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저자

    조아미

  • 공동저자

    임정아

  • 발행일

    2018-12-31

  • 원문보기(파일)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pdf

    5.27 MB 다운받기
공공누리 마크

NYPI 이(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방법  5
4. 연구계획 및 추진체계  7
5. 연구의 제한점  9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특성  13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기관 및 네트워크  24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43
2. 심층면접 질문내용  45
3. 자료수집 및 분석  46


Ⅳ. 연구결과
1. 대도시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 책임자, 실무자, 학교 밖 청소년 심층면접 결과  49
2. 중소도시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 책임자, 실무자, 학교 밖 청소년 심층면접 결과  95
3. 읍면지역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 기관책임자, 실무자, 학교 밖 청소년 심층면접 결과  143
4.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기관 특성 비교  183


Ⅴ. 결론
1. 요약 203
2. 제언: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방향 216


참고문헌  231

부   록  235


더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실무자와 책임자에 대한 면접조사를 활용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욕구, 지역자원특성,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운영의 애로사항, 성공사례를 분석한 후 지역특성에 맞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모델을 위한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본 연구의 진행계획을 수립하고, 연구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과 학교 밖 기관의 실무자와 책임자에 대한 심층면접과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후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 및 욕구, 지역자원 특성 및 발전방향 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적인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파악하여 연구에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3개의 지역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역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도시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가 취약한 반면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은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후 생활을 보면, 청소년들은 학교를 그만둔 이후 공통적으로 청소년들은 무기력해짐과 생활패턴이 불규칙해짐을 느꼈다. 대도시는 아르바이트를 많이 경험하였고 중소도시와 읍면지역 청소년은 비행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읍면지역의 경우 집에서 하는 일 없이 지내는 경우도 있었다.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욕구로는 공통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불규칙한 생활과 비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검정고시 합격을 욕구로 지니고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하지만 지역적 여건으로 인해 아르바이트를 원한다고 모두 할 수는 없었다. 특히 읍면지역은 지역자원의 부족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를 위해 타 도시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특성으로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에게 지원하고 있는 반면, 읍면지역은 지역사회의 자원이 부족하여 꿈드림센터와 CYS-Net을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점 및 애로사항으로 대도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관련기관과 종사자의 수가 적은 것을, 중소도시는 학교 밖 청소년을 담당하고 사례관리를 하는 바쁜 업무와 더불어 실적평가까지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을, 읍면지역에서는 중소도시의 제한점과 함께 지역 내 청소년 관련 시설 부족의 문제를 한계 및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 성공모델 요인으로는 대도시는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를, 중소도시는 지역주민의 관심과 후원을, 읍면지역은 학교 밖 청소년의 욕구 반영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해 두 가지의 영역에서 10개의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공통점에 근거한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방향으로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경제적 지원 방안 모색, 둘째, 학교 밖 청소년에게 쉼을 통해 회복할 수 있는 공간 제공,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올바른 진로지도, 다섯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해결을 제시하였다.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차이점에 근거한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방향은 지역별 특성을 감안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 발굴 및 기관이용률 증대 방안,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경제적 자립지원,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욕구를 반영한 특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넷째,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다섯째, 지역별 차별화된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 성공요인으로 지역별 세부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