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분석 및 시범사업 운영과 행복마을 특화모형 개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분석 및 시범사업 운영과 행복마을 특화모형 개발

공공누리 마크

NYPI 이(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5
   1) 연구 추진 과정과 연차별 사업 개요(2013~2017)  5
   2) 연구과정(2013-2016)의 성과와 한계 분석  7
   3) 2017년 주요 연구내용  10
3. 연구방법  12
   1) 문헌연구 및 자료조사  12
   2) 설문조사  13
   3) 시범사업 실시 및 참여 효과 조사  14
   4) 현장사례 조사  14
   5) 기타연구방법  16
4. 연구추진 체계  19


Ⅱ.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및 지표분석의 이론적 고찰  21
1.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정책 환경 분석  23
   1) 생활환경 변화 추이  23
   2)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  26
   3) 지역사회 청소년의 행복 수준 증진을 위한 청소년의 참여활동 방안  27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 국내·외 사례 분석  30
   1) 국내·외 마을복지공동체 실천 사례의 특성 및 실천전략 분석  30
   2) 국내 어린이·청소년활동 중심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공요인 및 시사점  32
   3) 영국의 섬머힐 공동체 운영 사례 고찰 및 시사점  34
3. 국제비교 조사를 위한 선행연구 및 지표 구성안  43
   1) 국제비교 조사연구의 고려사항  43
   2) 한국방정환재단의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 비교 연구  45
   3) 한국방정환재단의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 비교 연구 이후의 국제 비교 연구  50
   4) 국제 비교 연구 방법  54


Ⅲ.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59
1. 조사개요  61
   1) 조사대상 및 절차  61
   2) 모집단분석  62
2. 표본설계  65
   1) 표본크기  65
   2) 층화  67
   3) 표본배분  67
   4) 표본추출  70
   5) 성별 사후층화  71
3. 가중치와 모수추정  71
   1) 가중치  71
   2) 모수추정  72
4. 지표의 구성 및 조사내용  74
   1) 주관지표  74
   2) 객관지표  75
5. 조사결과  83
   1) 주관적 지표 조사 결과  83
   2) 객관적 지표 조사 결과  149
6. 소결  212


Ⅳ.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결과에 대한 심층분석  217
1. 연구개요  220
2.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221
    1) 연령-기간-코호트 효과  221
    2) 식별의 문제  222
    3) 분석 결과 보고 양식  223
    4) 분석 소프트웨어  223
3. 응답자 특성  224
4. 분석 결과  225
   1) 연령-기간-코호트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분석 결과  225
   2) 연령-기간-코호트 모델을 사용한 분석 결과  227
   3) 연령과 다른 요인과의 상호작용 효과  237
5. 소결  242
 
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시범사업 운영  245
1. 2017 시범사업 추진 개요  247
2. 군산시 시범사업 진행 및 주요 활동 내용  249
   1) 추진 개요  249
   2) 사업 운영 계획  250
   3) 시범사업 운영 과정 및 주요 활동 내용  252
   4) 자체 평가와 개선방안  258
   5) 종합제언  265
3. 목포시 시범사업 진행 및 주요 활동 내용  271
   1) 추진 개요  271
   2) 시범사업 진행일정  272
   3) 시범사업 운영 과정 및 주요 활동 내용  272
   4) 자체 평가와 개선방안 및 제언  275
   5) 종합제언  276
4. 시범사업 효과 분석  278
   1) 조사개요  278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81
   3) 지표 영역 분석 결과  282
5. 시사점  294


Ⅵ.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조성 현장 면접조사 및 특화모형개발  295
1. 아동친화도시와 마을공동체 운영 현장 면접조사 결과분석  297
   1) 면접조사 개요  297
   2) 조사내용 및 조사도구  298
   3) 조사 기간 및 방법  300
   4) 면접조사 지역 현황 및 개요  300
   5) 아동친화도시 인증 지역 면접조사 결과분석  301
   6) 청소년활동 중심 마을공동체 운영 지역 면접조사 결과 분석  314
   7) ‘아동친화도시와 마을공동체’ 대상 면접조사가 주는 시사점  326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특성화 요인 도출과 논리모델 개발  327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와 공동체의 개념  327
   2) 특성화 요인 도출 및 논리모델 개발 절차  327
   3) 청소년 행복마을 추진 유형별 특화모형과 논리모델 구성  329
   4) 소결: 공동체 유형별 매트릭스를 통한 특성화 요인 패턴 매칭 비교 분석  352


Ⅶ. 연구결과 활용방안 및 정책제언  357
1. 정책추진 방향  359
2. 정책과제 및 활용 방안  360


■ 참고문헌  389

■ 부록  401


더보기

초록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V’의 연구목적은 전국단위 청소년 행복지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 수준과 변화추이를 점검하고  더불어 청소년 활동 중심 ‘마을공동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현황과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전국 17개시·도 청소년 행복 수준 조사 분석, ② 국내·외 ‘마을공동체’ 사례 관련 자료 고찰, ③ 청소년행복마을 조성 시범사업(2개 지역)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과 효과 분석, ④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특성화 요인 도출과 논리모델 개발 등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전국단위 지표조사, 현장 면접조사, 콜로키움, 포럼, 시범사업 실시,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행복마을 조성과 정책화 방안에 관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행복 수준 증진을 위한 증거기반 정책 추진을 위해 하위집단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더불어 실증자료 분석과 평가에 기반을 둔 지자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현실성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내실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공간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아동과 청소년친화도시’ 정착과 확산을 위하여 자치단체장의 역할 강화를 위한 국내·외 연수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청소년 활동 중심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주민과 청소년 간의 협업체제를  구축하여 ‘특성화 사업’을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정책개발의 목적으로 ‘청소년 참여 플랫폼’ 구축, 마을진로체험 학습장 조성, ‘청소년행복마을 지원센터’ 등을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