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내용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6차 조사한 2015년의 고등학교 3학년 235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 변수는 진로정체감을 종속변수, 사회적 자본(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와의 관계)을 독립변수,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 휴대전화 의존도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부모와의 관계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에 따라 그 영향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의 긍정적 발달 및 영향을 위해서는 휴대전화 의존도를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또한 친구, 교사, 지역사회의 관계를 증진시킨다면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으면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