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적용 연구 Ⅰ: 도덕적 판단력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118p. :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658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65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265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265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도덕적 판단력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도덕적 판단력은 J. Rest가 창안한 4구성요소모형(The Four Component Model) 중의 제1요소에 해당되며, 특정 상황 속에 내포된 문제에 대해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의 도덕적 판단력 측정 도구 개발을 분석한다. 선택형 검사와 서술형 검사로 구분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선택형 검사도구이며 DIT(Defining Issues Test)를 활용하기로 결정했고, 한국형표준화가 된 KDIT를 활용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미 국내·외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은 KDIT검사지를 활용하여 1차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응답자의 성실성과 응답 집중도를 검토한 후, 수정하여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 있는 검사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밟는다.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예비검사를 거친다. 각각의 연구대상은 다르다. 1차 예비검사의 대상은 중학생 116명과 고등학생 147명이며, 2차 예비검사의 대상은 중학생 71명이며, 고등학생은 66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 KDIT의 전체 신뢰도는 .81로 높게 나타났으며, P지수의 신뢰도는 .61로 기존의 KDIT(2007) 보다 다소 높았다. 집단별 통계 분석에서는 학교급별, 성별, 부모 학력에 따른 비교, 종교, 친구 수, 도덕과목 흥미도에 따른 비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P지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거쳐서, 향후 연구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응답자의 도덕 판단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업 성적, 언어 이해력,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봉사활동 참여 정도 등의 변인들을 추가하여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KDIT는 선택형 검사이기 때문에 피험자의 자유로운 반응을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표집 대상 중 일부를 대상으로 서술형 혹은 인터뷰 방법을 활용한 검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KDIT내의 P지수이외의 다양한 판단력 관련지수들을 동시에 표기하여 다른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심층연구해야 한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도덕성 정의: 인지·정서·행동적 측면의 통합적 관점 2. 4-구성요소 모형(Four Components Model) 3.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 개발의 필요성과 의의 4. 도덕적 판단력(moral judgement)의 개념 및 하위 요소 5. 선행 연구 개관 Ⅲ. 청소년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 적용 결과 1.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 적용 개요 1) 서술형 평가와 선택형 평가 방식의 결정 2) 선택형 도덕적 판단력 검사의 대안으로서 DIT 2. DIT를 활용한 청소년용 도덕적 판단력 검사의 실시 1) 개정된 DIT 검사 개요 2) 검사지 문항 구성 및 채점 방식 3) 허위 문항 점검 4) DIT의 신뢰도 5) 1차 예비검사 실시와 문제점 6) 2차 예비검사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활용 방안 및 정책 방안 참고문헌 부록