사회의 다문화 개별법 이해
1. 한국사회의 다문화 개별법 제정의 필요성
1.1. 한국사회, 그리고 다문화사회
1.2. 한국 내 체류외국인의 증가
1.3. 사회적 편견과 차별 문제 대두
2. 한국사회의 다문화 공통 기본법
2.1. 국적법
2.2. 출입국관리법
2.3.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3.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근로자 관련법
3.1. 다문화가족지원법
3.2.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3.3.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4. 한민족 및 난민 관련법
4.1.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4.2.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4.3. 난민법
제9장 결론
용어정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