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0-33-05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Ⅲ: 학교연계 프로그램 시범사업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형태사항
152p. :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1850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185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18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18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역량 기반의 학교 프로그램의 기본 모형 제시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핵심 역량이 전체적으로 통합, 연계되면서 개발되는 것으로 봄. 본 연구에서는 OECD의 세 가지 핵심역량('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 능력','자율적 능력', '도구의 상호작용적 활용능력')을 핵심 역량의 공통적인 토대로 삼았음. '참여하기'와 '공헌하기' 역량은 청소년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수업 활동에 참여하고 공헌할 수 잇는 활동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고하기' 역량은 여러 핵심 역량을 통합하고 연계하는 내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모형을 제시함 * 역량기반의 교과형 수업 모형 개발 - '핵심 역량 기반의 교과형 수업모형'에서는 수업이 역량이 발휘되고 개발되는 구체적인 매락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서로 의존하고 협력하며 성장할 수 있는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고 전제함. 외국과 국내의 수업 사례를 통해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한 수업요소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각 하위 핵심역량과 연결하여 수업모형의 중요한 구성요소를 제시함. '자율적 행동 역량'에는 수업에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며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는 태도와 능력이 포함됨. '도구 활용 능력'은 도구나 상징, 테크놀로지를 통해 세상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는 역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체적인 수업 장면에서는, 수업 내용이나 개념을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이해하고 그러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테크놀로지를 활요하여 지식을 확장하는 능력을 가리킴.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은 수업시간에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반응해주기, 서로 의지하며 함께 성장하는 능력을 가리킴. 이러한 역량의 요소들과 수업의 요소를 연결하여 교과형 수업모형을 정립함. * 역량 기반의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 - 핵심 역량 기반의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하나의 주제에 대해 충분한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협력을 경험하며 동료 학생들의 관점을 수용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분류하고 통합·활용하는 역량이 개발된다고 전제함. 본 프로그림에서는 내용 측면에서는 OECD 및 김기헌 등(2009)이 제시한 핵심 역량의 정의 및 하위 요소를 근거로 각 회기별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운영 측면에서는 역량 기반의 학습 과정 선진 사례로 소개된 모델을 참고하여 토론과 발표, 창의적 역할극, 반성적 쓰기와 읽기 등의 창의적인 방안을 적용함. 본 프로그램은 진행의 편의상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도구 활용 역량, 자율적 행동 역량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5주차의 회기 주제와 활동 내용을 구성.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은 매 회기마다 ‘도입부-전개부-정리’의 순으로 이루어짐.
목차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II. 이론적 배경 1. 핵심 역량 2. 공동체와 참여 3. 핵심역량 기반 프로그램 운영 사례 Ⅲ. 역량 기반의 교과형 수업 모형 개발 및 시범 운영 1.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토대 작업 : 담당 교사와의 지속적 대화와 논의 2. 수업의 기본 모형 정립 3. 핵심역량의 요소들을 교사와 학생의 수업행동 및 태도로 표현하기 4. 수업 실제에 역량 요소들의 점진적 도입과 개선 5. 반성과 정련을 통한 수업모형의 최종화 6. 참여 교사의 독자적 수업 운영 7. 수업모형 효과 검증 8. 수업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교사, 전문가 평가 9. 프로그램 수정 보완 Ⅳ. 역량 기반의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운영 1. 역량 기반의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 개발 2. 프로그램 시범 운영 Ⅴ. 역량 기반의 교과형 프로그램 효과 분석 1. 효과 분석 개요 2. 효과 분석 결과 3. 학생 면담 분석 Ⅵ. 역량 기반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효과 분석 1. 사전-사후, 실험-통제 설계에 의한 효과 분석 2. 수업과정 분석 3. 포커스 그룹을 통한 프로그램 참여 경험 자료 분석 Ⅵ.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